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복분자 추출물의 기능성 원료 표준화를 위한 지표성분 Ellagic acid 분석법
채규서, 손락호, 박송이, 김기안, 이태범, 권지웅*
Analytical Method Validation of Ellagic Acid as a Marker Compound for the Standardization of Black Raspberry Extract as a Functional Ingredient
Kyu Seo Chae, Rak Ho Son, Song Yie Park, Ki-An Kim, Tae-Bum Lee, Ji-Wung Kwon*
Gochang Black Raspberry Research Institute
*Corresponding author: Ji-Wung Kwon, 558 Bokbunjaro, Buanmyun, Gochanggun, Jeollabukdo 585-943, Korea Tel: +82-63-560-5190; Fax: +82-63-563-6680
kjwung@hanmail.net
© Korean Society for Food Engineering.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Aug 25, 2014; Revised: Sep 29, 2014; Accepted: Oct 1, 2014
Abstract
Validation of ellagic acid as a marker compound in the standardization of black raspberry extract developed for functional health food, was attempted by an analytical method. Ellagic acid was validated for its LOD (limit of detection), LOQ (limit of quantitation), precision, accuracy, and recovery by HPLC relative to the black raspberry extract. It showed a high linearity in the calibration curve with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R2) of 0.9999. The LOD and LOQ were 0.6 μg/mL and 1.9 μg/mL,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recovery test were 89%-100%. The intraday and inter-day precision in the ellagic acid for black raspberry extract was 0.28-1.96% and 0.69-2.49%, respectively.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ellagic acid was validated in analytical method as a marker compound in black raspberry extract.
Keywords: black raspberry; ellagic acid; marker compound; validation; functional food
서 론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복분자는 장미과의 낙엽성 관목으로 대부분 외래종 복분자(Rubus occidentalis) (Eu et al., 2010; Choung & Lim, 2012)로 북미가 원산지이다. 줄 기에 가시가 있는 것이 특징이고, 성장이 왕성한 첫해의 가지에는 5개의 어린 잎이 자라고, 화기의 말단 가지에는 3개의 어린 잎이 자란다. 복분자에는 약 1.7%의 안토시아 닌이 함유되어 있으며(Xue et al., 2001), 주요 안토시아닌 은 cyanidin-3-glucoside, cyanidin-3-rutinoside, cyanidin-3- sambubioside, cyanidin-3-xylosylrutinoside 등이 알려져 있 다(Nybom, 1968). 복분자의 붉은색을 나타내는 주요 색소 화합물로는 cyanidin-3-glucoside, cyanidin-3,5-diglucoside, cyanidin-3-rhamnoglucosde-5-glucose이 있고(Daravingas & Cain, 1966), 엘라그산(ellagic acid)과 각종 안토시아닌 등 이 풍부하여 천연 항산화제로도 유용하다고 보고되어있다 (Park et al., 2007). 식용으로 사용되는 복분자는 항산화활 성, 혈관신생억제 및 식도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Wang & Lin, 2000; Liu et al., 2005; Stoner et al., 2006), 또한 최근에 복분자 열매, 잎, 줄기 추출물이 콜레 스테롤과 혈압 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있다(Lee et al., 2014).
건강기능식품을 개발하고 생산하기 위해서는 표준화 및 규격화가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데, 천연물 유래 식 품 소재는 오랜 섭취 경험을 통해 그 효능과 안전성을 확 보하고 있지만 생산지, 토양, 채취시기, 재배조건 등에 따 라 품질에 차이가 있으며, 이를 가열하고 추출하는 과정에 서 주요 성분의 함량 차이가 있다. 이러한 천연물 유래 식 품소재의 기능성과 안전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기 위해 지 표성분의 함량을 통한 품질관리법이 유용하게 쓰이고 있으 며, 이는 기능성 원료에 대한 기준규격을 설정하고 품질관 리의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KFDA, 2007).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분자(Rubus occidentalis) 추출물을 제조하고, 복분자 추출물에서 11종의 화합물에 대한 함량 을 분석한 결과(Choi et al., 2013)를 바탕으로 함량이 가 장 많은 ellagic acid(Fig. 1)를 지표성분으로 선정하였으며, 이 를 지표물질로 활용하기 위하여 식물체내에서 ellagitannins 형 태(Huang et al., 2005)로 존재하는 ellagic acid의 편차를 줄이 고, 정확한 정량을 위해 추출물을 사용한 방법(Choi et al., 2013)을 변형하여, 산가수분해를 통해 탄닌을 제거한 후 ellagic acid의 분석법을 확립하고, 이를 검증(validation)하 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복분자 추출물 제조
복분자(Rubus occidentalis)는 전북 고창군에서 재배된 것 을 구입하여 냉동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복분자 중량 10배 의 용매를 첨가한 후 2시간 동안 농축 추출기(Cosmo 660, Kyungseo machine, Incheon, Korea)를 이용하여, 80°C에서 2회 가열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여과하여 농축한 후 동결 건조(PVTFD10R, Ilsinbiobase, Dongduchen, Gyeonggido, Korea)하여 사용하였다.
