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레토르트 파우치된 카레소스의 살균 및 저장 조건에 따른 품질변화
박성배, 정하열, 구본열1,*
Quality Changes of Retort Pouched Curry Sauce by Various Sterilization and Storage Conditions
Song-Bae Park, Ha-Yull Chung, Bon-Yeol Koo1,*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
한경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및 한국전통식품글로벌센터
Department of Food Science & Biotechnology and Korea Traditional Foods Global Center,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1Department of Hotel Culinary & Catering Management, Chungwoo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Bon-Yeol Koo, Department of Hotel Culinary & Catering Management, Chungwoon University, Daehakgil-25, Hongseongeup Hongseong-gun, Chungnam 350-701, Korea Tel: 82-41-630-3274; Fax: 82-41-634-8700
kby913772@chungwoon.ac.kr
© Korean Society for Food 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Aug 10, 2015; Revised: Sep 16, 2015; Accepted: Oct 12, 2015
Abstract
Quality changes of retort pouched curry sauces were studied under various sterilization and storage conditions. The retort pouched curry sauces sterilized at 110°C for 30 min and stored at 37°C showed the lowest sensory qualities among the tested samples. Meanwhile, when the sample was sterilized at 101°C for 60 min and stored at 4°C, the quality changes of the sauces were not significant during 30 days of storage. The taste sensing results of curry sauces showed that there were not a lot of changes in flavor when stored at 4°C while the sauces stored at 37°C showed increases in bitterness and sourness which eventually caused degradation of total quality. Sensory evaluation results of the samples stored at 4°C (4.3 points) and at 37°C (3.5 points) also coincided with the taste sensing results. Conclusively, it is desirable to sterilize the retort pouched curry sauce at 101°C for 60 min and to store at 4°C until consumption (if possible, within 30 days). Further, the acid value (1.01) and pH (3.88) of curry sauces were found to be used as quality change indices for references.
Keywords: retort pouched curry sauce; sensory evaluation; taste sensing
서 론
카레(Curry)는 강황(Curcuma longa L.)과 후추, 생강 등 과 같은 식물의 뿌리, 잎, 껍질, 꽃봉오리, 종자 등을 건조 하고 분말화한 여러 향신료를 사용해 야채나 고기 등으로 맛을 낸 아시아 요리의 하나이다. 원래 인도 및 주변 아시 아 국가에서 기원한 요리이지만, 현재는 세계적으로 인기 가 있는 요리 중 하나로 서양요리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Aggarwal et al., 2007). 우리나라에서의 레토르트 파우치 식품으로서 카레는 1981년에 최초로 생산·판매하기 시작 하였고, 현재 다양한 브랜드의 제품이 판매되고 있으며 매 년 그 수가 증가되고 있고,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Koo et al., 1993; Cha, 1996; Choi et al., 1996; Jeong et al., 2011). 하지만 레토르트 파우치 식품과 같은 장기보존식품 은 대부분 상온유통을 함으로써 지방의 산화와 같은 화학 적 반응으로 인한 품질변화가 일어나며(Tarladgis et al., 1960), 미생물의 사멸을 위한 가열살균 공정에 의해 식품 성분이 변화하여 발생된 휘발성 성분들이 밀봉된 포장내에 잔류하여 품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도 있다(Persson & von Sydow, 1973). 이러한 제품군의 제조 시 가장 중요한 공정인 살균공정에서는 열처리가 필수적이나 이는 제품의 영양적 및 기호적 품질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Schroeder, 1971), 이에 따른 에너지의 과잉소비는 제품의 생산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Byun & Choi, 2005). 따라서 살 균공정은 제품의 안전성을 지킬 수 있는 범위의 살균온도 를 설정하고, 살균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학반응이 최 소화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생산 공정 중에 발생할 수 있 는 에너지의 과잉소비를 막고,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제품 품질의 변화를 최소화하여 품질을 안정화하는데 있어서 중 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최근에는 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른 외식사업의 발달로 여 러 형태의 프랜차이즈 업체가 생겨나고 있는데 프랜차이즈 업체의 제품은 레토르트 식품으로 공급하면 좋으나, 레토 르트 제조공정으로 인하여 제품의 품질이 열화되므로 프랜 차이즈 회사에서는 레토르트 제품을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Choi & Woo, 1997). 이는 레토르트 식품의 열수 중탕에 의한 가열, 살균 시 정확한 온도 확인이 어렵고 살균정도 가 불분명하며 품온 관리가 힘들어 정확히 공정 조건을 제 어하기 어려워 품질의 저하를 예방하지 못하기 때문일 것 으로 예측된다(Han et al., 1994, 1995; Cho et al., 1996). 따라서 레토르트 파우치 카레소스를 가공 할 때 카레소스 의 색상, 향, 맛 등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성 확보가 가능한 최적의 가열살균조건의 설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며(Chung et al., 1991) 본 연구에서는 카레소스의 맛의 변화를 최소화하고, 최적의 품질상태를 유지할 수 있 는 살균조건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카레소스의 제조에 사용된 향신료는 (주)MSC (Yangsan, Korea)와 (주)오뚜기식품(Eumseong, 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파우치는 동욱포장(주)(Gwangju, Korea)에서 제조한 레토르트용으로 크기는 235×310 mm, 재질은 Polyester 12 μm/Nylon 15 μm/Cast Polypropylene 80 μm 로 건식 적충지로서 열 봉합폭은 10 mm를 사용하였다.
