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κ-카라기난과 메틸셀룰로스를 결착제로 사용한 식물성 패티의 냉장저장 중 품질특성

김진원, 유제희, 전창욱1, 신정규1,2,*
Jin Won Kim, Jehee Yu, Changuk Jeon1, Jung-Kue Shin1,2,*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전주대학교 조리·식품산업학과
1전주대학교 한식조리학과
2전주대학교 스마트식품융합기술ICC
Department of Culinary & Food Industry, Jeonju University
1Department of Korean Cuisine, Jeonju University
2Smart Food Convergence Technology ICC, Jeonju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Jung-Kue Shin, Department of Korean Cuisine, College of Culture and Tourism, Jeonju University. 303 Cheonjam-ro, Wansan-gu, JeonJu, 55069. Republic of Korea Tel: +82-63-220-3081; Fax: +82-63-220-3264 E-mail: sorilove@jj.ac.kr

© Korean Society for Food 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

Received: Nov 5, 2020; Revised: Nov 7, 2020; Accepted: Nov 9, 202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the soy-based patties using κ-carrageenan (CG) and methyl-cellulose (MC) as binders. Soy-based patties were prepared using 0%-2% of κ-carrageenan and methyl-cellulose in proportion, and the quality change of soy-based patties was measured by storing them at 4°C for 4 weeks. During the storage periods,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MC 1.5%+CG 0.5%’ showed high values. As the MC content increased, the weight loss and cooking loss tended to decrease, and both values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storage period. As the MC content increased, the lightness and redness tended to decreased. The hardness and chewiness of soy-based patties tended to increase as the MC content increased.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 total aerobic bacteria and the coliforms tended to increase. The VBN content was showed 14.6-17.5 mg%/100g in first week, since then, the VBN content has continued to increase. As a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the springiness,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soy-based patties with ‘MC 1.5%+CG 0.5%’ and ‘MC 2.0%’ showed the highest value.

Keywords: meat analog; isolated soy protein; κ-carrageenan; methyl-cellulose; binder

서 론

식육 섭취로 인한 비만, 심혈관질환, 암 등 건강에 대한 우려 증가(Lee & Jo, 2019)와 환경 문제, 지구 자원의 한 계로 인해 지속 가능하고 경제적인 가격의 육류를 대체할 단백질 공급원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Jung & Cho, 2002). 최근에는 동물복지 문제나 개인의 기호 등에 의한 채식주의자와 할랄(Halal), 코셔(Cosher), 불교, 힌두교 등으 로 육류 섭취를 하지 못하는 이들의 영양성분을 보충할 수 있는 식품으로 육류 대체식품이 주목받고 있기도 하다(Lee & Kim, 2018; Kim, 2020).

조직대두단백(texturized soy protein, TSP)은 육류 대체 식품에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식물성 단백질로 농축대두 단백 또는 분리대두단백을 열가소성 압출(thermoplastic extrusion)하여 식육과 비슷한 질감을 갖도록 하였다(Holay & Harper, 1982). TSP는 지방이 적고 조직 대두 단백질로 만 겔이 형성되기 때문에 결착력과 탄력성이 부족하여 분 쇄제품을 제조할 때 결착제를 사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재구성육 제조 시 식육 입자 간의 결착력을 높이기 위해 겔(gel) 형성능력이 있는 카라기난, 알긴산, 잔탄검, 셀룰로 스검 및 섬유소, 펙틴 등의 다당류가 활용되고 있다(Choi et al., 2013).

저온경화제로도 분류되는 carrageenan은 홍조류로, 저칼 로리와 수분 보유 능력과 점성증가의 특성이 있어 주로 겔 화제, 점증제, 안정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체내 영양흡 수 감소 및 독성물질들과의 결합 등의 효과가 있다(Park et al., 2008). Carrageenan은 보수력이 좋아 가열감량을 적 게 하며 식품에 조직감을 부여하여 식육 가공 제품이나 분 쇄육 제품에 결착제로 사용된다(Chin, 2002). 또한 식육의 조직개량제로 사용될 경우 수분과의 결합능력을 높여서 수 분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감소시켜 보수력을 증가시키 기 때문에 식육의 품질을 높여준다(Choi et al., 2015). 또 한 carrageenan을 식품에 첨가했을 때 지방보유율과 조리 수율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다(Kang et al., 2003). 한편 carrageenan은 침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온에서의 용해시 간이 길고,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필요 이상의 점성을 띄 어 사용량이 제한된다(Song et al., 2007). 메틸 셀룰로스 (methyl-cellulose, MC)는 고온에서 점도가 높아지는 성질 을 가진 cellulose gum 물질로, 저온에서 점도가 높아지고 가열 시 점도가 낮아지는 대부분의 겔화 물질과는 다른 성 질을 가진다. 식품에서 증점제, 냉·해동 안정제로 사용되는 methyl-cellulose는 불용성인 cellulose를 치환반응 통하여 제조하였기 때문에 수용성이면서 겔을 형성할 수 있다 (Choi, 2018).

