Article

국내 쌀귀리 첨가 밥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활성

이미자*, 김양길, 이유영1, 김형순2, 최식원, 이광식, 서우덕, 강현중, 박기도
Mi-Ja Lee*, Yang-Kil Kim, Yu-Young Lee1, Hyung-Soon Kim2, Sik-won Choi, Kwang-Sik Lee, Woo-Duck Seo, Hyeon-Jung Kang, Ki-Do Park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1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2서남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Crop Foundation Division, NICS, RDA
1Department of Central Area, NICS, RDA
2Department of Biomolecular and Chemical Engineering, Seonam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Mi-Ja Lee, Crop Foundation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RDA,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82-63-238-5332; +82-63-238-5305esilvia@korea.kr

© Korean Society for Food 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

Received: Sep 19, 2016; Revised: Oct 14, 2016; Accepted: Oct 20, 2016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 amount of oats to add to rice and the merits of oat meal. We analyz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cooking properties, functional components, and sensory evalua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oats added in the cooked rice. Compared with rice, the oat showed higher level in protein, fat, total β-glucan and total polyphenol, but not for starch. Therefore, the amount of chemical and functional component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oats added. Water absorption and expansion were decreased with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oat added. Oleic acid content was increased and linoleic acid content was decreased slightly.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was greatly increased.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amount of oats added. As a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the most appropriate amount of oat added was 20% and 30%. By the addition of oat, the β- glucan content of the cooked rice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could increase.

Keywords: naked oat; β-gluca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tioxidant activity

서 론

귀리(Avena sativa L.)는 벼과(Gramineae)에 속하며 일반 적으로 냉습한 날씨에서 잘 자라는 대표적인 곡류로서 (Macrae et al., 1993) 과거에는 사료로 많이 사용되어 왔 으나 근래에는 혈중 콜레스테롤강하(Nowman et al., 1992; Maier et al., 2000) 등의 생리활성이 알려지면서 기능성식 품 소재로서 관심을 끌고 있는 동계작물이다. 귀리의 β- glucan 함량은 품종과 부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 으로 귀리에는 약 4%가량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생리활 성이 우수한 수용성 β-glucan의 함량이 높아 이를 기능성 음료나 식품첨가제 등 다양한 형태의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의 활용 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기대대고 있다. 또한, 귀리에는 곡류 중 특이적으로 귀리에만 존재한 phenolic amide인 avenanthramides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 며 이는 항산화, 항염증 및 항증식활성을 가진다고 보고되 어 있다(Boz, 2015). 경제성장에 따른 소득증가와 가공식 품, 외식의 증가에 따른 식생활의 변화 및 생활양식의 변 화 등으로 비만, 당뇨병, 고혈압, 동맥경화, 암 등과 같은 성인병 발생이 증가하고,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건강에 대 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능성식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귀리의 기능성과 관련하여 많은 연구가 이 루어지고 있으며, 체내 콜레스테롤 함량을 저하시켜 성인 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항산화활성과 당 뇨병 및 비만 예방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apola et al., 2005; Peng et al, 2013; Tong et al., 2014). 귀리의 영양학적 우수성이 많이 알려지면서 국내에서는 가공제품으로뿐만 아니라 직접 귀리를 쌀에 섞 어 이용하는 귀리밥으로의 용도가 증가하고 있으나 쌀과 혼반한 귀리밥의 이화학적특성이나 항산화활성 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개발된 귀리를 이용하여 조리한 귀리밥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활성 등을 조사하고 식미평가를 통하여 적합한 귀리 혼합비율 등을 조사하여 귀리의 혼반 효율 증진을 위 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재료 및 시약