레토르트 파우치 카레소스의 제조 및 분석
본 실험에 사용한 레토르트 파우치 카레소스의 제조공정 및 원료의 배합 비율은 각각 Fig. 1 및 Table 1과 같았다. 레토르트 파우치 카레소스의 살균조건은 Table 2와 같았으 며 실험에 사용된 살균기는 자동온도제어장치가 부착된 에 어스팀식 살균기(PRS-40-1, Kyunghan Co. Ltd., Korea)를 사용 하였다. 혼합된 원부재료를 85°C에서 예비 살균한 후 레토르트 파우치에 넣어서 Table 2의 조건에 따라 본 살균 을 실시하였는데 이 때 파우치의 재질 구성과 두께의 열전 달은 무시하고 레토르트 살균조건이 아닌 약식-레토르트 살 균으로 카레소스를 생산, 일정량 씩 포장하여 실험을 진행 하였다. 최종 살균된 카레소스는 AOAC법(AOAC, 1990)에 따라 일반성분을 분석하였으며 4°C 및 37°C에서 보관하면 서 15일 간격으로 시료를 취하여 pH의 변화 및 AOAC법 (AOAC, 1990)에 따라 산가를 측정하였고, 점도계(LVDV-E/ Brookfield, Middleboro, MA, USA)로 겉보기 점도(spindle S-04 at 20 rpm)를 측정하였다. 모든 시료는 시료를 취하기 에 앞서 레토르트 파우치 카레소스를 항온수조(20°C)에 넣 어서 동일한 온도가 되도록 하였다.
Table 1.
Composition of curry sauce
Ingredients |
%(w/w) |
Ingredients |
%(w/w) |
apple puree |
7.00 |
starch |
1.20 |
medium flour |
2.75 |
sugar |
1.10 |
onion |
2.50 |
salt |
1.00 |
tomato paste |
2.50 |
herb powder |
2.12 |
boiled chicken |
2.00 |
beef bone extract powder |
0.15 |
butter |
1.75 |
disodium 5'-ribonucleotide |
0.03 |
caramel color |
1.60 |
water |
73.0 |
tuna extract |
1.30 |
|
|
|
|
|
Total |
100.0 |
Download Excel Table
Table 2.
Thermal processing conditions for retort pouched curry sauce
Heat-processing temp. (°C) |
Time (min) |
Cooling temp. (°C) |
101 |
60 |
28 |
105 |
40 |
28 |
110 |
30 |
28 |
Download Excel Table
일반세균측정
일반세균은 시료 20g을 필터 백에 무균적으로 채취하고 멸균한 생리식염수(0.85% NaCl 수용액)로 스토마커로 추 출한 다음, 10배 희석법으로 희석하여 PCA 배지에 도말하 고 35±1°C에서 48시간 배양 후 colony수를 계측하였다.
관능평가
실험조건에 따라 준비된 각각의 카레소스 시료(30°C)를 유리용기에 100 g씩 담아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 중 미맹이 아닌 관능평가원 26명을 선정 후 카레소스의 평가항목에 대하여(Table 3) 교육 후 진행하였는데 이 때 평가항목은 색(color), 풍미(flavor), 맛 (taste), 성상(appearance), 전체적인 기호도(preference)로 하 였다. 평가는 5점은 매우 좋음, 4점은 좋음, 3점은 보통, 2 점은 나쁨, 1점은 매우 나쁨으로 하여 5점 척도법으로 평 가하였다.
Table 3.