표준용액의 조제
Ellagic acid(Analytical standard, purity 95%, Sigma Co. St. Louis, MO, USA) 표준품 약 5 mg을 메탄올 25 mL에 용해시킨 후 1 mg/mL로 만들어 표준원액을 제조하였고, 이를 메탄올로 희석하여 6.25, 12.5, 25, 50, 100, 150, 200 μg/mL 농도가 되도록 표준용액을 만들었다. 제조된 표 준원액과 표준용액은 4°C에서 냉장보관 하였다.
시험용액의 조제
복분자 추출물 0.1 g을 전처리 용매(EtOH: Distilled Water:HCl = 60 : 20 : 20) 10mL에 녹인 후 환류추출장치가 부 착된 water bath를 이용하여 90°C에서 가수분해 하였다. 가 수분해 용액은 실온에서 냉각하고 메탄올로 정용(100 mL) 하여 0.45 μm syringe filter로 여과한 용액을 시험용액으로 사용하였다.
HPLC 분석
복분자 추출물의 ellagic acid 분석은 HPLC(ACQUITY H-class, Waters, Co, Milford, MA, USA)를 이용하였으며, 분석용 컬럼은 Shiseido capcellpak C18 UG(5 μm, 4.6×250 mm, Shiseido, Tokyo, Japan)을 사용하였다. 이동 상으로는 0.1% phosphoric acid in water(A)와 methanol(B) 을 사용하였고, 1.0 mL/min의 유속으로 시료 10 μL를 주입 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조건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Analytical conditions of HPLC for analysis of ellagic acid on black raspberry extract
Parameters |
Conditions |
HPLC model |
ACQUITY H-class (Waters) |
Column |
Shiseido capcellpak C18 UG (5 μm, 4.6×250 mm) |
Column Temperature |
35°C |
Flow rate |
1.0 mL/min |
Injection |
10 μL |
Mobile phase |
A : 0.1% Phosphoric acid in water |
B : Methanol |
Gradient step |
Time (min) |
A (%) |
B (%) |
0 |
70 |
30 |
8.5 |
65 |
35 |
12.0 |
55 |
45 |
15.0 |
45 |
55 |
18.0 |
30 |
70 |
25.0 |
70 |
30 |
35.0 |
70 |
30 |
Detector |
PDA detector (370 nm) |
Download Excel Table
분석법의 유효성 검증(Method validation)
지표성분에 대한 분석법의 유효성 검증은 의약품 등 분석 법의 밸리데이션에 대한 가이드라인(KFDA, 2004)을 근거로 하여 특이성(specificity), 직선성(linearity), 정확성(accuracy), 정밀성(precision), 회수율(recovery)을 통해 시험법을 검증하 였다.
특이성: Ellagic acid 표준용액과 복분자 추출물을 HPLC 로 분석한 뒤 크로마토그램상의 retention time과 비교하여 ellagic acid 피크가 분리되는지 확인하였다.
직선성 및 검출·정량 한계: 단계적으로 희석한 ellagic acid 표준용액을 HPLC로 분석하여 농도에 대한 면적에 대 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R2값을 확인하였다. 각 성분에 대 한 검출한계(Limit of Detection, LOD)와 정량한계(Limit of Quantification, LOQ)는 표준용액의 크로마토그램을 사용하 여 표준편차와 검량선의 기울기에 근거하여 계산하였다.
LOD = 3.3×(standard deviation/slope of calibration curve) LOQ = 10×(standard deviation/slope of calibration curve)
회수율: 회수율은 알고 있는 농도(4.25, 8.50, 17.00 μg/ mL)의 ellagic acid 표준물질을 시료에 넣어 시험용액을 조 제한 후 분석에 의해 회수되는 양을 백분율로 환산하였다.