본 실험에 사용한 귀리는 농촌진흥청에서 육성한 쌀귀리 품종인 조양귀리로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Iksan, Korea) 시험포장에서 표준 재배법에 준하여 재배하였으며, 2013년 중순에 파종하여 2014년 6월에 수확하였고 14°C 저장고에 저장하였다. 귀리밥에 사용한 멥쌀은 14년에 수확한 무농 약쌀지평선(신동진, 새만금농산)을 사용하였다. 귀리를 첨가 한 밥의 이화학적특성 및 항산화활성 등의 분석은 동결건 조(FDU-100, Tokyo, Japan)하고 0.2 mm체가 장착된 Retsch centrifugal mill (Zm 100, Retsch GmbH & Co. Haan, Germany)을 이용하여 분쇄한 분말을 사용하였다. Megazyme β-glucan assay kit와 전분분석을 위한 total starch assay kit는 Megazyme Co. (Bray, Wicklow, Ireland) 에서 구입하였으며, 그 외 모든 시약은 1급 이상 시약 (Sigma Co. St. Louis, MO, USA)을 사용하였다.

이화학적 성분 분석

본 실험에 사용한 귀리 첨가량을 달리한 귀리밥의 수분함 량은 110°C 상압가열건조법으로 측정하였고, 조단백질은 Elementar Analyzer System (Vario MACRO, Elementar, Langenselbold,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조지 방 함량은 에틸에테르를 용매로 사용, Soxtec 2050 (Foss Tecator AB, Hilleroed, Denmark)을 이용하여 추출 분석 하였다. 총페놀 함량은 80% MeOH로 추출하고 Folin- Ciocalteu reagent를 가한 후 반응액의 흡광도를 720 nm에 서 측정하고 표준물질로 0.1% gallic acid를 사용, 검량선 을 작성하여 정량분석 하였다. 조회분 함량은 항량이 된 도가니에 분쇄된 시료 3 g을 취하여 무게를 측정한 후 핫 플레이트에서 회화하고, 전기회화로를 이용하여 700°C에 서 8시간 동안 회화시킨 후 2시간 방냉한 후 도가니의 무게를 측정하여 구하였다. 조지방, 조단백 함량은 수분 함량을 보정하여 최종 함량을 구하였다.

β-glucan 및 전분 함량 분석

β-glucan 함량은 Mccleary 방법을 응용한 Megazyme β- glucan assay ki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전분함량은 Total starch megazyme assay kit 를 이용하여 510 nm에서의 흡광도로 분석하였다(Mccleary & Codd, 1991; Mccleary & Solah, 1994). β-glucan, 총전분 함량은 수분 함량을 보정하 여 최종 함량을 구하였다. 불용성 베타글루칸 함량은 일정 량의 시료를 38°C 수조에서 2시간 물추출하고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버리고 잔류물을 2번 물로 세척한 후 분석하 였다. 수용성 베타글루칸 함량은 총베타글루칸 함량과 불 용성 베타글루칸 함량차이로 계산하였다.

지방산조성

귀리밥의 지방산 조성 분석은 변형된 Rafael & Mancha (1993)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쇄시료 0.3 g의 분말시료에 methanol : heptanes : benzene : 2,2-dimethoxypropane : H2SO4 (37:36:20:5:2, v/v)로 조제된 용액을 가하고 80°C로 가열하 여 digestion 및 lipid transmethylation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가열이 끝난 single phase는 상온에서 냉각 후 fatty acid methyl esters (FAMEs)가 함유된 상등액을 capillary GC에 주입하였다. 지방산 분석에 사용된 GC system은 HP6890 system 불꽃이온화검출기(Flame Ionization Detector : FID, HP Co., Santa Clara, CA, USA)이었고, 컬럼 은 HP-Innowax capliiary (0.25 μm i.d.×30 m)를 사용하였다. 분석조건은 initial temperature 150°C, final temperature 280°C로 분당 4°C 증가되도록 하였고, carrier gas는 N2를 분당 1.0 mL로 흘려주었다. 분석이 진행되는 동안 injector 와 detector온도는 각각 250°C 및 300°C가 되도록 유지하 였다. 표준 FAME mix (C14-C22)는 Supelco사(St. Louis, MO, USA) 제품을 사용하였다.