Sensory evaluation questionnaire of retort pouched curry sauce during storage
<레토르트 파우치 카레소스의 기호도 조사> |
일시 : –––––––년––––월––––일 성별: 남, 여 연령:–––––세 |
제시된 시료의 관능적인 특성에 대하여 아래 기준표를 참고하여 평가표의 해당하는 곳에 동그라미로 표시하시오. |
평가 항목 |
시료평가의 기준표 |
(5점 척도) |
|
매우싫다 |
싫다 |
보통이다 |
좋다 |
매우좋다 |
|
1 |
2 |
3 |
4 |
5 |
|
색 (color) |
카레 고유의 색상이 매우 안좋게 변함 |
카레 고유의 색상이 안좋게 변함 |
카레 고유의 색상이 보통임 |
카레 고유의 색상이 잘 유지됨 |
카레 고유의 색상이 매우 잘 유지됨 |
|
냄새 (flavor) |
이취가 많고 카레 향 미가 매우 부족함 |
이취가 있고 카레 향 미가 부족함 |
이취가 없고 카레 향 미가 보통임 |
이취가 없고 카레 향 미가 풍부함 |
이취가 없고 카레 향 미가 매우 풍부함 |
|
맛 (taste) |
이미가 많고 카레 고 유맛 매우 부족함 |
이미가 있고 카레 고 유맛 부족함 |
이미가 없고 카레 고 유맛 보통임 |
이미가 없고 카레 고 유맛 풍부함 |
이미가 없고 카레 고 유맛 매우 풍부함 |
|
외관 (appearance) |
카레 고유의 질감/물 성이 매우 안좋음 |
카레 고유의 질감/물 성이 안좋음 |
카레 고유의 질감/물 성이 보통임 |
카레 고유의 질감/물 성이좋음 |
카레 고유의 질감/물 성이 매우 좋음 |
|
선호도 (preference) |
전체 품질이 매우 안 좋음 |
전체 품질이 안좋음 |
전체 품질이 보통임 |
전체 품질이 좋음 |
전체 품질이 매우 좋 음 |
|
평가 항목 |
시료번호 ––––––––––– 평가표 |
(5점 척도) |
|
매우싫다 |
싫다 |
보통이다 |
좋다 |
매우좋다 |
|
1 |
2 |
3 |
4 |
5 |
|
색 |
|
|
|
|
|
|
냄새 |
|
|
|
|
|
|
맛 |
|
|
|
|
|
|
외관 |
|
|
|
|
|
|
선호도 |
|
|
|
|
|
Download Excel Table
맛 분석
관능평가와 동시에 객관적으로 카레소스의 맛을 분석하 기 위해 미각센서(taste sensor)가 설치된 맛분석 장치 (Insent, 5-1-1 Onna, Atsugi-shi, Kanagawa-Pref., Japan)로 각각의 시료를 분석하였다.
각 시료는 카레소스를 3% (w/w)가 되도록 증류수에 녹 여, 5분간 교반시킨 후 3,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상층액을 사용하였다. 맛분석기의 시료컵에 시료를 35 mL 씩 넣어 4회 맛을 측정한 후 1회 차에 측정한 값을 제외 한 나머지 값의 평균을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측정 항목으 로는 감칠맛(umami), 쓴맛(bitterness), 떫은맛(astringency), 짠맛(saltiness), 신맛(sourness)을 분석하였는데 센서로 감지 된 전위차는 맛의 수치로 변환시켜 맛 성분의 농도 차이를 결과로 나타내었다.
통계 처리
실험 결과는 SPSS 17.0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여 통계처 리 하였으며, 평균값의 통계적 유의성은 one-way ANOVA 를 이용하여 p<0.05 유의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및 고찰
산가의 변화
카레소스를 60일 동안 저장하며 산가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Table 4와 같았다. 카레소스의 경우에 산가의 증가 는 살균공정 중 가열에 의해 진행되는 가수분해가 중요한 원인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카레소스의 산가는 살균온도에 관계없이 저장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37°C 저장조건에서는 살균온도가 높아질수록 산가의 변화 폭이 증가하였다(Table 4). 101°C에서 60분 살균처리한 시 료를 37°C에서 30일간 저장하였을 때의 산가는 1.01 이었 으나 동일한 기간 동안 105°C에서 45분 처리구의 산가는 2.1, 110°C에서 30분 처리구의 산가는 3.0까지 증가하여 살 균온도가 높을수록 산가가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 었다. 반면에 4°C의 냉장유통 조건에서는 살균처리 조건에 관계없이 60일까지 산가의 증가는 미미하였으며 관능평가 에 따른 선호도도 큰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동일한 조건으로 살균처리한 시료도 저장온도가 높을 때에 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산가가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른 pH도 저하되어 품질열화가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카레소스의 품질은 살균을 위한 열처리 온도 및 저 장온도가 높을수록 저하됨을 알 수 있었으며 101°C에서 60분 살균한 시료를 4°C에서 보관하는 경우의 품질변화가 가장 적었다.