결착제에 대한 연구로는 carrageenan과 TGase (transglutaminase), ISP (isolated soy protein), 식이섬유를 결착 제로 첨가한 돈육 패티의 품질특성 연구(Choi et al., 2015)와 cellulose와 guar gum이 첨가된 돈육 햄의 결착성 에 대한 연구(Lee et al., 1996; Lee et al., 1997)가 보고되 고 있다. 또한 육류대체식품에 대한 연구(Chung & Lee, 1985;Lee et al., 2014; Kim et al., 2019)도 진행 중이다. 이처럼 육류 결착제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어 있 지만 식물성 단백질에 결착제를 첨가하여 품질특성을 분석 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식물성 단백질에 저온경화, 고온용해의 특성을 나타내는 κ-carrageenan과 고 온경화, 저온용해의 특성을 나타내는 methyl-cellulose를 이 용하여 제조한 식물성 패티의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 및 저 장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Supromax 5050® (Solae do Brasil Indústria e comércio de Alimentos Ltda., Esteio, Brasil), Supromax 5010® (Solae do Brasil Indústria e comércio de Alimentos Ltda., Esteio, Brasil) 두 종류의 TSP를 식물성 패티 제조의 주재료로 사 용하였다. 결착제로는 κ-carrageenan (ES food Co., Ltd., Gunpo, Korea), methyl-cellulose (A11. Any Addy®, Incheon, Korea)를 사용하였으며 부재료로 분리대두단백(isolated soy protein, Avention, Incheon, Korea), 카놀라유(Chungjungone, Daesang Co., Seoul, Korea), 소금(CJ Cheiljedang Co., Ltd., Busan, Korea), 생수(Jeju province development Co., Jeju, Korea)을 사용하였다.

식물성 패티 제조

Kim (2019)의 방법과 ㈜대상에서 제공받은 제조방법을 일부 수정하여 식물성 패티를 제조하였으며 배합비는 Table 1에 나타내었다. Supuromax 5050®와 Supuromax 5010®를 1:2 (w/w)의 비율로 혼합하고 혼합된 중량의 5배 의 물을 넣어 2시간 동안 수화시키고, 탈수기(WS-6600, Hanil Electric, Seoul, Korea)를 사용하여 수화된 TSP를 3 분간 탈수한 뒤 믹서기(SMX-C4545WS, Shinil Co., Ltd., Hwasung, Korea)로 탈수한 TSP를 30초간 분쇄하였다. 분 쇄된 TSP와 분말 재료를 반죽기(KMC550, Kenwood Co., Havant, UK)에 넣어 3단계에서 1분 30초 동안 혼합한 뒤 물과 카놀라유를 넣어 1분 30초간 혼합하였다. 반죽은 약 18 g으로 계량한 뒤 사각 틀(3.5 cm×3.5 cm×5 cm, w×d×h) 에 넣어 3.5 cm×3.5 cm×1.5 cm로 성형하였다. 제조한 식물 성 패티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비닐 팩에 담아 밀봉하여 냉장 4°C에서 4주간 보관하여 만든 직후 0일 차 와 1주일 간격으로 꺼내 실험을 진행하였다.

Table 1. Formulation (%) of soy-based patties and experimental design
Ingredients Samples1)
Control M 0.5 M 1.0 M 1.5 M 2.0
Hydrated-TSP2) 75 75 75 75 75
ISP3) 1.5 1.5 1.5 1.5 1.5
NaCl 1.5 1.5 1.5 1.5 1.5
Oil 8 8 8 8 8
CG4) 2 1.5 1 0.5 -
MC5) - 0.5 1 1.5 2
Water 12 12 12 12 12
Total 100 100 100 100 100

1)Control (κ-carrageenan 2%), M 0.5 (methyl-cellulose 0.5%+κ-carrageenan 1.5%), M 1.0 (methyl-cellulose 1%+κ-carrageenan 1%), M 1.5 (methyl-cellulose 1.5%+κ-carrageenan 0.5%), M 2.0 (methyl-cellulose 2%)

2)Textured soy protein

3)Isolated soy protein

4)κ-Carrageenan

5)Methyl-cellulose

Download Excel Table
중량손실 측정

저장 전 시료의 중량을 측정하고, 저장 후 시료의 무게 를 측정한 후 다음 식으로 중량손실을 계산하였다.

  • W1: Weight of sample before storage (g)

  • W2: Weight of sample after storage (g)

보수력 측정

보수력(water holding capatity, WHC)은 Kim et al. (2018)의 방법을 참고하여 건조된 거즈를 넣어 둔 원심 분 리관에 2 g의 시료(W1)를 정확히 넣고, 4°C로 조절된 자동 저온 원심분리기(1580R, Gyrozen Co., Ltd., Daejeon, Korea)를 이용하여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시료의 무게(W2)를 측정하였다. 보수력은 다음의 공식으로 계산하였다.

  • W1: weight before centrifugation

  • W2: weight after centrifugation

  • f : fat factor

  • free moisture = [(W1W2) /(sample × f ] × 100

  • fat factor = 1 − (fat content)/100

가열감량 측정

식물성 패티의 열처리 전 무게와 심부 온도 71°C가 되 도록 가열한 식물성 패티의 무게를 측정하여 다음 식을 이 용하여 가열감량을 측정하였다.

  • W1: Weight of soy-based patties dough before heating (g)

  • W2: Weight of heated soy-based patties (g)

색도 측정

색차계(Chroma meter CR-400, Konica Minolta, Tokyo, Japan)를 이용하여 반죽과 열처리된 시료의 표면을 L값 (명도, Lightness), a값(적색도, Redness), b값(황색도, Yellowness)을 3회 반복 측정하였으며, 표준 백색판의 값 은 L=96.69, a=0.09, b=1.89이었다.

pH 측정

pH는 시료 5 g과 증류수 45 mL를 filter bag에 넣고 Stomacher (Bagmixer 400VW, Interscience fr., Saint Nom, France)를 사용하여 3분간 균질화한 여액을 pH meter (Docu-pH meter, Sartorius, Gottingen, Germany)로 3회 반 복 측정하였다.

물성 측정

식물성 패티의 물성 검사는 Texture Analyzer (TAXT Express–Enhanced, Stable Microsystems Ltd., Godalming, England)을 이용하여 경도(Hardness), 씹힘성(Chewiness), 탄 력성(Springiness), 응집성(Cohesiveness), 복원성(Resilience) 을 측정하였다. Kim et al. (2015)의 실험 방법을 참고하여 probe는 SMS P/50, 측정 조건은 test mode compression, pre-test speed 1.0 mm/s, test speed 5.0 mm/s, post-test speed 2.0 mm/s, distance 5.0 mm, time 1.0 s, trigger force 10 g으로 측정하였다.