DPPH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

귀리밥의 항산화활성은 2,2-diphenyl-1-picryl-hydrazil (DPPH, Sigma Co. St. Louis, MO, USA) 및 2,2’-azinobis- 3-ethylbenzo-thiaxoline-6-sulfonic acid (ABTS, Sigma Co. St. Louis, MO, USA)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 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시료 50 mg을 70% 에 탄올수용액 10 mL에 24시간 추출한 후 시료 2 mL에 0.2 mM DPPH 용액 2 mL를 가하여 교반하고, 실온에서 30 분간 방치한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료 첨 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었 다.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ABTS 7 mM과 potassium persulphate 2.45 mM을 24시간 동안 암소에 방치하여 ABTS 양이온을 형성시킨 후 이 용액을 734 nm에서 흡광 도값이 0.7(±0.02)가 되도록 에탄올로 희석한다. 희석된 시 료 추출액 0.1 mL에 ABTS 용액 2.9 mL를 가하여 30°C에 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734 nm에서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 였다. 이때 표준물질로 Trolox (Sigma Co. St. Louis, MO, USA)를 사용하였다.

귀리밥의 물성 및 취반특성

물성은 Texture analyzer (TA-XT2, Stable Micro System Ltd., Godalming, UK)를 사용하여 Lee et al. (2011)의 방 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취반특성은 흡수율과 퍼짐성을 조사하였다. 귀리밥 5 g을 20 mL D.W (distilled water)가 들어있는 메스실린더에 넣은 후 부피(a)를 읽고, 증류수를 제거한 후 이 시료를 다른 비이커에 옮기고 끓는 물 80 mL를 부어 150°C에서 40분간 취반하였다. 이후 시료에 서 증류수를 제거하고 10분 후 무게(b)를 측정하였다. 이 시료를 20 mL D.W.가 들어 있는 메스실린더에 옮기고 부 피(c)를 잰 후 다음 식으로 흡수율과 퍼짐성을 계산하였다.

흡수율 =흡수 후 무게(b)/시료무게×100 퍼짐성 =취반 후 부피(c)/시료부피(a)×100

관능평가

관능평가를 하기 위하여 귀리밥은 100% 귀리밥 200 g으 로 밥을 지을 경우에는 귀리를 씻어 약 2배의 물을 넣고 30분-1시간정도 불린 후 CUCKOO 전기밥솥(CR-0313V, Cuckoo, Yangsan, Korea)을 이용하여 취사하였다. 귀리 함 량을 달리하여 귀리밥을 할 때 물 첨가량은 물성측정 실험 조건을 기준으로 조정하였다. 15 g기준 쌀의 경우 20 mL 물을 첨가하지만 귀리밥의 경우에는 물 요구량이 증가한 다. 10%, 20%, 30%, 40%, 50% 귀리밥 15 g을 할 때 물 첨가량은 각각 20.9 mL, 21.8 mL, 22.7 mL, 23.6 mL, 24.5 mL이었다. 귀리밥은 24명의 검사원으로 외관, 맛, 색, 조직 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5 level로 평가하였다. 이때 평가 요령은 각각의 평가항목에 대하여 “1: 대단히 나쁘다, 3: 나쁘다, 5: 보통이다, 7: 좋다, 9: 대단히 좋다”로 표시하도 록 하였다.

통계처리

실험치는 평균값과 표준오차로 표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AS Enterprise Guide 4.0 (Statistical analysis system, 2016, Cray, NC, USA)로 분석하고,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유의수준 5%(p<0.05)에서 검 증하였다.