Table 4.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etort pouched curry sauce during storage
Temp. (°C) |
Storage days |
Sterilization |
Storage |
Physicochemical property |
0 |
15 |
30 |
45 |
60 |
Not done |
|
acid value |
0.45±0.00a |
|
|
|
|
|
pH |
4.24±0.07a |
|
|
|
|
|
viscosity (cP) |
5,986±53a |
|
|
|
|
|
101 |
4 |
acid value |
0.50±0.01c |
0.51±0.01a |
0.51±0.00a |
0.50±0.00a |
0.50±0.00a |
pH |
4.24±0.03a |
4.25±0.02bc |
4.20±0.02c |
4.19±0.03b |
4.20±0.03c |
viscosity (cP) |
5,975±37a |
5,974±25a |
5,974±31a |
5,969±32a |
5,969±45a |
|
37 |
acid value |
0.50±0.01c |
0.91±0.02b |
1.01±0.01b |
1.70±0.02b |
3.11±0.02b |
pH |
4.24±0.03a |
4.20±0.02b |
3.88±0.01b |
3.04±0.07a |
2.61±0.01a |
viscosity (cP) |
5,975±37a |
5,969±52a |
5,965±46a |
5,951±46a |
5,967±32a |
|
105 |
4 |
acid value |
0.48±0.00b |
0.49±0.00a |
0.49±0.00a |
0.49±0.00a |
0.49±0.00a |
pH |
4.26±0.01a |
4.22±0.04ab |
4.26±0.05c |
4.18±0.03b |
4.23±0.04cd |
viscosity (cP) |
5,968±43a |
5,964±39a |
5,961±34a |
5,972±24a |
5,960±28a |
|
37 |
acid value |
0.48±0.00b |
1.10±0.03c |
2.10±0.05c |
3.91±0.05c |
4.80±0.03c |
pH |
4.26±0.01a |
4.19±0.01b |
3.86±0.05b |
3.09±0.04a |
2.57±0.04a |
viscosity (cP) |
5,968±43a |
5,971±16a |
5,958±22a |
5,959±18a |
5,967±32a |
|
110 |
4 |
acid value |
0.48±0.00b |
0.49±0.00a |
0.48±0.01a |
0.49±0.01a |
0.49±0.01a |
pH |
4.25±0.01a |
4.26±0.01c |
4.25±0.02c |
4.24±0.02b |
4.26±0.01d |
viscosity (cP) |
5,966±38a |
5,974±33a |
5,955±31a |
5,965±25a |
5,967±22a |
|
37 |
acid value |
0.48±0.00b |
1.20±0.02d |
3.00±0.04d |
4.11±0.03d |
5.30±0.03d |
pH |
4.25±0.01a |
4.12±0.01a |
3.77±0.05a |
3.09±0.03a |
2.84±0.03b |
viscosity (cP) |
5,966±38a |
5,964±29a |
5,947±36a |
5,955±39a |
5,961±32a |
Download Excel Table
pH의 변화
카레소스의 pH도 살균조건에 관계없이 4°C 저장에서는 크게 변화하지 않았지만 37°C 에서는 저장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Table 4). 특히 모든 처 리구를 37°C에서 30일 저장한 후에는 pH의 변화가 뚜렷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는데 Table 5의 관능검사 결과에서도 맛 의 차이가 유의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여 pH의 변화가관 능품질에 영향을 미침을 예측할 수 있었다. 즉 37°C에서 30일 저장한 이후에는 산가가 증가하고 pH는 감소하며 관 능적 선호도도 저하함을 알 수 있었다. 37°C에서 30일 저 장한 시료들 중에서는 110°C에서 30분 살균처리한 시료의 pH가 3.77로서 가장 낮았는데 Table 6의 맛분석 결과에서 보면 동일 시료의 신맛 측정치가 -16.26으로서 4°C 저장 시료(-29.15)에 비하여 신맛이 강해진 것과 일치하였다. 또 한 관능평가에서도 동일 시료의 선호도는 3.07 으로서 101°C에서 살균한 시료에(3.95) 비하여 유의적으로 관능적 품질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Table 5).