휘발성 염기태 질소 함량 측정

냉장 저장 중 식물성 패티의 단백질 부패 정도를 측정하 기 위한 휘발성 염기태 질소(volatile basic nitrogen, VBN) 함량은 Conway법을 이용한 미량확산법으로 측정하였다 (Short, 1954). Filter bag에 시료 5 g과 증류수 45 mL를 넣 고 Speed 3에서 3분간 Stomacher (Interscience fr.)로 균질 화하여 Whatman filter No. 2으로 여과하였다. 여과액 1 mL를 conway 외실 왼쪽에 넣고, 내실에는 0.01 N H2SO4 1mL를 넣고, conway dish 외실 오른쪽에 K2CO3 포화용 액 1 mL를 넣은 후 glycerin을 뚜껑에 바른 뒤 conway dish를 밀폐한다. Conway dish의 내실과 외실의 용액이 섞 이지 않도록 외실의 용액을 잘 혼합한 뒤 37°C의 incubator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시킨 conway dish 내실의 0.01 N H2SO4에 brunswik 시약 50 μL를 넣은 뒤 0.01 N의 NaOH 용액으로 적정하였다. 공시험(blank test)은 증류수를 사용하여 진행한 뒤 다음 식에 따라 계산 하였다.

  • W: 검사 시료 채취량(g)

  • f: 0.01N-NaOH의 역가

  • d: 희석배수

  • a: 시험 용액 적정 mL

  • b: blank test 적정 mL

미생물 분석

저장 과정 중 식물성 패티의 일반세균수와 대장균군을 알아보고자 시료를 5 g씩 계량하여 45 mL의 생리식염수와 함께 filter bag에 넣고 Speed 3에서 3분간 Stomacher (Interscience fr.)로 균질화하였다. 균질화한 시료의 여액을 10배씩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멸균한 Plate Count Agar (PCA, BD Difco Laboratories, Sparks, MD, USA)와 Desoxycholate Lactose Agar (DLA, BD Difco Laboratories) 에 각각 0.1 mL씩 도말하였다. PCA 평판배지와 DLA 평 판배지는 35°C Incubator (HB-101M, Hanbaek Scientific Co., Ltd., Bucheon, Korea)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평판 배지에 형성된 15-300개 사이의 군락 수를 계수하고 희 석배수를 곱하여 미생물의 집락 형성능(CFU/g)으로 표기 하였다.

관능평가

전주대학교 한식조리학과 재학생 40명을 대상으로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시료는 오븐(EON-C326, SK Magic Co., Ltd., Hwasung, Korea)에서 180°C에서 15분간 가열하 여 조리적용을 목적으로 시료와 함께 식물성 재료로 만들 어진 A1 steak sauce (Kraft Heinz Food Company, Co., Seoul, Korea)를 함께 제공하였다. 관능평가는 7점 척도법 의 기호도 평가로 시료 번호는 난수표에서 무작위 3개의 숫자를 선정하였으며, 플라스틱 1회용 용기에 각 조건 별 로 시료 1개씩, 상온의 물과 함께 제공하였다. 검사 전 패 널들에게 실험의 목적과 평가 방법 및 주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전주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 (Jeonju University 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승인을 받 아 수행되었다(IRB No.: jjIRB-2017-0910).

통계분석

SPSS Version 24.0 package program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실험 결과의 평균과 표준 편차를 구하였다. 분산분석(One way ANOVA)과 p<0.05 수준에서 Duncan 다중범위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법을 사용하여 각 시료 간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및 고찰

보수력 및 가열감량

보수력은 육제품의 품질에 중요한 척도로, Table 2는 냉 장저장 중 식물성 패티의 보수력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저장 1주 때까지의 보수력은 증가하였 다가 2주부터 보수력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패티의 제조에 사용된 소금이 단백질의 용해도를 증가시켜 패티가 고체화됨으로서 수분의 유출이 차단되었다가, 이후 단백질 이 분해되어 수분 유출이 증가되어 보수력이 감소된 것으 로 생각된다(Kim, 2019). 또한 식육 제품의 보수력은 수소 이온농도와 관계가 있는데 높은 pH는 보수력을 증가시킨 다는 연구결과가 있다(Choi et al., 2006; Jin et al., 2011). 본 실험에서 저장 기간에 따른 보수력의 감소는 pH의 증 가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2. Changes of water holding capacity (%) of soy-based patties with κ-carrageenan and methyl-cellulose as binder during stored periods at 4°C
Samples Storage period (week)
0 1 2 3 4
Control B74.74±1.51b D76.26±1.10a C68.86±0.84c D69.92±0.71c NS65.94±0.51d
M 0.5 B75.51±1.18b C78.69±0.81a B73.20±1.49cd C74.80±1.12bc 72.22±0.83d
M 1.0 B75.67±0.84b BC79.24±0.42a A76.94±1.88b B76.96±0.71b 75.84±1.80b
M 1.5 AB76.43±1.12c A80.67±0.83a A78.11±0.83b B76.61±1.32c 75.54±0.51c
M 2.0 A78.06±1.48b AB80.05±0.83a A77.59±2.04b A78.88±0.74ab 74.27±0.35c

1)Mean±SD

NS: Not Significant

a-dSuperscriptive letters in a row indicate significance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ESuperscriptive letters 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ce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ownload Excel Table

결착제의 첨가 비율에 따라서는 control보다 methylcellulose가 첨가된 시료들의 보수력이 높았는데, methylcellulose가 최대 40배의 수분 보유능력과 노화에 대한 저 항성을 가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Glicksman, 1963). 본 연 구 결과는 여러 종류의 결착제를 이용하여 만든 돈육 패티 의 보수력을 측정해보았을 때, carrageenan 첨가 시료보다 밀 식이섬유 첨가 시료의 보수력이 유의적으로 높았다는 Choi et al. (2015)의 결과와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Cellulose 와 같은 식이섬유는 섬유구조가 다양하여 높은 팽윤 능력 과 보수력을 가지는데, 이 영향으로 methyl-cellulose가 첨 가된 패티의 보수력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Lee et al., 1997).

