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압출성형 공정변수에 따른 율피분말 첨가 반죽의 물성과 식빵의 품질특성

이정숙, 윤성준1, 류기형*
Jeong Sug Lee, Seong Jun Yoon1, Gi-Hyung Ryu*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1혜전대학교 제과제빵과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Kongju National University
1Department of Baking Science and Technology, Hyejeon College
* Corresponding author: Gi-Hyung Ryu,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Kongju National University, Yesan, Choongnam 32439, Korea Tel: +82-10-8880-0906, Fax: +82-41-335-5944 E-mail: ghryu@kongju.ac.kr

© Korean Society for Food 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

Received: Oct 20, 2017; Revised: Oct 23, 2017; Accepted: Oct 26, 2017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ugh and bread added with 6% chestnut shell powder and extruded chestnut shell powder at various conditions. As extrusion process variables, melt temperature (110°C, 130°C, 150°C) and moisture (25% and 30%) were controlled. Total dietary fiber content was slightly increased in extruded chestnut shell powder group. In the farinogram, absorp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roup of 25% moisture content and 30% moisture content (p<0.05). After 2 hours and 3 hours, the leavening heights of dough for control showed a similar tendency to that of dough with extruded chestnut shell at a melt temperature 150°C and with moisture content of 25% and 30%. Specific volume was the highest at a control of 3.74±0.08 cc/g and extruded chestnut shell powder group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chestnut shell powder group. Firmness after 1 day on control of 107.42±14.52 g was similar to that of the bread with extruded chestnut shell at a temperature of 150°C and moisture content of 25% for 113.33±6.17 g. In conclusion, the extrusion-cooking of chestnut shell powder improv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ugh and bread. The optimum combinations of conditions in tested range were melt temperature at 150°C and moisture content at 25%, and melt temperature at 130°C and moisture content at 30%.

Keywords: extruded chestnut shell powder; extrusion conditions; quality characteristics; dough; bread

서 론

밤은 참나무과에 속하는 밤나무의 열매로서 짙은 갈색의 껍질로 싸여 있으며 과육과 이중의 껍질로 이루어져 있다. 율피는 밤나무 열매의 속껍질로 밤껍질의 약 50%를 차지 하며, 속껍질의 50% 정도가 과육으로 이루어져 있다(Jeon & Moon, 1998). 율피에는 밤과육에 붙어있는 전분을 포함 하여 catechin, gallic acid 등의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율피추출물은 항산화 및 지질의 과산화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높다(Lee et al., 2008;Jeong et al., 2011). 율피에는 rutin 등의 플라보노이 드 성분에 의한 항산화활성이 있으며, 율피에서 분리한 전 분은 순수한 밤의 전분보다 무기성분은 4.5배, 탄닌 함량은 12배, 수분결합능력은 40% 정도 높게 함유하고 있으나 가 공과정에서 많은 양이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Jeon & Moon, 1998).

압출성형은 독립변수인 원료투입량, 수분첨가량, 배럴의 온도, 스크루 회전속도, 사출구의 구조를 변화시켜 내부 용 융물의 온도와 점도, 압력, 체류시간, 비기계적 에너지 투 입량을 조절하여 최종적인 압출성형물의 물리, 화학적 특성 을 조절할 수 있으며 단시간에 혼합, 분쇄, 가열, 성형, 건 조가 일어나는 단일공정으로서 다른 가열 가공공정과 비교 하여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공정이다(Gu & Ryu, 2011). 압 출성형공정은 파스타를 비롯하여 인스턴트 시리얼, 팽화스 낵, 중간수분 애완동물 사료, 식물성 조직단백(TPP, textured plant protein) 등 다양한 완제품 및 중간소재식품에 적용되 고 있으며(Han et al., 2007), 압출성형 공정변수를 달리하 여 압출성형물의 물리적 변화를 측정한 연구가 활발히 진 행되고 있다. 압출성형공정의 여러 가지 공정변수 중에서 원료의 수분함량과 배럴 온도는 원료에 포함된 전분호화도 의 조절에 중요한 인자이며, 온도는 전분을 호화시키고 분 해하여 압출성형물의 점도를 감소시킨다(Cai et al., 1995). 압출성형 공정변수를 달리한 연구로는 다른 수분함량으로 압출성형한 다수확 멥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Jeong et al., 2011), 압출성형 공정변수에 따른 옥수수전분 팽화물의 당 화특성(Lee et al., 2011) 등이 보고되고 있다. 압출성형 공 정에 의한 밤의 탄닌 성분의 변화에 대하여 An et al. (2014)는 압출성형 공정이 탄닌의 쓴맛을 감소시키는 가능 성이 있다고 하였고, Obiang & Ryu (2013)는 압출성형 공 정에서 수분함량 25%의 배럴온도 120°C일 때 밤의 탄닌 함량이 78% 정도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최근 제빵시장은 건강에 대한 높은 관심에 부응하여 기능 성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제품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 뤄지고 있다. 밀의 제분과정의 부산물인 밀기울을 고압균질 처리하여 밀기울의 항산화 특성을 연구한 논문(An et al., 2015)을 비롯하여, 아로니아의 생리활성과 저장성을 높일 수 있는 적정 함량을 연구한 아로니아 분말을 첨가한 식빵 의 품질특성(Yoon, 2014), 식빵의 저장 중 마늘 분말이 경 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마늘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 질특성(Hong & Shin, 2008) 등 다수의 연구가 있다. 또한, 흑미와 녹차 혼합분을 첨가한 식빵의 항산화성 및 품질특성 (Kim & Lee, 2008)에서는 흑미와 녹차가루를 각각 사용할 경우보다 함께 첨가할 경우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진다고 하였고, 들깨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레올레지 및 품질특성 (Gi & Jeong, 2013)에서는 들깨분말의 첨가가 식빵의 품질 과 저장성을 향상시킨다고 하였다. 율피의 경우, 율피에 포 함된 전분과 다양한 기능성 성분에도 불구하고 떫은맛으로 인해 율피를 식품에 적용한 연구는 많지 않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율피에 함유된 기능성 성분 및 식품 소재로써의 기능을 높이고자, 수분함량과 온도의 공정변수 를 달리한 압출성형 율피분말을 이용하여 식빵을 제조하고 반죽의 물성과 식빵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실험 재료

