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od Engineering Progress
Korean Society for Food Engineering
Article

튀김유의 종류를 달리한 약과의 저장 중 품질 특성

이경미, 김진원1, 신정규1,2,*
Gyeong Mi Lee, Jin Won Kim1, Jung-Kue Shin1,2,*
전주대학교 농생명식품산업학과
1전주대학교 한식조리학과
2전주대학교 식품산업연구소
Department of Agro-Bio & Food Industry, Jeonju University
1Department of Korean Cuisine, Jeonju University
2Food Industry Research Institute, Jeonju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Jung-Kue Shin, Department of Korean Cuisine, College of Culture and Tourism, Jeonju University, 303 Cheonjam-ro, Wansan-gu, Jeonju, 55069 Republic of Korea Tel: +82-63-220-3081; Fax: +82-63-220-3264 E-mail: sorilove@jj.ac.kr

© Korean Society for Food 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

Received: May 2, 2018; Revised: May 10, 2018; Accepted: May 14, 2018

Abstract

Quality changes in yakgwa (such as color, moisture contents, acid value, rheological properties, and viable cells) using different types of frying oils was examined for 5 weeks.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 lightness and yellowness of all samples were increased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dness. After 5 weeks of storage, rice bran oil showed the least color differen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oisture contents of all samples except for grape seed oil, while the moisture contents of yakgwa fried with grape seed oil was decreased. The acid value increased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regardless of the type of frying oil, and yakgwa fried with rice bran oil and grape seed oil showed a low acid value. The hardness was increased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hardness between the samples. The adhesiveness and resilience were decreased and the chewiness was increased. The total cell count did not increase significantly as the storage period, and there was also no difference in the total cell count between the samples. There was a high level of yeast and mold in comparison to total cell count, and the colony of bacteria was not detected.

Keywords: yakgwa; frying oil; quality properties; storage

서 론

약과는 고려시대 때부터 발달하여 여러 행사에 사용되어 온 고임음식으로, 유밀과의 한 종류로서 과절, 과즐 등으로 불리우기도 하였다(Lee & Park, 1995; Jung et al., 2014). 약과에 사용되는 재료로는 밀가루, 꿀, 술, 참기름 등이 주 로 사용되었으며, 그 이외에 부재료로서 찹쌀가루, 콩가루, 조청, 설탕, 후춧가루, 생강, 소금 등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Cho & Lee, 1987). 약과는 주재료를 사용하여 반죽을 만든 후 밀어서 자르거나 틀에 찍어내어 기름에 튀기고, 튀긴 후 에는 단맛과 보관을 위해 집청을 한다(Lee & Park, 1995).

약과의 제조에 사용되는 중요한 재료 중 하나인 기름은 크게 반죽할 때 사용되는 기름과 튀길 때 사용되는 기름이 있다. 약과의 반죽에 사용되는 기름은 전통적으로는 참기 름을 사용하였으나, 근래에는 참기름 이외에도 채종유, 쇼 트닝 등을 사용한 약과의 제조 방법에 대한 시도도 있었다. 약과를 만들 때 반죽에 들어가는 기름에 대한 연구를 보면 채종유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저장 중 산패도의 차이가 없었으며(Yum, 1972), 참기름과 쇼트닝을 사용하였을 경우 에도 산패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는데(Kim & Kim, 2009), 이는 제조된 약과의 유지 구성을 보면 반죽에 첨가된 기름은 10-16%이고, 튀길 때 사용된 기름이 84-90%로 반죽 에 첨가되는 기름의 양이 적어 산패도나 품질 특성에 큰 영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Kim & Kim, 2009).

약과를 튀길 때 사용하는 기름은 지금까지는 주로 대두유 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주변에서 가장 쉽게 구할 수 있으면 서도 수율이 높고 값싼 기름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 다. 그러나 사람들의 기호도가 변하고 기름의 종류가 많아 지면서 최근에는 튀김 기름의 종류를 달리하는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Han et al., 1994; Kim & Yun, 1999). 일반적으 로 튀김기름은 발연점이 높고, 고온의 열에 안정하며, 냄새 가 없어 음식의 맛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하는데 이런 조건 을 충족하는 기름은 대두유, 옥수수유, 미강유, 카놀라유, 포 도씨유 등이 있다. 튀김기름에 대한 연구를 보면 Min et al. (1985)은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를 사용하여 저장조건에 따른 산패도와 관능특성에 대해 보고를 하였으며, Han et al. (1994)은 대두유, 면실유, 미강유를 튀김기름으로 사용하 여 품질 특성에 대한 연구를 보고하기도 하였다.