Table 5.
Changes in sensory properties of retort pouched curry sauce during storage
Temp. (°C) |
Storage days |
Sterilization |
Storage |
Sensory property |
0 |
15 |
30 |
45 |
60 |
Not done |
|
color |
4.28±0.13b |
|
|
|
|
|
flavor |
4.43±0.16bc |
|
|
|
|
|
taste |
4.4±0.2a |
|
|
|
|
|
appearance |
4.45±0.08b |
|
|
|
|
|
preference |
4.22±0.15b |
|
|
|
|
|
101 |
4 |
color |
4.18±0.8ab |
4.28±0.15c |
4.17±0.08b |
4.22±0.15d |
4.00±0.06c |
flavor |
4.52±0.18c |
4.47±0.14c |
4.42±0.20e |
4.40±0.06d |
4.22±0.26e |
taste |
4.5±0.1a |
4.5±0.1c |
4.5±0.1d |
4.3±0.1c |
4.2±0.2e |
appearance |
4.33±0.08ab |
4.33±0.08b |
4.28±0.15c |
4.12±0.10d |
4.07±0.14c |
preference |
4.17±0.18ab |
4.17±0.08b |
4.00±0.14c |
3.98±0.08d |
4.08±0.15c |
|
37 |
color |
4.18±0.8ab |
3.98±0.08a |
3.92±0.08a |
3.93±0.10c |
3.93±0.10c |
flavor |
4.52±0.18c |
4.25±0.08b |
4.05±0.14c |
3.58±0.20c |
3.00±0.06c |
taste |
4.5±0.1a |
4.3±0.1ab |
3.9±0.1b |
2.5±0.2b |
1.8±0.1c |
appearance |
4.33±0.08ab |
3.73±0.26a |
3.50±0.19a |
3.32±0.10b |
3.33±0.15b |
preference |
4.17±0.18ab |
3.93±0.08a |
3.95±0.14c |
2.87±0.18c |
2.28±0.16b |
|
105 |
4 |
color |
4.15±0.16ab |
4.17±0.08bc |
4.13±0.16b |
4.10±0.09cd |
3.98±0.13c |
flavor |
4.30±0.09ab |
4.37±0.08bc |
4.28±0.08de |
4.20±0.09d |
4.37±0.08e |
taste |
4.4±0.2a |
4.4±0.1b |
4.3±0.1c |
4.3±0.1c |
4.1±0.1de |
appearance |
4.37±0.08ab |
4.37±0.15b |
4.23±0.08c |
4.15±0.16d |
3.95±0.16c |
preference |
4.10±0.09ab |
4.00±0.14ab |
3.98±0.08c |
3.97±0.08d |
3.95±0.08c |
|
37 |
color |
4.15±0.16ab |
4.00±0.06a |
3.80±0.11a |
3.70±0.09b |
3.57±0.23b |
flavor |
4.30±0.09ab |
4.10±0.14a |
3.83±0.16b |
3.03±0.24b |
2.72±0.23b |
taste |
4.4±0.2a |
4.3±0.1ab |
3.6±0.2a |
2.4±0.2b |
1.4±0.2b |
appearance |
4.37±0.08ab |
3.72±0.17a |
3.48±0.16a |
3.47±0.08c |
3.20±0.06b |
preference |
4.10±0.09ab |
3.88±0.15a |
3.33±0.24b |
2.47±0.08b |
2.27±0.36b |
|
110 |
4 |
color |
4.07±0.14a |
4.22±0.16c |
4.27±0.16b |
4.25±0.16d |
4.20±0.15d |
flavor |
4.22±0.16a |
4.30±0.09b |
4.20±0.14cd |
4.28±0.10d |
3.83±0.10d |
taste |
4.3±0.1a |
4.5±0.1c |
4.3±0.1c |
4.2±0.1c |
4.0±0.2d |
appearance |
4.27±0.15a |
4.25±0.15b |
4.20±0.08b |
4.03±0.15d |
4.02±0.20c |
preference |
4.02±0.13a |
4.02±0.08ab |
3.97±0.08c |
3.98±0.17d |
3.98±0.08c |
|
37 |
color |
4.07±0.14a |
4.05±0.14ab |
3.93±0.08a |
3.52±0.23a |
3.18±0.20a |
flavor |
4.22±0.16a |
4.08±0.10a |
3.15±0.15a |
1.93±0.20a |
1.00±0.06a |
taste |
4.3±0.1a |
4.2±0.1a |
3.5±0.2a |
2.0±0.1a |
1.0±0.1a |
appearance |
4.27±0.15a |
3.82±0.08a |
3.53±0.08a |
3.05±0.10a |
2.78±0.15a |
preference |
4.02±0.13a |
3.83±0.31a |
3.07±0.44a |
2.18±0.35a |
1.03±0.23a |
Download Excel Table
Table 6.