κ-Carrageenan과 methyl-cellulose의 첨가 비율을 달리하 여 제조한 식물성 패티의 저장 기간 중 가열감량은 Table 3과 같다. 식물성 패티의 가열감량은 저장 1주까지 감소 하였다가 이후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앞의 보수력 과 상반된 경향을 보여준다. 식육은 보수력이 높을 때 가 열하여도 수분을 보유할 수 있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증가 하여 가열감량이 낮아지기 때문에(Jung, 2009), 가열감량의 감소는 보수력과 연관 지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methylcellulose가 첨가된 시료가 대조구(control)와 비교했을 때 유의적으로 낮은 가열감량을 보였는데, Lee et al. (1996)의 실험에서 cellulose의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돈육 패티의 cellulose 함량이 높을수록 가열감량과 수축률이 감소되었 다는 결과와 유사했다.

Table 3. Changes of cooking loss (%) of soy-based patties with κ-carrageenan and methyl-cellulose as binder during stored periods at 4°C
Samples Storage period (week)
0 1 2 3 4
Control A16.59±0.40b A15.77±0.27c A16.74±0.23b A17.28±0.19a A17.57±0.29a
M 0.5 B15.64±0.42c CD13.53±0.33d B15.83±0.24bc B16.37±0.32ab B16.50±0.23a
M 1.0 B15.33±0.48a B14.15±0.11b C15.04±0.79ab C14.96±0.33ab C15.27±0.44a
M 1.5 C14.11±0.21b D13.22±0.11c D13.79±0.38bc C14.77±0.47a C15.19 0.40a
M 2.0 C13.72±0.35b BC13.74±0.40b D14.15±0.18ab C14.46±0.47ab C14.73±0.47a

1)Mean±SD

a-dSuperscriptive letters in a row indicate significance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ESuperscriptive letters 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ce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ownload Excel Table
중량손실

냉장저장 중 결착제의 첨가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식 물성 패티의 중량손실은 Table 4와 같다. 저장 기간이 경 과 할수록 식물성 패티의 중량손실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 였다. 보수력의 감소는 육즙손실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데 (Jin et al., 2002) 저장기간 중 식물성 패티의 보수력 감소 가 중량손실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M 2.0의 중량손실은 1.04-2.04%, control은 1.27-2.32%로 시료에 첨 가된 methyl-cellulose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중량손실이 낮 아졌으나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Table 4. Changes of weight loss (%) of soy-based patties with κ-carrageenan and methyl-cellulose as binder during stored periods at 4°C
Samples Storage period (week)
1 2 3 4
Control NS1.27±0.33c NS1.52±0.22bc NS1.76±0.12b NS2.32±0.06a
M 0.5 1.11±0.09c 1.56±0.19b 1.71 0.06b 2.30±0.10a
M 1.0 1.11±0.00c 1.34±0.30bc 1.65±0.09b 2.20±0.49a
M 1.5 1.05±0.18c 1.31±0.17bc 1.55±0.13b 2.13±0.24a
M 2.0 1.04±0.14c 1.20±0.31bc 1.57±0.06b 2.04±0.31a

1)Mean±SD

NS: Not Significant

a-dSuperscriptive letters in a row indicate significance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ownload Excel Table
색도

냉장저장 기간 중 식물성 패티의 색도 변화는 Table 5에 나타내었다.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저장 기간에 큰 영향 없이 증감을 반복하였다. 결착제의 첨가 비율에 따른 L*값 은 control 명도가 가장 높았고 methyl-cellulose가 첨가된 시료가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Carrageenan이 첨가 된 식품을 저장 할 경우 carrageenan이 식품의 백탁을 증 가시켜 명도가 증가하였다는 보고(Choi & Oh, 2009)와 유 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a*값은 유의적 으로 증가하였으며, 결착제의 첨가 비율에 따른 a*값은 L* 값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Kim et al. (1997)는 미강 식 이섬유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생국수의 적색도가 증가한다 는 연구결과를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 타내었다. 저장 기간은 식물성 패티의 b*값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두부와 TSP의 주원료가 콩 단백질인 점에 서 두부를 냉장 저장하였을 때 명도와 황색도의 경향이 뚜 렷하지 않다는 연구결과(Park et al., 2010)와 유사한 결과 를 보여주었다.