밀가루는 제빵용 밀가루인 강력분(Daehan Flour Mills Co., Seoul, Korea)을 사용하였으며, 일반성분은 수분 13.10%, 단 백질 12.60%, 회분 0.38%이었다. 설탕(Samyang Co., Ulsan, Korea), 식염(Daesang, Seoul, Korea), 생효모(Ottogi Co., Anyang, Korea)와 쇼트닝(Lottesamkang Co., Cheonan, Korea)은 시중에서 구입하였고, 율피분말은 공주 영농조합 법인(Kongju, 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율피분말의 압출성형

압출성형 율피분말의 제조에 사용된 압출성형기는 자체 제작한 실험용 동방향 쌍축압출성형기(THK31T, Incheon Machinery Co., Incheon, Korea)를 사용하였다. 스크루 배 열은 고전단력 스크루를 사용하였으며, 수분함량은 펌프로 원료 사입구에 직접 물을 주입하여 조절하였다. 스크루의 직경은 30.0 mm이고, 직경과 길이의 비(L/D ratio)는 23:1 이다. 사출구는 원형으로 직경이 3.0 mm인 것을 사용하였 으며, 원료 사입량은 100 g/min으로 하였고, 스크루 회전속 도는 100 rpm으로 고정하였다.

압출성형 공정변수로 수분함량은 25%와 30%로 고정하 고, 용융물 온도는 수분함량에 따라 110°C, 130°C, 150°C 로 조절하였다(Obiang & Ryu, 2013). 압출성형 공정을 거 쳐 제조된 율피 압출성형물은 열풍건조기(DS-FCPO250, Dongseo Sci. Co., Seoul, Korea)에서 50°C에서 건조하였고, Micro Hammer-cutter Mill (Type 3, Culatti AG Co., Zurich, Switzerland)로 분쇄하여 표준체 100 mesh를 통과한 분말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일반성분 및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율피분말 및 압출성형 율피분말의 수분함량과 총 식이섬 유 함량은 AOAC (2000)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당류는 Wilson et al. (1981)의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즉, 시 료 10 g에 증류수를 가하고 마쇄, 교반, 침출을 순차적으로 시행하고 100 mL로 정용한 후 6,000 rpm에서 30분간 원심 분리한 상등액을 취하여 여과하였다. 여과된 용액은 Seppack C18과 0.45 μm membrane filter (Millipore Co., USA) 를 차례대로 통과시키고 HPLC (Water Associates M244)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총 폴리페놀함량은 Folin-Ciocalteu 비색법(Obiang & Ryu, 2013)을 수정하여 측정하였다. 즉, 0.5 mL의 여과액에 10배 희석한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 1.5 mL를 첨가하여 5분간 반응시킨 후 6%의 Na2CO3 1.5 mL를 첨가하여 90분간 반응시켰다. UV/VIS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76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 하였으며, 표준물질로는 gallic acid를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식빵 제조

율피분말과 압출성형 율피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반죽 의 물성과 식빵의 품질특성을 조사한 선행연구(Lee et al., 2017)에서 압출성형 율피분말 6%가 최적의 함량으로 조사 되어, 대조군의 배합은 강력분 100%를 기준으로 물 64%, 이스트 3.5%, 소금 2%, 설탕 5%, 쇼트닝 6%로 하고, 실 험군의 배합은 강력분 94%에 율피분말과 공정변수별 압출 성형 율피분말을 각 6%씩 첨가하고 나머지는 대조군과 동 일한 배합으로 하였다.