결과 및 고찰

귀리첨가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귀리함량을 달리 첨가한 밥의 이화학적 성분들의 함량은 Table 1과 같았다. 단백질함량은 쌀이 8.22%이었고 조양귀 리는 14.25%로 쌀에 비하여 약1.7배 높았으며, 귀리함량이 증가할 수록 단백질 함량은 증가하였다. 귀리의 단백질은 라이신 함량이 총단백질 함량에 관계없이 일정하여 좋은 단백질이며 다른 곡물에 비해 단백질 함량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Flander et al., 2007; Gandopadhyav et al., 2015). 조지 방 함량은 쌀이 0.45%이었으며 귀리는 9.61%로 높았다. 전 분함량은 쌀은 88.22%이었으며 귀리는 59.66% 귀리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귀리의 총베타글루칸 함량은 4.02% 이었으며 쌀은 0.1%로 아주 적었고 귀리 함량이 10%이었 을 때 0.007%이었고 50%가 첨가되었을 때 0.024%로 귀 리 함량이 증가할수록 총베타글루칸 함량은 크게 증가하였 다. 총폴리페놀 함량은 귀리는 0.04%로 쌀의 0.004%와 비 교하여 10배정도 높았다. 페놀성 화합물은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물질로 페놀성 화합물의 phenolic hydroxyl 기가 단백질과 같은 거대분자와의 결합을 통해 항산화, 항암 및 항균 등의 생리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Rice- Evans et al., 1997). 특히, 곡류에 함유되어 있는 polyphenolic 화합물은 우수한 항산화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iddleton et al., 1994). 귀리 첨가량을 달리한 밥의 이화학 적 성분 등을 조사한 결과 쌀밥보다 단백질, 지방, 기능성 분인 베타글루칸과 총페놀 함량이 증가됨으로써 귀리 첨가 로 쌀밥의 영양성분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Table 1. Chemical properties of cooked rice with different oat content
Oat cont. (%) Protein (%) Fat (%) Starch (%) β-glucan (%) Total phenol (%)
0 8.22±0.11e1) 0.45±0.016g 88.22±0.64a 0.10±0.00g 0.004±0.000e
10 8.75±0.03d 1.14±0.049f 86.44±0.08a 0.41±0.03f 0.007±0.000e
20 9.20±0.05d 2.32±0.010e 82.31±0.23b 0.95±0.02e 0.010±0.000d
30 10.05±0.02c 3.04±0.036d 77.64±1.37c 1.23±0.04d 0.015±0.001c
40 10.83±0.31b 3.98±0.080c 75.33±2.50c 1.80±0.17c 0.021±0.001b
50 11.22±0.305b 4.78±0.039b 71.93±1.82d 2.08±0.03b 0.024±0.001b
100 14.25±0.07a 9.61±0.101a 59.66±0.28e 4.02±0.04a 0.040±0.004a

1) The Values indicate the mean±SD of triplicates.

a-g The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mean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Download Excel Table

귀리의 수용성 베타글루칸은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는데 큰 기여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미국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05)는 매일 3 g의 수용성 베타글루 칸을 섭취하면 심혈관질환을 줄일 수 있다고 하였다.

귀리첨가에 따른 밥의 물성 및 취반 특성

귀리 첨가량을 달리한 귀리밥의 취반 후 물리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경도는 귀리첨가량이 증가할수록 30%까지는 감소하다가 그 이상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Table 2). 점착성은 감소하였고, 응집성, 씹힘성 등은 귀리 첨가량이 30%까지는 감소하였고 그 이상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귀리 첨가량이 30%까지는 부드러운 식감에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Woo et al., 2011). 귀리첨가량에 따 른 귀리밥의 흡수율과 퍼짐성을 조사한 결과는 Fig. 1과 같았다. 흡수율은 10%를 첨가하였을 때 266.8% 이었고 50%를 첨가하였을 때 197.7%로 귀리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퍼짐성도 10%를 첨가하였을 때 429.7% 이었 고 50%를 첨가하였을 때 335.8%로 귀리첨가량이 증가할 수록 감소하였다. 100% 귀리밥의 흡수율은 92.94%이었고, 퍼짐성은 197.56%로써 귀리는 쌀에 비하여 아주 낮은 흡 수율과 퍼짐성을 나타내었다.