Table 5. Changes of color values of soy-based patties with κ-carrageenan and methyl-cellulose as binder during stored periods at 4°C
Samples Storage period (week)
0 1 2 3 4
L* Control A71.36±0.20b A71.24±0.17b A71.36±0.02b A71.36±0.05b A72.84±0.06a
M 0.5 B70.64±0.03b B69.79±0.12d B70.90±0.12a B70.22±0.13c B70.25±0.06c
M 1.0 C69.13±0.10b C68.74±0.07c D69.59±0.02a C69.70±0.11a C69.68±0.03a
M 1.5 D68.67±0.25d D68.47±0.10d C70.69±0.17a B70.24±0.23b C69.58±0.05c
M 2.0 E67.94±0.17d C68.84±0.10b D69.70±0.03a D68.31±0.12c D68.18±0.07c
a* Control C3.99±0.03c E4.28±0.02b D4.41±0.02a C4.54±0.06a D4.41±0.06a
M 0.5 B4.22±0.07e D4.43±0.02d C4.64±0.01b A4.75±0.01a B4.68±0.01c
M 1.0 A4.40±0.02d B4.72±0.02c A4.82±0.01a BC4.60±0.07b C4.56±0.02c
M 1.5 A4.44±0.10c A4.85±0.02a B4.74±0.06bc AB4.71±0.05ab C4.57±0.00ab
M 2.0 A4.49±0.06d C4.63±0.03b C4.61±0.02c AB4.72±0.11c A4.92±0.01a
b* Control C21.20±0.17b E22.14±0.09a B22.13±0.07a B21.41 0.14b A21.95±0.09a
M 0.5 C21.46±0.32d C22.74±0.05a AB22.42±0.09b A22.02±0.01c B21.48±0.11d
M 1.0 A23.09±0.07a D22.49±0.06b A22.55±0.09b A21.97±0.49c A21.99±0.06c
M 1.5 B22.24±0.47b B23.01±0.13a C21.79±0.20b C21.75 0.37b C21.77±0.12b
M 2.0 AB22.64±0.14b A23.33±0.10a C21.47±0.12cd C21.62±0.73c D20.97±0.03d

1)Mean±SD

a-dSuperscriptive letters in a row indicate significance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ESuperscriptive letters 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ce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ownload Excel Table
pH

κ-Carrageenan과 methyl-cellulose를 넣어 냉장저장 한 식 물성 패티의 pH 변화는 Table 6과 같다. 모든 시료의 pH 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품의 pH값은 미생물에 의한 젖산의 축적, 염기성 물질의 형성, 첨가물의 종류나 원재료, 배합비, 저장 조건 등에 따 라 변화하는데(Winger & Fennema, 1976), 대두에 존재하 는 citr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 등의 유기산(Moon et al., 2011)과 palmitic acid, stearic acid, arachidic acid 등의 지방산이(Lee et al., 2014) 식물성 패티의 pH에 영향 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Methyl-cellulose가 첨가된 식물 성 패티의 시료의 pH가 control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는데, 미강 식이섬유의 첨가가 많아질수록 식육 제품의 pH가 증 가한다는 연구(Choi et al., 2008)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Table 6. Changes of pH of soy-based patties with κ-carrageenan and methyl-cellulose as binder during stored periods at 4°C
Samples Storage period (week)
0 1 2 3 4
Control C6.81±0.01a D6.53±0.01b C6.34±0.01c C6.31±0.01d C6.06±0.01e
M 0.5 C6.81±0.01a C6.57±0.01b D6.21±0.01d D6.27±0.01c E5.89±0.01e
M 1.0 B6.85±0.01a E6.51±0.00b E6.27±0.01c E6.2±0.01d D5.94±0.01e
M 1.5 A6.87±0.01a B6.71±0.01b B6.37±0.01d B6.52±0.01c B6.21 0.01e
M 2.0 A6.88±0.01a A6.88±0.01a A6.77±0.01c A6.82±0.01b A6.54±0.01d

1)Mean±SD

a-dSuperscriptive letters in a row indicate significance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ESuperscriptive letters 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ce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ownload Excel Table
물성 측정

냉장에서 4주 동안 저장한 식물성 패티의 물리적 조직감 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경도(Hardness)와 씹힘 성(Chewiness)은 주차가 거듭되고 methyl-cellulose의 함량 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1-3%의 밀 식이섬유를 첨가한 치킨 너겟에서, 첨가량이 높 아질수록 치킨 너겟의 경도와 씹힘성의 값이 증가한다는 Kim & Kim (2016)의 연구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저장 기간 중 탄성(Springiness)은 methyl-cellulose가 첨가된 시 료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응집력(Cohesiveness)과 복원성 (Resilience)은 별다른 경향을 보이지 않았고 시료 간의 차 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Yeom et al. (2016)의 연구에서 현 미 식이섬유를 달리하여 브라우니를 제조하였는데, 현미 식이섬유의 첨가율이 높아질수록 탄력성은 증가하였고 복 원성과 응집성은 유의적 차이 없이 비슷한 수준이었다고 보고하여 본 실험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Table 7. Changes of texture analysis of soy-based patties with κ-carrageenan and methyl-cellulose as binder during stored periods at 4°C
Samples Storage period (week)
0 1 2 3 4
Hardness (N) Control C1889.51±19.40c E1704.55±91.31d C1910.96±175.93c BC2175.11±48.09b D2458.04±99.29a
M 0.5 C1925.00±68.12c D1804.54±50.74c C1932.19±174.57c C2123.09±80.76b C2596.91±27.82a
M 1.0 B2119.60±161.78b C1900.92±26.86c B2245.12±75.40b BC2219.82±141.33b B2680.84±45.81a
M 1.5 A2269.23±123.00b B1996.60±36.13c B2351.53±80.53b B2309.31±187.41b A2808.40±55.51a
M 2.0 A2381.79±38.03c A2087.86±71.74d A2680.86±81.18b A2596.35±95.40b A2868.17±63.10a
Chewiness (J) Control C345.02±17.16d C356.89±16.11d C403.12±15.39c B646.56±22.69b B722.59±32.04a
M 0.5 B456.23±29.68d B544.66±14.6c B539.52±19.43c A746.39±12.99b A845.45±14.93a
M 1.0 A522.10±9.63e AB572.66±50.09d A651.16±19.07c A774.52±21.50b A843.77±18.26a
M 1.5 A525.45±12.96c A599.49±11.04b B509.58±51.13c C614.60±14.25b A829.16±39.00a
M 2.0 B461.51±14.89e A592.75±12.42d A663.20 57.35c A742.88 37.94b A860.56±28.85a
Springiness (mm) Control C0.45±0.02c B0.48±0.03c A0.91±0.13a A0.93±0.10a A0.70±0.03b
M 0.5 A0.67±0.04b A0.61±0.07b A0.86±0.13a AB0.83±0.05a B0.64±0.03b
M 1.0 B0.62±0.02c A0.61±0.04c B0.74±0.02b B0.79±0.05a A0.72±0.04b
M 1.5 C0.49±0.05c B0.51 0.02c C0.56±0.05bc C0.63 0.10b A0.72±0.04a
M 2.0 C0.46±0.03d A0.62±0.04b C0.59±0.02bc C0.56±0.04c AB0.68±0.03a
Cohesiveness Control NS0.44±0.03d B0.47±0.02c A0.53±0.02a A0.50±0.02b C0.47±0.01c
M 0.5 0.44±0.01c B0.47±0.01b B0.50±0.01a B0.47±0.01b C0.48±0.04ab
M 1.0 0.44±0.01d B0.48±0.01c B0.50 0.01b B0.48±0.02c B0.58±0.01a
M 1.5 0.43±0.01d A0.52±0.01b C0.46±0.02b C0.45±0.01bc A0.65±0.03a
M 2.0 0.42±0.02c A0.51±0.01b D0.43±0.02c C0.44±0.01c AB0.61±0.10a
Resilience Control NS0.19±0.00b A0.22±0.01a A0.23±0.02a A0.18±0.00b A0.18±0.01b
M 0.5 0.18±0.01b C0.18±0.00b B0.18±0.01b B0.16±0.01c A0.33±0.02a
M 1.0 0.19±0.01c B0.20±0.00b B0.17±0.01d B0.16±0.00e B0.36±0.01a
M 1.5 0.18±0.01bc B0.20±0.01b B0.18±0.01bc B0.17±0.00c B0.44±0.03a
M 2.0 0.19±0.01b C0.19±0.00b B0.17±0.01b B0.17±0.01b C0.45±0.04a