정밀성: 정밀성을 확인하기 위해 반복성과 재현성을 실 시하였다. 반복성은 1일 3회로 나누어 일내분석(intra-day) 을, 재현성은 1일 3회로 3일 동안 반복하여 일간분석 (inter-day)을 진행하였다.
결과 및 고찰
특이성
특이성은 불순물, 분해물, 배합성분 등 여러 가지 다른 성분들이 혼합되어 있는 복분자 추출물 중 ellagic acid만을 선택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ellagic acid 표준용액과 복분자 추출물 중 ellagic acid의 retention time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검출된 ellagic acid peak가 동일 시간대인 약 12분대에 검출되어 동일 물질임을 확인하였으며 시험용액에서 ellagic acid peak가 단일 peak 로 다른 peak와 완전히 분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2).
Fig. 2.
HPLC chromatogram pattern of ellagic acid in extract from black raspberry. A) Ellagic acid standard B) Black raspberry extract.
Download Original Figure
직선성 및 검출·정량한계
검체 중 일정 농도 범위에 있는 ellagic acid의 양에 대 하여 직선적인 측정값을 얻어낼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 하여 ellagic acid 표준물질의 직선성을 평가하였다. 표준검 량선은 Fig. 3과 같이 6.25-200 μg/mL 농도에서 상관계수 (R2)가 0.9999로 높은 직선성을 보였으며, 검출한계는 0.6 μg/mL, 정량한계는 1.9 μg/mL이었다. 이는 시료에 적용 할 경우 검출한계는 0.6 μg/mL 수준까지 검출이 가능한 것 을, 정량한계는 1.9 μg/mL 수준까지 정량할 수 있는 분석 물질의 최저 농도를 의미한다. Rakesh 등(Rakesh et al., 2012)은 ellagic acid 분석방법의 검증에서 R2은 0.998이었 고, 검출한계와 정량한계가 각각 0.66 μg/mL, 2.40 μg/mL 로 본 시험법이 검출한계와 정량한계 모두 낮은 수준까지 분석이 가능하여 지표성분 분석을 위한 검출한계와 정량한 계를 검증하였다.
회수율
회수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정 양을 시료에 넣은 후 분 석에 의해 회수되는 양을 확인하였다. Table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ellagic acid의 회수율은 4.25 μg/mL 농도에서 97-100%, 8.50 μg/mL 농도에서 96-98%, 17.00 μg/mL 농 도에서 89-95%의 범위의 회수율은 보였다. Kim 등(Kim et al., 2012)은 ellagic acid 분석방법의 검증에서 89-97%의 회수율을 얻어 본 시험법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Table 2.
Recovery of ellagic acid in HPLC analysis for validation
Concentration1) (μg/mL) |
Recovery (%) |
Mean±SD |
RSD2) |
4.25 |
100.22±1.453) |
1.44 |
97.54±3.53 |
3.62 |
97.47±3.58 |
3.68 |
8.5 |
98.07±2.30 |
2.35 |
96.97±2.23 |
2.30 |
96.95±1.87 |
1.93 |
17 |
95.03±3.08 |
3.24 |
95.53±2.33 |
2.44 |
89.08±4.56 |
5.12 |
Download Excel Table
정밀성
하나의 균일한 시료로부터 여러 번 채취하여 얻은 시료 를 정해진 조건에 따라 반복 분석하였을 때, 분석물질에 대한 각각 측정치간의 근접성을 확인하였다. Inter-, intraday의 정밀도(RSD)를 측정한 결과는 Table 3와 같으며 inter-day의 정밀도는 0.28~1.96%이었으며, intra-day의 정밀 도는 0.69-2.49%이었다.
Table 3.