식빵의 제조는 AACC 10-10A (2000) 방법을 변형한 직 접 반죽법으로 하였다. 반죽은 혼합기(A200, Hobart, China) 를 이용하여 쇼트닝을 제외한 나머지 원료를 볼에 넣고 1단 (61/107 rpm)과 2단(113/196 rpm)에서 각각 3분간 혼합한 후 쇼트닝을 첨가하고 2단으로 8분간 혼합하여 최종 반죽 온도가 26°C가 되도록 혼합하였다. 1차 발효는 온도 27°C, 상대습도 75%의 발효기(Daeyoung Machinery Co., Korea) 에서 60분간 실시하였다. 1차 발효가 끝난 반죽을 40 g씩 분할하여 10분간 중간발효하고, 3개씩 산형으로 성형하여 식빵 틀(195×95×95 mm)에 넣어 온도 37°C, 상대습도 85% 의 발효기에서 식빵 틀 상단 1 cm 높이로 반죽이 팽창될 때까지 2차 발효를 실시하였다. 굽기는 윗불 170°C, 아랫 불 190°C의 오븐(3D-403, Daiah Co., Korea)에서 20분간 실시하였고, 틀에서 빵을 제거한 후 상온(온도 25±2°C, 습 도 70±10%)에서 빵의 내부온도를 35°C까지 냉각시켜 폴 리에틸렌 수지로 포장한 후 25°C에서 저장하면서 실험재료 로 사용하였다.

반죽의 패리노그래프 측정

패리노그래프(farinograph)는 AACC 54-21(2000) 방법에 따 라 farinograph (82750, Brabender Co., Duisburg, Germany)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Farinograph mixing bowl을 30± 2°C로 유지하면서 강력분(수분함량 14%) 300 g에 율피분말 과 공정변수를 달리한 압출성형 율피분말을 각각 6%를 첨 가하여 사용하였다. 밀가루를 1단에서 2분간 혼합하면서 25초 동안 증류수를 첨가하여 패리노그래프 곡선의 중앙이 500 B.U.에 도달할 때까지 흡수량을 조절하면서 흡수율 (absorption), MTI (mechanical tolerance index), 반죽 도달 시간(arrival time), 반죽 형성시간(peak time), 반죽의 안정 도(stability) 및 약화도(time to breakdown)를 측정하였다.

반죽의 발효 팽창력 측정

반죽의 발효 팽창력 측정을 위하여 반죽 100 g을 취해 AACC 22-14(2000)방법에 따라 발효 팽창관에 넣고 1시간 마다 발효 팽창력을 측정하여 4시간 동안의 팽창된 높이를 mm로 나타내었다.

식빵의 비용적 측정

식빵의 부피는 굽기 완료 후 1시간 동안 냉각한 다음 종 자치환법(Jin et al., 2010)으로 구하였고, 빵의 무게로 나누 어 식빵의 비용적(cc/g)으로 나타내었다.

식빵의 색도 측정

식빵 단면(crumb)의 색도는 색차계(CR-300, Minolta,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한 데이터는 Hunter color system에 의하여 명도(L, lightness), 적색도(a, ledness), 황색도(b, yellowness) 값으로 나타내었다. 율피분 말 및 압출성형 율피분말 첨가 여부에 따른 색의 변화는 색차(ΔE)로 분석하였으며, 이때 적용한 표준백색판의 값은 각각 L=95.90, a=-0.09, b-0.37이었다.

식빵의 경도 측정

식빵의 텍스쳐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경도 측정은 AACC 74-09(2000) 방법에 따라 상온에서 1시간 방치한 식빵을 폴 리에틸렌 백에 넣고 상온(25°C)에서 4일간 보관하면서 경도 (firmness)를 측정하였다. 식빵의 중심부를 2×2×2 cm로 잘 라 texture analyzer (TA-XT2, stable micro systems, Surrey, Englan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이때 사용한 cylinder probe (p35)는 75 mm, pre-test speeds는 1.0 mm/sec, test speed 및 post test speed는 5.0 mm/sec로 하였다.

식빵의 단면 측정

식빵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굽기 완료된 식빵 을 상온에서 1시간 방치하고 상온(25°C)에서 1일 저장 후, 20 mm 두께로 자른 식빵을 ASE Imaging system (ASE, AIB, USA)의 스캐너에 넣고 식빵의 단면을 촬영하면서 기 공의 크기와 기공의 팽창정도에 따른 기공의 결 등의 식빵 내부조직을 관찰하였다.

통계처리

실험결과 자료의 통계 분석은 Minitab (16.2.1 Package, Minitab Inc., State College, PA, USA)을 이용하여 통계처 리 하였으며, 시료간의 유의적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일원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진행하여 5% 유의수준으로 유의적 차이를 검정하였다.