1)Mean±SD

NS: Not Significant

a-dSuperscriptive letters in a row indicate significance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ESuperscriptive letters 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ce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ownload Excel Table
휘발성 염기태 질소 함량 및 미생물 분석

냉장저장 중 식물성 패티의 휘발성 염기태 질소 함량은 Table 8과 같다. 저장 기간이 지날수록 모든 처리구의 휘발 성 염기태 질소 함량이 높아짐을 볼 수 있었으며, methylcellulose 함량에 따른 시료의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이 는 κ-carrageenan과 methyl-cellulose가 식물성 패티의 단백 질 부패 정도에 관여하지 않음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 식 품공전에서 30-40 mg/100g을 초과하면 부패육으로 판정하 고 있는데(Korean Food Standards Codex, 2020), 냉장저장 2주 차에는 모든 시료가 35.88-37.33 mg/100g으로 부패가 시작되는 수치를 보였으며, 3주차에는 모든 시료가 허용치 밖의 수치를 보였다.

Table 8. Changes of VBN content (mg %/100g) of soy-based patties with κ-carrageenan and methyl-cellulose as binder during stored periods at 4°C
Samples Storage period (week)
0 1 2 3 4
Control NS10.21±0.51e NS16.33±1.34d NS37.33±2.02c NS44.92 1.34b A53.38±1.52a
M 0.5 10.50±0.88e 16.92±0.51d 37.04±0.51c 44.92±2.20b A53.96±1.34a
M 1.0 10.79±1.01e 16.63±0.88d 36.17±1.34c 45.50±0.00b C51.04±0.51a
M 1.5 10.50±0.88e 15.17±1.34d 36.46±0.51c 43.17±1.01b BC51.33±0.51a
M 2.0 10.21±0.51e 15.75±1.52d 35.88±0.88c 44.63 0.88b AB53.08±0.51a

1)Mean±SD

NS: Not Significant

a-dSuperscriptive letters in a row indicate significance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ESuperscriptive letters 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ce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ownload Excel Table

저장 기간 중 미생물의 변화는 Table 9에 나타내었다. 저장 1주 차의 일반 세균은 102-103 CFU/g의 수준이었으 나 2주 차부터 106-108 CFU/g의 증가를 보였다. 대장균은 저장 0일 차에 검출되지 않았으나 이후 1주 차에 104 CFU/g, 이후엔 107-108 CFU/g 수준까지 증가하였다. 대장 균군은 분변 오염의 지표군으로 검출될 경우 식품이 비위 생적인 환경에서 처리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Kang et al., 2003). κ-Carrageenan과 methyl-cellulose의 함량에 따라 뚜렷한 경향이 없는 것으로 보아, 미생물의 억제에는 영향 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실험실 내 작업 환 경과 제조과정에서 오염이나, 살균공정을 거치지 않은 채 시료가 제조, 저장되어 초기오염도를 줄이고 가열, 살균공 정을 추가하여 안정성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9. Changes of total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s (log CFU/g) of soy-based patties with κ-carrageenan and methyl-cellulose as binder during stored periods at 4°C
Samples Storage period (week)
0 1 2 3 4
Total aerobic bacteria (log CFU/g) Control B3.25±0.04e A6.07 0.07d A7.48±0.02c B7.78±0.01b A8.22±0.02a
M 0.5 C2.99±0.13d B5.53±0.12c C7.27±0.07b C7.46±0.05ab C7.64±0.13a
M 1.0 B3.26±0.05d A6.19±0.10c BC7.33±0.01b AB7.88±0.13a B8.00±0.08a
M 1.5 A3.56±0.07d A6.08±0.13c B7.38±0.03b AB7.87±0.08a B7.89±0.08a
M 2.0 B3.26±0.06d C5.31±0.02c D7.08±0.07b A7.98±0.11a B7.99±0.08a
Coliforms (log CFU/g) Control NS0.00±0.00d NS4.07±0.02c A7.23±0.05b A7.29±0.12b B8.07±0.12a
M 0.5 0.00±0.00d 4.10±0.01c A7.02±0.21b B7.00±0.04b A8.27±0.08a
M 1.0 0.00±0.00e 4.11±0.01d B6.69±0.13c A7.29±0.06b C7.77±0.13a
M 1.5 0.00±0.00e 4.07±0.01d B6.69±0.07c A7.20±0.11b AB8.22±0.04a
M 2.0 0.00±0.00e 4.05±0.04d C6.43±0.09c B6.85±0.11b B8.06±0.07a