Taste sensing results of retort pouched curry sauce during storage
Temp(°C) |
Day |
Umami |
Bitterness |
Astringency |
Saltiness |
Sourness |
Ste1) |
Sto2) |
101 |
4 |
0 |
6.37±0.06a |
10.19±0.21b |
1.00±0.06a |
-10.71±0.06a |
-26.46±0.21a |
15 |
6.10±0.15a |
9.98±0.11a |
0.80±0.03a |
-10.17±0.07b |
-25.02±0.29a |
30 |
8.21±0.05b |
10.29±0.21b |
1.25±0.11b |
-10.80±0.08b |
-29.12±0.13a |
45 |
7.12±0.08a |
13.12±0.12c |
1.03±0.05b |
-10.68±0.07b |
-27.80±0.13b |
|
105 |
4 |
0 |
6.38±0.20a |
9.01±0.18a |
1.02±0.08a |
-10.63±0.07a |
-26.57±0.39a |
15 |
6.00±0.02a |
10.09±0.10a |
0.78±0.04a |
-10.34±0.08a |
-24.87±0.21a |
30 |
8.23±0.07b |
9.09±0.01a |
1.21±0.11b |
-10.77±0.11b |
-29.20±0.06a |
45 |
7.12±0.06a |
11.19±0.07b |
1.01±0.06b |
-10.66±0.09b |
-27.86±0.09b |
|
110 |
4 |
0 |
6.28±0.07a |
8.99±0.18a |
0.91±0.04a |
-10.74±0.0a |
-26.50±0.19a |
15 |
5.98±0.02a |
10.13±0.11a |
0.77±0.03a |
-10.45±0.7a |
-24.63±0.19a |
30 |
8.25±0.07b |
8.99±0.18a |
1.22±0.08b |
-10.84±0.06b |
-29.15±0.14a |
45 |
7.15±0.05a |
11.36±0.12b |
1.00±0.03b |
-10.58±0.08b |
-28.09±0.11a |
|
110 |
37 |
30 |
6.15±0.08a |
14.67±0.60c |
0.71±0.07a |
-11.01±0.09a |
-16.26±0.16b |
45 |
7.14±0.04a |
8.26±0.08a |
0.68±0.02a |
-10.94±0.12a |
-21.44±0.04c |
Download Excel Table
겉보기 점도의 변화
카레소스의 점도를 측정한 결과(Table 4)에서 미살균 시 료는 5.986, 각 처리구의 4°C 보관 및 37°C 보관인 경우는 5.947~5.986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살균온도, 보관 방법 및 보관시간에 따른 점성의 변화는 미미하였다. 또한 카레소스의 배합에는 변성전분을 부재료로 사용하였는데 점성의 변화가 적음을 볼 때 비교적 온도와 pH에 안정함 을 알 수 있었다.
일반세균수의 변화
각 시료들의 일반세균수를 측정한 결과, 살균 전 일반세 균수는 2.5×10 CFU/g이며, 살균 후에는 101°C 60분, 105°C 45분, 110°C 30분 세가지 처리조건 모두에서 일반 세균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4°C 및 37°C에서 60일간 저장 한 시료에서도 음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5일 이상 저장 한 미살균 카레소스 제품은 보관온도에 관계없이 모두 팽창 하였다.
관능평가
카레소스의 살균조건 및 저장조건에 따른 관능적 품질변 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색, 풍미, 맛, 성상, 선호도에 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색상, 풍미, 맛, 성상의 경우 전체 적으로 4°C 저장조건에서 저장일이 짧을수록 선호하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선호도(preference)는 101°C에서 60분 처리구와 같이 상대적으로 110°C보다 저온에서 살균 하고 냉장온도인 4°C에서 보관한 카레소스가 37°C에서 보 관된 카레소스보다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관능평가의 결과도 이화학적 품질지표인 산가 및 pH 변화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관능적 품질은 색상, 풍미, 맛, 성상, 선호도 등 모든 항목에서 고온살균(110°C에서 30분) 후 37°C 저장 한 경우에 가장 품질저하가 심하였으며, 101°C에서 60분 살균한 처리구를 4°C에 보관한 시료들의 품질변화가 가장 적었다.