할랄(Halal)은 아랍어로 샤리아(이슬람법)에 의해 허용된 다는 의미로 무슬림의 삶 전반에 걸쳐 허락되는 것을 말한 다. 식품 중에서는 음식과 음료를 이루는 기본 원료와 부 재료 등 식품의 성분에 대해서도 꼼꼼하게 따진다. 중동지 역에서는 바클라바(baklava)라는 아주 얇은 반죽을 겹겹이 쌓아 사이사이에 버터와 식물성 오일, 다진 견과류, 꿀 등 을 채워 구운 디저트가 있는데 매우 얇은 반죽을 사용하기 때문에 손이 많이 가며 비싼 견과류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 상적으로 먹기 힘든 고급스러운 디저트라는 인식이 있다 (Lee, 2018). 켜가 생기는 형태와 식물성 오일, 꿀 등을 사 용하여 바삭하면서도 촉촉한 식감을 가진 바클라바는 우리 나라의 약과와 비슷하여 약과를 중동지역에 수출할 때에 저항감이 적으며 바클라바의 고급스러운 인식을 공유하여 좋은 반응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전 연구(Lee et al., 2017)에서는 할랄지역의 수출을 위 한 약과의 제조방법과 튀김유를 달리한 제조 직후 약과의 품질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는 전 연구에 이어 약과 제조 시 튀김유로 사용되는 기름의 종류를 달리하여 저장 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본 실험에 사용한 튀김유는 대두유(Sajo Heapyo, Hanam, Korea), 옥수수유(Sajo Heapyo), 카놀라유, 현미유, 포도 씨유(CJ Cheiljedang, Incheon, Korea)를 사용하였다. 약 과의 반죽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로는 밀가루는 중력분(CJ Cheiljedang, Yangsan, Korea)을 사용하였으며, 소금(CJ Cheiljedang, Busan), 후추(Ottogi, Anyang, Korea), 참기름 (Ottogi, Eumseong, Korea), 베이킹파우더(Breadgarden Co., Seongnam, Korea)를 사용하였다. 설탕 시럽은 설탕(CJ Cheiljedang, Incheon, Korea), 꿀(Dongsuh Food, Incheon, Korea)을 사용하여 만들었으며, 집청 시럽은 조청(Ottogi, Anayang, Korea), 물엿(Ottogi, Ulsan, Korea), 생강(H mart, Jeonju, Korea), 물(Jeju Province Development Co., Jeju, Korea)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약과의 제조 및 저장

약과의 제조방법은 Jung et al. (2014)의 방법을 참고하 였고, 할랄식품에서 사용되어서는 안되는 알코올을 제외한 약과의 제조방법에 대한 선행연구(Lee et al., 2017)를 통해 팽창제의 종류 및 함량을 정한 후 제조하였고(Fig. 1), 배 합비는 Table 1과 같다. 약과의 제조는 밀가루에 소금, 후 춧가루, 베이킹파우더, 참기름을 넣어 고르게 비빈 후 체 (18 mesh, Chunggye Industrial MFG, Gunpo, Korea)에 내 렸다. 체에 내린 반죽 가루에 설탕 시럽을 넣고 가루가 보 이지 않을 정도로 반죽을 하여 한 덩어리로 뭉쳤다. 반죽 을 넓게 펼친 후 반으로 접은 후 다시 넓게 펼치는 과정 을 2-3차례 반복한 후 0.8 cm 두께로 밀어 3×3 cm로 잘라 내었다. 잘라낸 약과 반죽을 110°C의 기름에서 5분간 튀긴 후 150°C의 기름으로 옮겨 5분간 더 튀긴 직후 집청 시럽 에 1시간동안 담궈 집청한 후 건져내어 24시간동안 체에 받쳐 여분의 집청 시럽을 제거하였다. 설탕 시럽은 설탕과 물을 섞어 끓이다가 끓기 시작하면 불을 약불로 줄인 후 10분간 가열하고 꿀을 넣어 당도를 60 °brix로 맞춘 후 식 혀 사용하였다. 집청 시럽은 조청과 물, 편으로 썰은 생강 을 함께 끓이다가 끓기 시작하면 약불로 줄여 5분간 가열 한 후 당도를 75 obrix로 맞춘 후 식혀 사용하였다. 제조된 약과는 FPP pack (Flexible polypropylene, PSW-12153, Enerline Co. Ltd., Siheung, Korea)에 담고 30°C에서 5주 간 보관하면서 1주 간격으로 품질 특성을 측정하였다.