Table 2. Texture properties of cooked rice with different oat content
Oat cont. (%) Hardness (Kg) Adhesiveness (kg·sec) Springiness Cohesiveness Gumminess Chewiness
0 2.002±0.169a1) -0.933±0.223c 0.827±0.091a 0.242±0.012a 0.484±0.046a 0.400±0.049a
10 1.593±0.148b -0.884±0.199c 0.727±0.054ab 0.215±0.008b 0.343±0.039b 0.250±0.046b
20 1.450±0.078bc -0.623±0.124b 0.752±0.024ab 0.211±0.005b 0.306±0.018bc 0.230±0.013bc
30 1.141±0.015d -0.452±0.066ab 0.672±0.072b 0.217±0.009ab 0.248±0.008c 0.167±0.021c
40 1.289±0.225cd -0.384±0.136ab 0.739±0.119ab 0.206±0.020b 0.266±0.052c 0.198±0.060bc
50 1.398±0.141bc -0.343±0.055a 0.688±0.066b 0.194±0.017b 0.271±0.042c 0.187±0.040bc

1) The Values indicate the mean±SD of triplicates.

a-c The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mean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Download Excel Table
fep-20-4-328-g1
Fig. 1. Water absorption and expansion of cooked rice with different oat content during cooking. 1)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mean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Download Original Figure
귀리첨가에 따른 지방산조성

귀리함량을 달리하여 첨가한 밥의 지방산 조성 및 불포 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 함량은 Fig. 2와 같았다. 쌀은 리놀 레산(C18:2, Linoleic acid, 37.29%), 팔미트산(C16:0, Palmitic acid, 34.56%), 올레인산(C18:1, Oleic acid, 22.77%), 스테아 르산(C18:0, Stearic acid, 2.72%), 리놀렌산(C18:3, Linolenic acid, 2.66%) 순이었으며, 불포화지방산은 62.72%이었고, 리 놀레산과 팔미트산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귀리는 올레인 산(C18:1, Oleic acid, 47.2%), 리놀레산(C18:2, Linoleic acid, 32.98%), 팔미트산(C16:0, Palmitic acid, 16.58%), 스 테아르산(C18:0, Stearic acid, 2.24%), 리놀렌산(C18:3, Linolenic acid, 1.03%)순이었으며, 불포화지방산은 81.17% 이었고, 올레인산과 리놀레산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러 므로 귀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올레인산이 증가하고 팔미 트산은 크게 감소하였으며, 쌀밥에 비하여 귀리를 첨가함 으로써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크게 증가 하였다.

fep-20-4-328-g2
Fig. 2. Fatty acids (A) and USFA and SFA (B) in cooked rice with different oat content. C16:0, Palmitic acid; C18:0, Stearic acid; C18:1, Oleic acid; C18:3, Linolenic acid; USFA, Unsaturated fatty acid; SFA, Saturated fatty acid. 1)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mean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Download Original Figure
귀리첨가에 따른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α-Tocopherol과 L-ascorbic acid와 같은 항산화제는 지 질과산화 반응과 같이 산소 유래 라디칼에 의해 일어나는 여러 가지 손상 반응에서 라디칼을 환원시켜 손상을 방지 하고 지질과산화 연쇄반응을 종결시킨다. 이때 항산화제는 환원력이 클수록 생체 보호 효과가 크다. 라디칼을 환원 시키는 항산화제의 능력은 상대적으로 안정한 라디칼 구 조를 갖는 DPPH와의 반응을 통하여 알아볼 수 있다(Park et al., 2013). 쌀밥의 DPPH라디칼 소거 활성과 ABTS 라 디칼 소거 활성은 1.087%(Fig. 3), 0.118 μmol TE/g이었 으며(Fig. 4), 귀리는 각각 9.566%, 0.528 μmol TE/g이었 다. 귀리 첨가량을 달리한 귀리밥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10% 첨가에서는 1.703% 이었고 50% 첨가에서는 6.634%로 귀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귀리 첨가량이 10%일 때 0.805 μmol TE/g 이었고, 50%일 때 3.398 μmol TE/g으로 귀리 첨가 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활성은 증가하였다(Fig. 4). 식물계 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페놀성 화합물은 다양한 구조와 분자량을 가지며, 항산화, 항암 및 항균 등의 생리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있다(Rice-Evans et al., 1997). 이는 free radical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phenolic ring의 존재로 기인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항산화성분의 함량이 높은 귀리를 혼반용으로 사용할 경우 쌀밥보다 높 은 항산화활성을 얻을 수 있으며, 쌀귀리 품종들 중 항산 화활성이 높은 품종을 이용한다면 보다 높은 항산화활성 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fep-20-4-328-g3
Fig. 3.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ooked rice with different oat content. 1)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mean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Download Original Figure
fep-20-4-328-g4
Fig. 4.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ooked rice with different oat content. 1)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mean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Download Original Figure
식미 관능평가