Precision of ellagic acid in black raspberry extract for validation
|
precision (%) |
Mean±SD (mg/g) |
RSD (%)1) |
Inter-day3) |
9.02±0.032) |
0.28 |
9.03±0.14 |
1.55 |
9.07±0.12 |
1.32 |
9.09±0.16 |
1.76 |
8.57±0.08 |
0.93 |
8.69±0.17 |
1.96 |
8.48±0.14 |
1.65 |
8.60±0.16 |
1.86 |
8.90±0.12 |
1.35 |
Intra-day3) |
8.88±0.10 |
1.13 |
8.75±0.16 |
1.18 |
8.73±0.07 |
0.80 |
8.45±0.21 |
2.49 |
8.08±0.18 |
2.23 |
8.40±0.16 |
1.91 |
8.69±0.06 |
0.69 |
8.80±0.09 |
1.02 |
8.92±0.12 |
1.35 |
Download Excel Table
이상의 분석결과, 본 시험법의 유효성검증을 통하여 ellagic acid에 대한 상기 HPLC 분석법이 건강기능식품 기 능성 원료로 인증받기 위한 완숙된 복분자의 지표성분인 ellagic acid의 분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요 약
복분자를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 개발 하기 위하여 지표성분 표준화를 위한 ellagic acid의 분석 법 설정과 분석법에 대한 검증(validation)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ellagic acid의 검량선은 R2= 0.9999으로 좋은 선형 성을 보였으며, 검출한계 0.6 μg/mL, 정량한계는 1.9 μg/ mL였다. 회수율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89.0-100.0%로 나왔 고, 상대표준편차(RSD)는 0.05-0.14%를 보였으며, 일내와 일간 분석에서 RSD는 각각 0.28-1.96%와 0.69-2.49%로 나왔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복분자 추출물의 지표물질 인 ellagic acid의 분석법은 적합한 시험법임이 검증되었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고창군 지역농식품 선도클러스터 육성사업과 고창복분자연구소 건립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Choi HR, Lee SJ, Lee JH, Kwon JW, Lee HK, Jeong JT, Lee TB.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unripe black raspberry water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3; 42:1899-1907.
Choung MG, Lim JD. Antioxidant, anticancer and immune activation of anthocyanin fraction from
Rubus coreanus Miquel fruits (ripe black raspberry). Korean J. Med. Crop Sci. 2012; 20:259-269.
Daravingas G, Cain RF. The anthocyanidin pigments of black raspberries. J. Food Sci. 1966; 31:927-936.
Eu GS, Park MR, Baek SH, Yun SJ. Phylogenic relationship of Rubus cultivated in Korea revealed by chloroplast DNA spacers. Korean J. Med. Crop Sci. 2010; 18:266-272.
Huang W, Ni J, Brothwick AGL. Biosynthesis of valonia tannin hydrolase and hydrolysis of calonia tannin to ellagic acid by
Aspergillus SHL 6. J. Process Biochem. 2005; 40:1245-1249.
Kim YJ, Han SH, Jeon JY, Hwang MH, Im YJ, Chae SW, Kim MG. Method development of ellagic acid as marker compound for standardization of gochang bokbunja(Rubus coreanus Miquel) as functional ingredi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2; 41:1554-1558.
KFDA Analytical method guideline about validation of drugs and etc. 2004;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Seoul, Korea p. 1-18
KFDA Guideline for standard of health functional food. 2007;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Seoul, Korea p. 6-13
Lee MJ, Lee SJ, Choi HR, Lee JH, Kwon JW, Chae KS, Jeong JT, Lee TB. Kor. J. Med. Crop Sci. 2014; 22:177-187.
Liu Z, Schwimer J, Liu D, Greenway FL, Anthony CT, Woltering EA. Black raspberry extract and fractions contain angiogenesis inhibitors. J. Agr. Food Chem. 2005; 53:3909-3915.
Nybom N. Cellulose thin layers for anthocyanin analysi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nthocyanins of black raspbrries. J. Chromatography A. 1968; 38:382-387.
Park YK, Choi SH, Kim SH, Han JY, Chung HG.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s and vitamin C content during fruit ripening in
Rubus occidentalis. Korean J. Plant Res. 2007; 20:461-465.
Rakesh K, Vishal R, Madhavi G.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RP-HPLC method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embelin, rottlerin and ellagic acid in vidangadi churna. J. Pharm. Analysis. 2012; 2:366-371.
Stoner GD, Chen T, Krestry LA, Aziz RM, Reinemann T, Nines R. Protection against esophageal cancer in rodents with lyophilized berries: potential mechanisms. Nutrition and Cancer. 2006; 54:33-46.
Wang SY, Lin HS. Antioxidant activity in fruits and leaves of blackberry, raspberry and strawberry varies with cultivate and developmental stage. J. Agr. Food Chem. 2000; 48:140-146.
Xue H, Aziz RH, Sun N, Cassady JM, Kamendulis LM, Xu Y, Stoner GD, Klaunig JE. Inhibition of cellular transformation by berry extracts. Carcinogenesis. 2001; 22:351-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