fep-22-2-153-g1
Fig. 1. Flow chart for preparation of yakgwa with different deep frying oils
Download Original Figure
Table 1. Ingredients of yakgwa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frying oils
Yakgwa Sugar Syrup Soak syrup



Ingredients (g) Ingredients (g) Ingredients (g)
   Wheat flour 100    Sugar 100.00    Grain syrup 290
   Sesame oil 19.00    Water 100    Starch syrup 290
   Salt 0.35    Honey 10    Water 100
   Pepper powder 0.25    Ginger 20
   Baking powder 1.20
   Water 18.80
   Sugar syrup 25.00
Download Excel Table
색도

색도는 약과의 겉면과 재료를 색차계(Chromameter, Konica Minolta, Tokyo, Japan)를 이용하여 L (명도, lightness), a (적색도, redness), b (황색도, yellowness)를 총 5회 반복 측정한 후,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표준 백색판의 값은 L=96.69, a=0.09, b=1.89.이었다.

수분함량

수분함량은 시료를 막자사발에서 분쇄한 후 시료 1 g을 취 하여 수분 측정기(MA35, Satorius AG, Laupheim, Germany)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모든 값은 각 시료당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산패도 측정

산가(acid value, AV)는 Kim et al. (2011)의 실험방법을 참고하였다. 시료 5-10 g을 filter bag에 ethyl alcohol· ethyl ether (Daejung Chemicals & Metals Co. Ltd., Siheung, Korea)를 1:2 비율로 혼합한 용액 100 mL를 넣은 후 speed 1에서 5분간 stomacher (Bagmixer 400VW, Interscience fr., Saint Nom, France)로 균질화하여 녹였다. 시료를 녹인 용액 을 비커에 옮겨 담아 1% phenolphthalein 지시약 (Daejung Chemicals & Metals Co. Ltd.)을 2-3방울 넣은 후 0.1 N Potassium hydroxide ethanolic standard solution (Daejung Chemicals & Metals Co. Ltd.)으로 엷은 홍색이 30초 이상 유지 될 때까지 적정하였다. 각 시료 당 3회 반복 측정하 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AV= 5.611 × ( a - b ) × f S
(2)

여기에서 S는 시료의 채취량(g)이고, a는 시료에 대한 0.1 N potassium hydroxide ethanolic standard solution의 소비량 (mL), b는 공시험에 사용된 0.1 N potassium hydroxide ethanolic standard solution의 소비량(mL)이며, f는 0.1 N potassium hydroxide ethanolic standard solution의 역가이다.

물성측정

제조된 약과의 물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약과를 1×1×1 cm의 크기로 자른 다음 texture analyser (TAXT Experss Enhanced, Stable Microsystems Ltd., Godalming, England) 를 이용하여 경도(hardness), 부착성(adhesiveness), 응집성 (cohesivenss), 씹힘성(chewiness), 그리고 복원성(resilience) 을 측정하였다. 사용된 probe는 SMS P/50이며, 측정조건은 test mode compression, pre-test speed 2.0 mm/s, test speed 1.0 mm/s, post-test speed 1.0 mm/s, distance 5.0 mm, trigger force 5.0 g으로 하여 측정하였으며, 각 시료 당 5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생균수 측정

시료 5 g을 잘게 자른 후 생리식염수 45 mL와 섞은 후 filter bag에 넣고 stomacher (Bagmixer 400VW, Interscience. fr., Saint Nom, France)로 speed 3에서 5분간 균질화하였 다. 생균수의 측정은 일반세균은 plate count agar (PCA; Difco Laboratories, Spark, MD, USA), 효모 및 곰팡이는 potato dextrose agar (PDA; Difco Laboratories), 그리고 대장 균군은 deoxycholate lactose agar (DLA; Difco Laboratories) 를 사용하였다. 일반세균과 효묘 및 곰팡이는 35°C에서 48 시간 배양 후, 대장균군은 25°C에서 72시간 배양 후 평판 배지에 형성된 30-300개 사이의 군락수를 계수하여 CFU/g 으로 나타내었으며, 모든 생균수는 각 시료당 3회 반복 실 험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통계처리

SPSS ver. 24.0 package program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각 시료간 의 유의성 검정은 분산분석(one way ANOVA)과 Duncan 다 중범위검정법(Duncan’s multiple range test, p<0.05)을 사용 하여 검증하였다.