1)Mean±SD

NS: Not Significant

a-dSuperscriptive letters in a row indicate significance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ESuperscriptive letters 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ce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ownload Excel Table
관능평가

기호도 평가는 7점 척도법으로 외관(Appearance), 외부 색(Surface color), 내부 색(Inside color), 콩 향(Bean flavor), 부드러움(Tenderness), 탄력성(Springiness), 다즙성(Juiciness), 조밀도(Compactness), 맛(Taste),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를 조사하여 Table 10에 나타내었다. 외관의 기호도 항목에서는 M 1.0이 4.21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나, 결착제 비율에 상관없이 3.92-4.21 범위의 점수 를 나타내어 각 시료 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외부 색, 내부 색, 콩 향 항목에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나 타나지 않았으며, 결착제의 종류는 기호도에 영향을 미치 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식감에 있어서 부드러움과 다즙 성 항목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탄력성과 견고함 항목 에서는 M 1.0, M 1.5, M 2.0에서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도 탄력성과 견고함 항목과 비슷한 결 과를 보였다. Choi et al. (2008)은 소시지에 미강 식이섬 유를 첨가하여 기호도 평가를 진행하였는데, 1%, 2% 첨가 군이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는 보고가 있다. 본 관능평가의 결과 M 1.5 여러 관능 특성과 전체 적인 기호도에서 좋은 것으로 보여, 식물성 패티의 결착제 로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Table 10. Preference acceptance score of soy-based patties with κ-carrageenan and methyl-cellulose as binder
Sensory attributes Samples
Control M 0.5 M 1.0 M 1.5 M 2.0
Appearance 4.15±1.29NS 3.92±1.20 4.21±1.30 4.08±1.35 4.08±1.38
Surface color 4.15±1.44NS 4.05±1.26 4.21±1.34 3.97±1.50 4.23±1.27
Inside color 3.56±1.43NS 3.67±1.28 4.13±1.30 3.82±1.17 3.67±1.24
Bean flavor 3.33±1.34NS 3.74±1.19 3.72±1.41 3.95±1.36 3.69±1.44
Tenderness 4.62±1.48NS 4.56±1.33 4.49±1.35 4.67±1.32 4.36±1.53
Springiness 2.95±1.32b 3.95±1.38b 4.51±1.12a 3.31±1.32a 4.33±0.93a
Juiciness 4.23±1.18NS 4.05±1.17 4.28±1.23 4.13±1.20 4.18±1.12
Compactness 4.13±1.20c 4.26±1.14bc 4.85±1.14a 4.70±1.15ab 4.67±1.11abc
Taste 2.92±1.44b 3.49±1.32ab 4.03±1.56a 3.87±1.36a 4.00±1.41a
Overall acceptability 2.90±1.10c 3.54±1.10b 4.12±1.42a 4.08±1.09a 4.28±0.83a

1) Mean±SD

NS: Not Significant

a-cSuperscriptive letters in a row indicate significance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ownload Excel Table

요 약

본 연구는 κ-carrageenan과 methyl-cellulose의 비율을 달 리하여 식물성 패티의 결착제로 첨가하여 제조하고 수분함 량, 보수력, 중량손실, 가열감량, 색도, pH, 물성, 휘발성 염기태 질소 함량, 미생물 분석, 관능 특성을 측정하였다.

보수력은 저장 기간에 따라 감소했으며, methyl-cellulose 가 첨가된 시료의 보수력이 높게 나타났다. 중량손실은 유 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가열감량은 저장 기간에 따라 높아 졌고 methyl-cellulose가 첨가된 시료의 가열감량이 낮았다. κ-Carrageenan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높은 명도를 보였고, 저장 기간에 따라 적색도는 증가했다. 주차가 거듭될수록 pH는 낮아졌으며, 경도와 씹힘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식물성 패티의 휘발성 염기태 질소 함량과 미생물 은 결착제의 비율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아, 결착제의 종류가 단백질 부패와 미생물 증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패티의 기호도 평가는 탄력성, 견고함, 전체적 기호도에서 M 1.0-2.0의 시료가 높은 점수로 나타 났다.

Methyl-cellulose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중량손실과 가열감 량은 적어지고 보수력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식물 성 패티를 조리할 때 수분과 지방이 유출되어 다즙성, 조 직감, 기호도가 낮아질 수 있는데 methyl-cellulose의 첨가 가 이러한 부분을 보완해 줄 것으로 생각된다. 식물성 패 티에 methyl-cellulose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명도가 낮아지 기 때문에 적정량을 첨가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methyl-cellulose가 1.5%, κ-carrageenan 이 0.5% 첨가된 식물성 패티가 육류 대체재의 결착제로서 품질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Author Information

김진원: 전주대학교 대학원생(석사과정)

유제희: 전주대학교 대학원생(석사과정)

전창욱: 전주대학교 학부과정

신정규: 전주대학교 교수

감사의 글

본 연구는 농림축산식품부(고부가가치 식품기술개발사업, 과제번호: 317040-05)의 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Chin KB.2002. Manufacture and evaluation of low-fat meat products (a review). Korea J. Food Sci. Ani. Resour. 22: 363-372.

2.

Choi EJ, Oh MS.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bean starch gels with various hydrocolloids. Korean J. Food Culture 24: 540-551.

3.

Choi NA.2019. Food Texture. Yemoondang, Seoul. pp. 31-100.