귀리 첨가량을 달리한 밥의 관능평가 결과와 귀리밥 사 진을 Table 3과 Fig 5에 나타내었다. 외관에 대한 평가는 30%까지 유의차가 없었고, 40%와 50% 첨가순으로 선호 도가 감소하였다. 맛에 대한 평가는 10%보다 20%와 30% 첨가군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40%와 50%에서 감소하였 다. 색깔은 20% 첨가시 가장 좋았으며 귀리함량이 증가할 수록 감소하였다. 식감의 경우에는 40% 첨가할 때까지 유 의차가 없었으며, 전체적인 선호도의 경우 귀리 첨가량이 30%까지는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귀리 첨가량에 따 른 귀리밥의 경우 귀리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능성분 함량 과 항산화활성이 증가하였으나 관능평가 결과를 고려하여 적합한 첨가량을 결정하였다. 즉, 귀리10% 첨가에서는 사 진에서와 같이 귀리를 첨가한 효과가 거의 없고, 맛 평가 에서도 20% 첨가보다도 낮았으며 전체적인 선호도와 기능 성분 함량 및 항산화활성 등을 고려하였을 경우 귀리를 쌀 과 혼반할 경우에는 20%와 30% 첨가가 가장 적합한 것으 로 나타났다.

Table 3. Sensory quality of cooked rice with different oat content
Oat cont. (%) Appearance Taste Color Texture Overall preference
10 5.67±1.52a1) 5.50±1.06ab 5.83±1.17ab 5.58±1.50a 5.58±1.38a
20 6.42±1.38a 6.25±1.15a 6.25±1.15a 5.83±1.76a 6.33±1.13a
30 5.75±1.42a 5.92±1.67a 5.50±1.47b 5.83±1.86a 6.08±1.44a
40 4.67±1.93b 5.00±1.96bc 4.67±1.40c 4.92±1.91a 4.75±1.48b
50 3.33±1.52c 4.25±1.94c 3.58±1.25d 3.58±1.82b 3.67±1.40c

1) The Values indicate the mean±SD of triplicates.

a-d The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mean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Download Excel Table
fep-20-4-328-g5
Fig. 5. Photograph of cooked rice with different oat content.
Download Original Figure

요 약

본 연구에서는 소비가 증가되고 있는 귀리의 소비형태로 쌀에 첨가한 귀리밥의 이화학성분, 취반특성, 기능성성분을 분석하고, 귀리 첨가량별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귀리밥의 우수성과 적합한 귀리 첨가량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쌀과 비교하여 귀리는 전분함량을 제외한 단백질, 지방 등의 함 량이 높았으며, 총베타글루칸과 총폴리페놀 등의 함량이 높아 귀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귀리밥의 이화학성분함량 과 기능성물질함량 등이 유의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귀 리함량이 증가할수록 경도와 씹힘성 등이 감소하여 부드러 운 특성을 보였고, 흡수율과 퍼짐성은 귀리 함량이 증가할 수록 감소하였다. 귀리밥의 지방산함량은 귀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올레인산이 증가하였고 팔미트산은 크게 감소 하였으며, 쌀밥에 비하여 귀리를 첨가함으로써 불포화지방 산 함량은 크게 증가하였다. 귀리 첨가량을 달리한 귀리밥 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귀리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귀리를 쌀 과 혼반할 경우에는 20%와 30% 첨가가 가장 적합한 것으 로 나타났으며, 귀리를 첨가함으로써 쌀밥의 베타글루칸 함량 및 항산화활성 등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농업과학기술 연 구개발사업(세부과제명; 혼반용 귀리의 소비확대를 위한 가 공적성 구명, 과제번호; PJ010508012016)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References

1.