카레소스의 색상은 살균온도 및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저장기간이 길수록 열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30일 저 장한 시료의 경우에는 살균온도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 으나 30일 이후에는 저장기간이 늘어나면서 살균온도가 높 았던(110°C에서 30분) 처리구 색상의 열화가 유의적으로 차이나게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Table 5). 저장온도에 따른 시료의 색상 변화는 모든 시료에 대하여 15일 저장 이후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30일 저장 시료부터는 유 의적으로 차이가 확인되었다.
카레소스의 풍미도 살균온도 및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저장기간이 길수록 열화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30일 저 장한 시료의 경우에 살균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풍미가 유 의적으로 저하되었으며 이후 저장기간이 늘어나면서 살균 온도의 상승에 따른 풍미의 열화도 상당히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Table 5). 저장온도에 따른 시료의 풍미 변화도 뚜 렷하여 37°C에서 저장한 모든 시료가 15일 저장 이후부터 4°C 저장시료에 비하여 풍미의 열화가 진행됨을 알 수 있 었다.
카레소스의 맛도 살균온도 및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저 장기간이 길수록 좋지 않아졌는데 색상, 풍미, 성상 등에 비하여 열화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Table 5). 특히 37°C에서 30일 이상 저장하게 되면 살균온도에 관계없이 맛에 대하여 평균이하의 평가를 받음에 따라(평점 2.5 이 하) 상품성을 잃어버리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카레소스의 성상은 다른 관능평가 인자에 비하여 살균온 도나 저장온도의 영향을 크게 받지는 않는 것으로 보이나 37°C에서 30일 저장한 시료의 경우에는 살균온도에 관계없 이 일정한 품질저하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Table 5). 30 일 저장 이후에는 성상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살균온도가 110°C인 경우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품질저하가 많이 진행 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able 5의 관능검사 선호도 항목에서 보면 101°C 에서 60분 처리 후 30일 저장시료(3.95), 105°C에서 45분 처리 후 30일 저장시료(3.33), 110°C에서 30분 처리 후 30 일 저장시료(3.07)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확인이 되었는 데 살균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37°C에서 30일 이상 저장 후부터 관능적인 선호도가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전체적인 선호도를 고려할 때 101°C에서 60분 살균하여 4°C에서 냉장보관하며 유통하는 것이 품질의 열화를 최소 화할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냉장유통이 불가능하며 상온유통하는 경우를 예상할 때는 37°C 저장한 시료의 분 석 결과를 고려해 볼 때 저장기간이 30일이 지나게 되면 관능적인 품질저하를 느끼기 시작하게 되므로 가급적 30일 이내에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즉 101°C에서 60분 살균한 제품을 37°C에서 저장할 때 관능 적 품질 변화의 뚜렷한 개시점이 30일 이후부터라고 가정 하는 경우의 이화학적 분석치를 살펴보면 산가가 1.01, pH 가 3.88 이었으므로 관능검사를 동시에 병행하여 확인하면 서 품질평가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맛 분석
카레소스의 가열살균조건 및 저장조건에 따른 객관적인 맛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맛 분석 장치(taste sensing system)로 맛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3% 농도 수준에서 각 시료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6과 같았다. 카레소 스의 이화학적 품질변화 및 관능검사 결과를 보면 37°C에 서 저장한 카레소스는 살균조건에 관계없이 품질이 저하되 었는데 맛 분석 실험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Table 6은 각 처리구의 저장기간에 따른 항목별 맛 분석 결과 인데, 4°C에서 저장한 시료들의 경우 맛의 변화는 크 지 않았지만 30일이 경과한 이후에는 감칠맛이 상승하여 숙성에 따른 효과로 이해할 수 있었다. 하지만 37°C에서 저장한 시료의 경우에는 4°C에서 저장한 시료와는 달리 감 칠맛의 변화가 없었으며, 쓴맛은 상승하였고 신맛은 유의 적으로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동일한 시료를 4°C에서 보관한 경우에는 관능평점이 4.3점 이었으나 37°C 에서 보관한 경우에는 3.5점으로 유의성 있게 저하되어 맛 분석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요 약