결과 및 고찰

일반성분 및 총 폴리페놀 함량

율피분말 및 압출성형 율피분말의 일반성분과 총 폴리페 놀 함량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율피분말에 비해 압출성 형 율피분말의 총 식이섬유 함량은 비슷하거나 약간 증가하 였는데,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총 식이섬유함량은 현미, 보리, 율무 등에서 압출성형에 의해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증가하고 불용성 식이섬유는 감소했지만, 총 식이섬 유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다는 Shin et al. (2003)의 보 고와 유사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율피분말의 869.09 mg에 비해 압출성형한 율피분말은 수분함량 25%의 용융물 온도 130°C와 150°C에서 각각 1,207.95 mg과 1,397.17 mg 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는 압출성형 밤 과육의 총 페 놀 함량이 수분함량 25%, 용융물 온도 130°C에서 가장 높 았으며(An et al., 2014), 압출성형 밤의 총 페놀 함량이 수분함량 25%의 120°C의 조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는 Obiang & Ryu (2013)의 연구와 유사하였다. 포도당과 과 당으로 조사한 환원당은 율피분말보다 압출성형한 율피에 서 약간 감소하여 백삼의 환원당 함량이 압출성형한 백삼 의 환원당 함량보다 높다는 연구(Son & Ryu, 2009)와 유 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수분함량 25%에 비하여 수 분함량 30%에서, 수분함량 25%에서는 용융물의 온도가 높 을수록 환원당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압출성형 수삼의 수분함량이 25%에서 30%로 증가함에 따라 환원당 의 함량이 약간 증가하였다는 연구(Ha & Ryu, 2005) 및 수분함량 30%에 비해 수분함량이 낮은 25%의 조건에서 배럴온도가 높을수록 옥수수전분 팽화물의 환원당의 함량 이 증가했다는 연구(Lee et al., 2011)와 유사하였다.

Table 1. Proximate composition and total polyphenol of chestnut shell powder and extruded chestnut shell powder
Extrusion conditions Contents (w/w)

Moisture (%) Temp. (°C) Total dietary fiber (g/100g) Total poplyphenol (mg/100g GE) Fructose (g/100g) Glucose (g/100g) Sucrose (g/100g)

CS1) 20.26±0.472)A3) 869.09±6.042)F3) 1.06±0.012)A3) 0.69±0.11A 12.49±0.28A

25 110 22.49±0.06A 1,026.37±3.18D 0.65±0.07B 0.31±0.04B 10.75±0.08BC
130 21.34±0.01A 1,207.95±2.91B 0.75±0.00B 0.31±0.01B 11.20±0.22B
150 22.61±0.02A 1,397.17±3.63A 1.01±0.09A 0.69±0.04A 11.32±0.03BC

30 110 21.95±0.00A 1,006.31±4.51EF 1.07±0.02A 0.68±0.05A 11.40±0.13B
130 22.11±0.01A 1,105.93±3.13C 0.97±0.00B 0.60±0.03B 12.88±0.13A
150 21.11±1.30A 1,118.93±9.62C 1.03±0.02A 0.70±0.01AB 10.65±0.18C

1)CS: chestnut shell powder.

2)Means±SD

3)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ANOVA test at p<0.05.

Download Excel Table
패리노그램

일반적으로 밀가루 이외의 다른 부재료 첨가 시 밀가루 의 단백질 함량이 낮아져 흡수율과 반죽시간 및 밀가루의 강도가 감소한다. 율피분말 및 압출성형 율피분말의 첨가 량에 따른 패리노그램 특성은 Table 2에 나타내었다. 흡수 율은 용융물의 온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대조 군의 64.63±0.81%, 율피분말의 66.63±0.86%에 비해 압출 성형 공정변수 수분함량 25%와 수분함량 30%의 실험군에 서 각각 67.67±0.85%~68.87±0.4%로 유의적인 증가를 보 였다(p<0.05). 이는 압출성형 공정에서 율피분말에 함유된 전분입자의 손상으로 인한 손상전분과 식이 섬유소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수용성 식이섬유는 점도를 증가시키며 불용성 식이섬유는 보수력을 향상시키고(Hwang, 1996), 압 출성형 쌀가루의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전분의 손상도가 높 고 물 결합능력이 높으며(Jeong et al., 2011), 들깨분말에 함유된 식이섬유가 흡수율을 증가시킨다고 한 연구(Gi & Jeong, 2013)와 유사한 결과였다.