Boz H. Phenolic anides(avenanthramides) in oats-a review. Czech. J. Food Sci. 2015; 33:399-404.

2.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labeling: Health claims; soluble dietary fiber from certain foods and coronary heart disease. Federal register. 2005; 70(246):76150-76162.

3.

Flander L, Salmenkallio-Marttia M, Suoritti T, Autio K. Optimization of ingredients and baking process for improved whole meal oat bread quality. LWT-Food Sci. Technol. 2007; 40:860-870.

4.

Gandopadhyav N, Hossain MB, Rai DK, Brunton NP. A review of extraction and analysis of bioactivities in oat and barley and scope for use of novel food processing technologies. Molecules. 2015; 20:10884-10909.

5.

Lee MJ, Lee NY, Kim YK, Park JC, Choi ID, Cho SG, Kim JG, Park HK, Park KH, Kim KJ, Kim H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arled hull-less barley cultivars with normal and low amylose content. Food Sci. Biotechnol. 2011; 20:55-62.

6.

Macrae R, Robinson RK, Sadler MJ. Encyclopedia of food science food technology and nutrition. 1993; Academic Press. Salt lake, UT, USA: p. 3319-3322.

7.

Maier SM, Tumer ND, Lupton Jr. Serum lipids in hypercholesterol- lemic men and women consuming oat bran and amaranth products. Cereal Chem. 2000; 77:297-302.

8.

Mccleary BV, Codd R. Measurement of (1-3)(1-4)-β-D-glucan in barley and oat A streamlined enzymic procedure. J. Sci. Food Agric. 1991; 55:303-312.

9.

Mccleary BV, Solah V, Gibson TS. Quantitative measurement of total starch in cereal flours and products. J. Cereal Sci. 1994; 20:51-58.

10.

Middleton E, Kandaswami C. Potential health-promoting properties of citrus flavonoids. Food Technol. 1994; 48:115-119.

11.

Nowman RK, Klopfenstein CF, Newman CW, Gurimo N, Hofer PJ. Comparison of the cholesterol lowering properties of whole barley, oat and wheat red dog in chicks and rats. Cereal Chem. 1992; 69:240-244.

12.

Park SA, Ha JH, Park SN.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Broussonetia Kazinoki SIEB extracts. Appl. Chem. Eng. 2013; 24:177-183.

13.

Peng CH, Chang HC, Yang NY, Huang CN, Wang CJ. Oat attenuate non-alcoholic fatty liver and obesity via inhibiting lipogenesis in high fat-fed rat. J. Funct. Foods. 2013; 5:53-61.

14.

Rafael G, Mancha M. One-step lipid extraction and fatty acid methyl ester preparation from fresh plant tissues. Anal. Biochem. 1993; 211:139-143.

15.

Rice-Evans CA, Miller NJ, Paganga G.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in Plant Sci. 1997; 2:52-189.

16.

Tapola N, Karvonen H, Niskanen L, MIkola M, Sarkkinen E. Glycemic responses of oat bran products in type 2 diabetic patients. Nutr Metab Cardiovasc Dis. 2005; 15:255-261.

17.

Tong L, Liu L, Ahong K, Wang Y, Guo L, Zhou S. Effect of cultivar in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naked oat in China. J. Integr Agric. 2014; 13:1809-1816.

18.

Woo KS, Seo MC, Ko JY, Song SB, Lee JS, Kang Jr, Kwak DY, Oh BG, Nam MH, Jeong HS, Lee J. Physicochemical characteridtics of commercially available cereal crops in Korea. J. Agr. Sci. Chungbuk Nat’l. Univ. 2011; 27:4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