레토르트 파우치 카레소스의 살균조건에 따른 살균효과 및 품질변화를 조사한 결과, 카레소스의 관능적 품질은 색 상, 풍미, 맛, 성상, 선호도 등 모든 항목에서 고온살균 (110°C에서 30분) 후 37°C 저장조건인 경우에 가장 품질저 하가 심하였으며, 상대적으로 저온살균(101°C에서 60분)한 시료를 4°C에 보관한 경우에 품질변화가 가장 적었다. 또 한 맛분석 장치로 카레소스 맛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4°C 에서 보관하는 경우에 맛의 변화는 크지 않았지만 30일이 경과한 시료들은 감칠맛이 상승하여 숙성에 의한 영향으로 예측되었다. 하지만 37°C에 저장한 시료의 경우에는 4°C 저장시료와는 달리 감칠맛은 변화가 없었으며, 쓴맛은 상 승하였고 신맛은 상당히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맛이 열화됨 을 알 수 있었다. 동일한 시료를 4°C에서 보관한 경우에는 관능평점이 4.3점 이었으나 37°C에서 보관한 경우에는 3.5 점으로 유의성 있게 저하되어 맛 분석 결과와 유사한 경향 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레토르트 파우치 카레소스는 저온살균(101°C에서 60분) 후 냉장(4°C) 유통 하며 가급적 30일 이내에 소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동일 제품을 37°C에서 저장할 때 관능적 품질 변화의 뚜렷한 개시점이 30일 이후 부터였으 며 이 때의 산가가 1.01, pH가 3.88 이었으므로 품질평가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15년도 청운대학교 학술 연구 조성비 지원 에 의해 연구되었음.
REFERENCES
Aggarwal BB, Sundaram C, Malani N, Ichikawa H. Curcumin: the indian solid gold. Adv. Exp. Med. Biol. 2007; 595 p. 1-75.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99015th ed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Washington, DC, USA.
Byun GI, Choi SK. The effect of relational leadership on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wner and manager in chinese restaurant context. Korean J. Food Culture. 2005; 20 p. 561-573.
Cha HS. Current situation of retort food and processing technology. Food Tech. 1996; 9 p. 36-47.
Cho YB, Kim SH, Lim JY, Han BH. Optimal sterilizing condition for canned ham. J. Korean Soc. Food Nutr. 1996; 25 p. 301-309.
Choi JB, Chung HY, Kong UY, Moon TW. Analysis of volatile components of a chicken model food system in retortable pouches. Korean J. Food Sci. Technol. 1996; 28 p. 772-778.
Choi JH, Woo MH.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food service industry. Collection of dissertations Busan Women's College. 1997; 19 p. 197-211.
Chung MS, Cha HS, Koo BY, Ahn PU, Choi CU. Determination of optimum sterilization condition for the production of retort pouched curry sa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1991; 23 p. 723-731.
Han BH, Cho HD, Yu HS, Kim SH, Chung YS. Establishment of F0-value criterion for canned tuna in cottonseed oil. J. Korean Fish. Soc. 1994; 27 p. 675-681.
Han BH, Lee CK, Im CW, Yu HS. Establishment of F
0-value criterion for canned smoked oyster on cottonseed oil. J. Korean Fish. Soc. 1995; 28 p. 347-353.
Jeong SH, Ha JH, Jeong YG, Jo BC, Kim DH, Ha SD. Estimation of shelf-life of commercially sterilized fried rice containing meat. J. Food Hyg. Saf. 2011; 26 p. 209-213.
Koo BY, Park SJ, Byeon YR, Son SH. Heat Penetration characteristics and keeping quality of retort pouched curry. Korean J. Food Sci. Technol. 1993; 25 p. 63-68.
Lund DB, Labuza TP, Livingston GE, Ang CT, Chang CM, Lachance PA, Ranadive AS, Matas J. Symposium: Effect of processing, storage and handling on nutrient retention in foods. Food Technol. 1973; 27 p. 16-21.
Persson T, von Sydow E. Aroma of canned beef: Gas chromatographic and mass spectrometric analysis of the volatiles. J. Food Sci. 1973; 38 p. 377-380.
Schroeder HA. Losses of vitamins and trace minerals resulting from processing and preservation of foods. Amer. J. Clin. Nutri. 1971; 24 p. 562-566.
Tarladgis BG, Watts BM, Yonathan M. Distillation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malonaldehyde in rancid foods. J. Am. Oil Chem. Soc. 1960; 37 p. 4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