Table 2. Farinogram of flour added with chestnut shell powder and extruded chestnut shell powder with various conditions
Extrusion conditions Absorption (%) MTI (B.U.) Arival time (min) Peak time (min) Stability (min) Breakdown (min)

Moisture (%) Temp. (°C)

Control 64.63±0.811)B2) 33.33±11.55B 2.17±0.29A 5.33±0.29A 18.00±1.80A 10.00±0.50A

CS3) 66.63±0.86AB 93.33±5.77A 3.00±0.50A 6.17±0.29A 9.67±0.29B 8.50±0.50A

25 110 67.67±0.85A 76.67±15.28A 3.17±0.29A 7.00±1.00A 9.50±0.87B 9.17±0.29A
130 67.70±1.14A 83.33±5.77A 3.17±0.58A 6.67±0.58A 9.67±0.29B 9.00±0.50A
150 68.67±0.87A 70.00±10.00A 2.50±0.50A 6.50±0.50A 10.17±0.76B 9.50±1.00A

30 110 68.87±0.40A 66.67±11.55A 2.83±0.29A 6.33±0.29A 9.83±0.29B 9.00±0.87A
130 68.60±0.66A 70.00±10.00A 2.67±0.29A 6.17±1.04A 10.00±0.50B 9.67±0.29A
150 68.63±0.70A 66.67±5.77A 2.33±0.29A 6.17±0.76A 10.00±0.87B 9.50±1.00A

1)Means±SD (n=5).

2)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ANOVA test at p<0.05.

3)CS: chestnut shell powder.

Download Excel Table

반죽의 내성, 즉 반죽에 대한 저항도를 나타내는 MTI는 값이 클수록 약한 밀가루를 나타낸다. 대조군의 MTI는 33.33±11.55 B.U로 가장 낮았으며, 율피분말 및 압출성형 율피분말 실험군의 MTI는 66.67±5.77 B.U~93.33±5.77 B.U 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부재료의 첨가에 따른 반죽내성 의 약화로 보인다. 출발시간 및 반죽시간은 실험군의 유의 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압출성형 실험군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압출성형 밀기울을 첨가하여 제빵 시 반죽의 발전시간 증가와 탄성을 증가시킨다는 연구 (Gomez et al., 2011)와 일치하였다. 밀가루의 안정도 (stability)는 밀가루 단백질의 품질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일반적으로 제빵용 밀가루인 강력분은 안정도가 높고 기타 가루나 부재료의 첨가시 안정도가 약하다. 본 연구에서 대 조군의 안정도는 18.00±1.80분에 비하여 율피분말 및 압출 성형 율피분말 실험군의 안정도는 9.50±0.87~10.17±0.76분 으로 전반적으로 감소(p<0.05)하였는데, 이는 율피분말 첨 가에 따른 밀단백질의 감소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발효 팽창력

반죽의 발효팽창력은 반죽에 첨가된 이스트에 의해 발생 된 이산화탄소에 의해 반죽이 팽창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 산화탄소는 반죽과정에서 형성된 망상구조의 글루텐에 의 해 포집되며, 글루텐의 형성은 밀가루 단백질의 품질 및 함량과 관련이 있다. 반죽의 발효 팽창력은 대조군과 비교 하여 율피분말 및 압출성형 율피를 사용한 실험군에서 감 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Fig. 1). 이는 밀가루 반죽에 첨가 물이 증가할수록 반죽의 부피가 감소한다는 연구(Kang & Nam, 1999)와 같이 율피분말의 첨가에 따른 밀가루 단백질 의 희석에 의한 것으로 보이나, 부재료의 첨가에도 불구하고 팽창의 감소 정도가 크지 않은 것은 압출성형공정에서 증가 된 식이섬유소에 의한 수분흡수력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압 출성형 공정변수에 따른 유의적인 변화는 발견되지 않았지 만, 2시간 및 3시간 이후의 발효팽창력이 수분함량 25%, 용 융물 온도 150°C에서 410.00±10.00 mm, 450.00±10.00mm였 으며, 수분함량 30%의 용융물 온도 150°C에서 420.00±10.00 mm, 426.67±5.7 mm로 나타나 대조군의 426.67±5.77 mm, 446.67±5.77 mm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압출성 형공정을 통해 율피분말의 전분이 호화되면서 발효성 당으 로의 전환이 가속화되어 발효팽창력의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fep-21-4-351-g1
Fig. 1. The change in leavening heights of dough added with chestnut shell powder and extruded chestnut shell powder with various conditions during 4 h fermentation (mm). CS: chestnut shell powder. T1: 1 h, T2: 2 h, T3: 3 h, T4: 4 h.
Download Original Figure
식빵의 비용적과 색도