4.

Choi YC, Jung KH, Chun JY, Choi MJ, Hong GP.2013. Effects of high pressure and binding agent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structured pork. Korean J. Food Sci. An. 33: 664-671.

5.

Choi YS, Jeon KH, Park JD, Seo DH, Ku SK, Oh NS, Kim YB.2015. Comparison of pork patty quality characteristics with various binding ag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31: 588-595.

6.

Choi YS, Jeong JY, Choi JH, Han DJ, Kim HY, Lee MA, Kim HW, Paik HD, Kim CJ.2008. Effect of dietary fiber from rice bra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type sausage. Korean J. Food Sci. An. 1: 14-20.

7.

Choi YS, Jeong JY, Choi JH, Lee MA, Lee ES, Kim HY, Han DJ, Kim JM, Kim CJ.2006. Effect of immersion period after tumbling processing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boiled pork loin with soy sau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379-385.

8.

Chung RW, Lee HG.1985. Effect of texturized soy protein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and texture of meat balls (wanja). Korean J. Soc. Food Sci. 12: 65-73.

9.

Glicksman M.2008. Utilization of synthetic gums in the food industry. Vol. 12, pp. 283-366. In: Advanced in Food Research. Chichester CO, Mrak EM, Stewart GF (ed). Academic Press Inc., New York, NY, USA.

10.

Holay SH, Harper JM.1982. Influence of the extrusion shear environment on plant protein texturization. J. Food Sci. 47:1869-1874.

11.

Jin SK, Kim IS, Hah KH.2002. Changes of pH, drip loss, microbes for vacuum packaged exportation pork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 201-205.

12.

Jin SK, Shin DK, Hur IC.2011. Effects of moisture content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y-cured ham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1: 756-762.

13.

Jung IC, Lee GS, Moon YH.2009. Changes in the quality of ground beef with additions of medical plants (cinnamon, licorice and bokbunja) during cold stor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224-230.

14.

Jung JY, Cho EJ.2002. The effect of green tea powder levels on storage characteristics of tofu.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129-135.

15.

Kang EZ, Kim SY, Ryu CH.2003. A study on preparation of wanjajun for cook/chill system II. quality characteristics of wanjajun containing hydrocolloi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667-672.

16.

Kim HG.2019. Physicochemical, sensory and storage stability of meat analogue by applied emulsion technique. M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17.

Kim HG. Bae JH, Wi GH, Kim HT, Cho YJ, Cho MJ.2019.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of meat analog mixed with different liquid materials as an animal fat substitute. Food Eng. Pro. 23: 62-68.

18.

Kim HJ, Kim HJ, Jeon JJ, Oh SJ, Nam GC, Sim GS, Jeong JH, Kim KS, Choi YI, Kim SH, Jang ER.2018. Comparison of quality and bioactive compounds in chicken thigh meat from conventional and animal welfare farm in Korea, Korean J. Poult. 45: 261-272.

19.

Kim HM, Kim JN, Kim JS, Jeong MY, Yun EY.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tty prepared with mealworm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813-820.

20.

Kim HY, Kim GY.2016. Development of chicken nuggets added with wheat fib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 731-735.

21.

Kim JW.2020. Quality properties of soy based patties with carrageenan and methyl cellulose as binder. MS thesis, Jeonju University, Jeonju, Korea.

22.

Kim YS, Ha TY, Lee SH, Lee HY.1997. Effect of rice bran dietary fiber on flour rheology and quality of wet nood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90-95.

23.

Food and Drug Administration.2020. Korean Food Standards Codex. Available from: https://www.foodsafetykorea.go.kr/portal/safefoodlife/food/foodRvlv/foodRvlv.do. Accessed June 20.

24.

Lee CL, Choi YI, Cho HG, Hwang HJ, Kim DH.1997. A study on binding ability, microstructure and storage charateristics of guar gum-added restructured pork ham. Korean J. Anim. Sci. 39: 437-445.

25.

Lee CL, Park JK, Cho HG, Choi YI.1996. A study on binding ability, microstructure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celluloseadded restructured pork ham. Korean J. Anim. Sci. 38: 613-620.

26.

Lee HJ, Jo CH.2019. Trends in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meat in the world. World Agriculture 223: 51-67.

27.

Lee HY, Shin YM, Hwang CE, Lee BW, Kim HT, Ko JM, Baek IY, An MJ, Choi JS, Seo WT, Cho KM.2014. Production of soybean meat using Korean whole soybean and it's quail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Life Sci. 48: 139-156.

28.

Lee JM, Kim YL.2018. Trends and implications of alternative livestock development. Farming Focus 170: 1-20.

29.

Moon HK, Lee SW, Moon JN, Kim DH, Yoon WJ, Kim GY,2011. Quailty chatacteristics of various beans in distributio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215-221.

30.

Park BH, Koh KM, Jeon ER.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prepared with lycii fructus powder during storag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6: 586-595.

31.

Park KS, Choi YI, Lee SH, Kim CH, Auh JH.2008. Application of functional carbohydrates as a substitute for inorganic polyphosphate in pork meat process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18-121.

32.

Short EI.1954. The estimation of total nitrogen using the conway micro-diffusion cell. J. Clin. Pathol. 7: 81-83.

33.

Song EJ, Lee SY, Kim KBWR, Park, JG, Kim JH, Lee JW, Byun MW, Ahn DH,2007.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e physical properties of alginic acid and λ-carrageen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902-907.

34.

Winger RJ, Fennema O.1976. Tenderness and water holding properties of beef muscle as influenced by freezing and subsequent storage at -3oC or 15oC. J. Food Sci. 41: 1433-1438.

35.

Yeom KH, Kim JH, Lee JH, Bae IH, Chun SS.2016. Quality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acceptability of brownies rice bran dietary fib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 1823-1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