식빵의 비용적과 식빵 단면(crumb)의 색도를 나타낸 L, a, b 값의 변화는 Table 3과 같다. 비용적은 빵의 부피와 관 련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밀가루 외의 부재료 첨가 시 빵의 구조를 이루는 글루텐의 양이 감소되어 빵의 부피가 작은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Yoon et al. (2010)은 버찌분말을 첨 가한 식빵의 품질특성에서 첨가물이 증가할수록 비용적이 감소한다고 하였고, Gi & Jeong (2013)은 들깨분말의 첨가 에 따라 글루텐 희석효과로 반죽이 약화되어 팽창력이 저하 한다고 하였다. 대조군의 비용적은 3.74±0.08 cc/g으로 가장 높았으며 율피분말에 비하여 압출성형 율피분말 실험군의 비용적이 약간 높게 관측되었다(p<0.05). 또한, 수분함량 25%의 용융물 온도 150°C와 수분함량 30%의 용융물 온도 130°C 및 150°C의 비용적은 각각 3.71±0.06 cc/g, 3.69±0.11 cc/g, 3.68±0.14 cc/g으로 대조군과 비슷하게 관측되었다. 이 는 부재료 첨가에도 불구하고 압출성형으로 인한 전분의 호화가 부피팽창에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생각된다. 수용 성 식이섬유를 식품에 첨가 시 점도를 증가시키고(Hwang, 1996), 압출성형에 의해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증가되며 (Shin et al., 2003), 식이섬유를 첨가한 빵의 부피는 감소하 고 단단해진다(Hamid & Luan, 2000). 본 연구에서는 압출 성형 공정에서 율피분말의 식이섬유소 증가가 크지 않고, 반죽에 첨가된 율피분말의 양이 많지 않아 식빵의 부피와 비용적 감소에 영향을 끼치지 못한 것으로 보이며, 수분함 량 25%의 150°C와 수분함량 30%의 용융물 온도 130°C 및 150°C에서 비용적이 증가한 이유는 압출성형 공정에 의한 전분의 호화 및 식이섬유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3. Specific volume and color of pan bread added with chestnut shell powder and extruded chestnut shell powder with various conditions
Extrusion conditions Specific Volume (cc/g) Crumb color


Moisture (%) Temp. (°C) L1) a2) b3) ΔE4)

Control 3.74±0.085)A6) 87.83±0.41A 6.12±0.27C 15.43±0.33A 18.80±0.47D

CS7) 3.60±0.06BC 68.49±0.50BC 11.87±0.54B 12.99±0.36C 32.76±0.48C

25 110 3.61±0.04ABC 67.20±0.63C 12.38±0.25A 14.37±0.32B 34.59±0.63A
130 3.64±0.03ABC 67.79±0.82BC 12.23±0.40AB 14.19±0.27B 33.97±0.68AB
150 3.71±0.06AB 69.12±1.05B 12.49±0.27A 14.32±0.34B 33.04±0.81BC

30 110 3.64±0.03ABC 67.20±1.18C 12.16±0.27AB 14.33±0.25B 34.50±0.96A
130 3.69±0.11AB 67.90±1.45BC 12.18±0.37AB 14.08±0.29B 33.82±1.39ABC
150 3.68±0.14AB 67.30±0.80C 12.37±0.20AB 14.19±0.28B 34.43±0.63A

1)Lightness (100=white, 0=black)

2)Redness (100=red, -80=green)

3)Yellowness (70=yellow, -70=blue)

4)ΔE: color difference

5)Means±SD (n=5).

6)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ANOVA test at p<0.05.

7)CS: chestnut shell powder

Download Excel Table

빵의 색도는 첨가된 재료의 색소, 굽기 온도, 사용한 당 의 종류와 사용량, pH 등의 영향을 받는다(Shin & Kim, 2008). 명도(L), 적색도(a)는 대조군에 비하여 율피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p<0.05)하였으며, 율 피분말과 비교하여 명도(L)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적색도 (a)와 황색도(b)는 높게 관측되었는데, 이는 율피 분말 고유 의 색 및 고온의 압출성형 공정에 의해 갈변화된 압출성형 율피분말에 의한 결과로 보인다. 적색도는 수분함량 25% 의 용융물 온도 150°C에서 12.49±0.27로 가장 높게 나타 났으며, 황색도(b)는 율피분말이 12.99±0.36인데 비하여 압 출성형 율피분말은 14.08±0.29-14.37±0.32까지 증가하였는 데, 이는 압출성형 공정의 높은 온도로 인한 갈변의 영향 으로 판단된다. 총 색도 변화는 수분함량 25%의 용융물 온도 150°C와 수분함량 30%의 용융물 온도 130°C에서 비 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대조군에 비해 색도 변화가 크게 나타났으나 공정변수에 따른 차이는 관측되지 않았다. 이 는 배럴온도가 변화할수록 갈변반응이 증가하여 색도변화 가 크다는 연구(Altan et al., 2008), 곡류 압출성형물의 수 분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색도의 변화 폭이 낮아진다는 Kim et al. (2012)의 연구와는 일치하지 않았는데, 이는 압 출성형물의 특성보다는 식빵에 첨가된 재료와 굽기 온도 등의 여러 조건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경도

제조 후 상온에서 1시간 방치한 식빵을 25°C에서 5일간 보관하면서 경도(firmness)를 측정하였다(Fig. 2). 1일 경과 후의 경도는 대부분의 실험군에서 높은 증가를 보였는데, 수분함량 25%의 용융물 온도 150°C에서는 113.33±6.17 g 을 나타내어 대조군의 경도 107.42±14.52 g과 비슷한 값을 보였다. 대부분의 실험군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경도는 크 게 증가하였으나, 2일 경과 후의 경도에서 수분함량 25% 의 용융물 온도 150°C와 수분함량 30%의 용융물 온도 130°C에서는 경도의 증가가 크지 않았다.

fep-21-4-351-g2
Fig. 2. Change of firmness of bread with chestnut shell powder and extruded chestnut shell powder during 4 day storage (g/cm2). CS: chestnut shell powder. T0~T4: Storage period (day).
Download Original Figure

이는 내부의 수분함량과 비용적이 증가할수록 빵의 경도 가 감소한다는 연구(Martine & Hoseney, 1991)와 유사하 였으며, 본 실험의 비용적 특성 결과와 유사하였다. 또한, 압출성형 공정을 거치며 전분이 호화되어 노화를 지연시키 고 저장성과 경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 로 빵을 제조 후 2일은 빵을 소비하는 기간으로 알려져 있는데, 2일 경과 후의 경도가 수분함량 25%의 용융물 온 도 150°C에서 201.51±13.06 g으로 대조군의 182.64±10.75 g과 비슷하게 관찰된 것으로 보아 압출성형 율피분말이 빵 의 노화 억제 및 식감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식빵의 단면

기공의 크기와 기공의 팽창정도에 따른 기공의 결 등 식 빵 내부조직의 특성을 촬영한 식빵의 단면을 Fig. 3에 나 타내었다. 전반적으로 대조군에 비해 율피분말을 첨가한 식빵 조직은 지나치게 큰 기공과 불규칙적인 형태를 보였 으나, 수분함량 25%의 용융물 온도 150°C와 수분함량 30%의 용융물 온도 130°C 및 150°C에서는 대조군의 단면 과 비슷한 특성을 보여주었다. 이 같은 결과는 수분함량 25%의 용융물 온도 150°C와 수분함량 30%의 용융물 온도 130°C 및 150°C의 비용적이 율피분말에 비하여 유의적으 로 증가하였다는 비용적 특성 조사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fep-21-4-351-g3
Fig. 3. Photograph of pan bread added with chestnut shell powder and extruded chestnut shell powder with various conditions. 1)CS: chestnut shell powder.
Download Original Figure

Baninder et al. (2009)는 빵의 부피가 빵 내부의 기공수 의 변화 및 기공의 신장성 증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하였고, Kim & Lee (2008)는 반죽에 녹차와 흑미가루 첨 가량이 증가할 경우 기공의 형태를 유지해 주는 글루텐의 부족에 의해 빵의 기본구조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아 기공 의 형태가 선명하지 않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부재료의 첨 가에 따른 글루텐의 희석에도 불구하고 압출성형 율피분말 전분의 호화 및 식이섬유소의 수분흡수력이 기공 팽창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요 약

본 연구는 율피분말을 제빵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율피분말 및 압출성형 공정변수를 달리한 율피분 말 6%를 첨가하여 반죽의 물성과 식빵의 품질특성을 조사 하였다. 율피의 압출성형 공정변수는 수분함량 25%와 30%, 용융물 온도는 110, 130, 150°C로 조절하였다. 총 식이섬 유 함량은 압출성형 율피분말에서 약간 증가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율피분말이 869.09 mg인데 비하여 수분함 량 25%, 용융물 온도 150°C에서 1,397.17 mg까지 증가하 였다. 패리노그램에서, 반죽의 흡수율은 대조군과 율피분말 에 비해 압출성형 공정변수 수분함량 25%와 수분함량 30%의 실험군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p<0.05). 2시간 및 3시간 이후의 발효팽창력은 수분함량 25%의 용융물 온 도 150°C와 수분함량 30%의 용융물 온도 150°C에서 대조 군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비용적은 대조군이 3.74± 0.08 cc/g으로 가장 높았으며, 율피분말에 비하여 압출성형 율피분말 실험군이 높게 관측되었다(p<0.05). 1일 경과 후 의 경도는 수분함량 25%의 용융물 온도 150°C에서 113.33 ±6.17 g으로 대조군의 107.42±14.52 g과 비슷하였다. 이상 의 결과로 수분함량 25%의 용융물 온도 150°C 및 수분함 량 30%의 용융물 온도 130°C에서 반죽의 물성과 식빵의 품질특성이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부재료의 첨가에도 불구하고 압출성형 율피분말 전분의 호 화 및 식이섬유소의 수분흡수력이 반죽의 물성과 식빵의 품질특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References

1.

AACC.2000. Approved method of the AACC (Methods 10-10A, 22-14, 54-21, 74-09),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2.

AOAC.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Methods 985.29),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Caithersburg, MD, USA.

3.

Altan A, McCarthy KL, Maskan M.2008. Extrusion cooking of barley flour and process parameter optimization by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Sci. Food Agri. 88: 1648-1659.

4.

An EM, Choi YH, Lee JK, Choi YS, Kim YH, Shin HS.2015. Antioxidant properties of wheat bran prepared by a high-pressure homogenizer process. Food Eng. Prog. 19: 50-55.

5.

An SH, Lee JY, Kim SW, Ryu GH.2014.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uded chestnut fruit at various conditions. Food Eng. Prog. 18: 203-209.

6.

Baninder SS, Scott RB, Finlay MR.2009. Mechanism of gas cell stabilization in bread making. I. The primary gluten-starch matrix. J. Cereal Sci. 49: 320-40.

7.

Cai W, Diosady LL, Rubin LJ.1995. Degradation of wheat starch in a twin-screw extruder. J. Food Eng. 26: 289-300.

8.

Gi JL, Jeong HC.2013. Quality characteristics dough rheological properties of pan bread with perilla seed powder. Korean J. Culi. Sci. Hos. Res. 19: 142-155.

9.

Gomes M, Jimenez S, Ruiz E, Oliete B.2011. Effects of extruded wheat bran on dough rheology and bread quality. LWT-Food Sci. Technol. 10: 2231-2237.

10.

Gu BJ, Ryu GH.2011. Effects of die geometry on expansion of corn flour extrudate. Food Eng. Prog. 15: 148-154.

11.

Ha DC, Ryu GH.2005. Chemical components of red, white and extruded root ginse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247- 254.

12.

Hamid AA, Luan AS.2000. Functional properties of dietary fiber prepared from defatted rice bran. Food Chem. 68: 15-19

13.

Han JY, Kim MH, Tie J, Kim SJ, Kim MH, Ryu GH.2007. Change in characteristics of extruded vitamin C cornstarch matrix by moisture content and barrel temperature. Food Eng. Prog. 11: 253-260.

14.

Hong SY, Shin GM.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garlic powder. Korean J. Food Nutr. 21: 485-491.

15.

Hwang JK.199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ietary fib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715-719.

16.

Jeon BG, Moon JS.1998.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chestnut powder in the inner shell(endo carp) of a chestnut from its treatment plant: Study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 separated from chestnut inner shell. J. Environ. Research 3(1): 57-69.

17.

Jeong HR, Kim JH, Jo YN, Jeong JH, Heo HJ.2011. Characterization as cosmetic substances of chestnut inner skin extracts with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Life Sci. 45: 183-191.

18.

Jeong SH, Kang WS, Shin MS.2011.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igh yielding non-waxy rice flours extruded with different moisture cont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745-754.

19.

Jin T, Gu BJ, Ryu GH.2010. Manufacturing of hemp seed flake by using extrusion process. Food Eng. Prog. 14: 99-105.

20.

Kang MY, Nam YJ.1999. Studies on bread-making quality of colored rice (Suwon 415) flours. Korean J. Soc. Food Sci. 15: 37-41.

21.

Kim CH, Jin Tie, Ryu GH.2012. Effects of moisture content on physical properties of extruded cereal flou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603-1610.

22.

Kim WM, Lee YS.2008. A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n bread with waxy black rice flour and green tea powder. Korean J. Culi. Sci. Hos. Res. 14: 1-13.

23.

Lee HJ, Chung MJ, Cho JY, Ham SS, Choe M.2008. Antioxidative and macrophage phagocytic activities and functional component analyses of selected Korean chestnut (Castanea crenata S. et Z.)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095- 1100.

24.

Lee JS, Yoon SJ, Ryu GH.2017.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ugh and bread added with chestnut shell or extruded chestnut shell powder. Korean J. Baking 6: 43-54.

25.

Lee KC, Kim YS, Ryu GH.2011. Saccharification characteristics of extruded corn starch at different process parameters. Food Eng. Prog. 15: 155-161.

26.

Martine ML, Hoseney RC.1991. A mechanism of bread firming. II. Role of starch hydrolyzing enzymes. Cereal Chem. 68: 503- 507.

27.

Obiang-Obounou BW, Ryu GH.2013. The effect of feed moisture and temperature on tannin content,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uded chestnuts. Food Chem. 141: 4166-4170.

28.

Shin GM, Kim DY.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by Angelica gigas nakai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5: 497-504.

29.

Shin HH, Lee SH, Park BS, Rhim TS, Hwang JK.2003. Solubilization of whole grains by extrusion and enzyme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849-855.

30.

Son HJ, Ryu GH.2009.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 from a extruded white ginse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946-950.

31.

Wilson AM, Work TM, Bushway AA, Bushway RJ.1981. HPLC determination of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in potatoes. J. Food Sci. 46: 300-308.

32.

Yoon HS.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aronia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273-280.

33.

Yoon MH, Jo JE, Kim DM, Kim KH.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flowering cherry fruit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340-1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