결과 및 고찰

색도

약과 제조에 사용된 재료의 색도와 튀김유의 색도 값은 Table 2에 나타내었으며, 튀김유를 달리하여 제조한 약과의 저장 중 색도변화는 Table 3에 나타내었다. 약과 제조에 사용된 재료 중 색이 없는 투명한 재료를 제외한 재료와 집청 시럽의 색도는 육안으로 볼 때 대부분 밝은 흰색의 색상을 띄고 있어 비슷한 L, a, b값을 나타내었다. 집청 시 럽은 시럽 내에 갈색의 조청이 혼합되어 있어 다른 재료에 비해 낮은 명도 값을 보였다. 또한 튀김유의 명도도 종류 에 상관없이 비슷한 값을 보였다.

Table 2. Color value of ingredient for preparation of yakgwa
Sample Color
L a b
Wheat flour 90.36±0.201) 0.35±0.01 8.37±0.06
Sesame oil 10.44±0.22 0.91±0.08 9.02±0.16
Salt 88.69±0.33 -0.07±0.01 2.69±0.10
Pepper powder 45.86±0.37 2.89±0.05 17.59±0.17
Baking powder 93.56±0.09 0.07±0.03 1.60±0.04
Soak syrup 16.87±0.20 -0.72±0.03 7.69±0.32

Soy bean oil 12.47±0.61a 0.03±0.07a -0.99±0.23d
Corn oil 12.22±0.22ab -0.29±0.06b 0.09±0.13c
Canola oil 12.46±0.34a -0.25±0.06b -0.73±0.40d
Rice bran oil 11.97±0.19b -2.16±0.06d 4.30±0.21a
Grape seed oil 12.30±0.12ab -0.78±0.27c 0.58±0.12b

Mean±SD

Superscriptive letters 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ce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ownload Excel Table
Table 3. Changes in color of yakgwa according to different deep frying oils during storage periods
Sample Storage period (week)
0 1 2 3 4 5
Lightness Soybean oil A34.74±0.91ns,1) AB34.30±1.57 NS33.77±1.49 NS32.66±1.49 A35.08±2.09 ABC32.40±1.32
Corn oil B32.96±0.64bc AB34.67±2.65ab 33.18±1.75abc 31.78±1.07c A35.23±1.08a BC31.98±1.56c
Canola oil AB33.56±1.14b A35.63±1.50a 33.94±0.96b 32.01±0.65c B33.16±0.68bc A33.97±0.74b
Rice bran oil B32.28±0.75ns BC32.53±0.90 33.18±1.34 31.92±1.66 B32.67±0.70 AB33.28±1.37
Grape seed oil C28.92±1.32b C31.10±0.67a 31.50±0.80a 32.37±1.34a B32.35±0.61a C30.98±0.90a
Redness Soybean oil NS2.66±0.56ns NS2.72±0.78 AB3.41±1.13 NS2.57±0.78 NS2.73±1.06 AB2.88±0.64
Corn oil 2.81±1.02ns 2.25±0.62 BC2.01±0.90 2.96±1.10 2.68±0.75 C1.83±0.50
Canola oil 3.02±1.21b 2.85±0.48b A4.60±1.39a 2.16±0.65b 2.64±0.50b A2.96±1.08b
Rice bran oil 2.93±0.47abc 2.51±0.37bc BC2.61±0.95bc 3.26±0.85ab 2.22±0.13c A3.52±0.43a
Grape seed oil 2.96±0.80ns 2.76±0.55 C1.70±0.47 2.25±0.49 2.20±1.00 BC2.03±0.36
Yellowness Soybean oil A10.52±0.66a A10.25±0.45ab B10.65±0.36a NS9.38±0.57b A10.5±1.09a A10.23±0.77ab
Corn oil AB9.68±0.46bc A9.96±0.62b C9.64±0.73bc 9.06±0.53c A10.79±0.48a B9.14±0.47c
Canola oil BC9.34±0.72c A10.72±0.54b A11.95±0.48a 9.22±0.58c AB10.37±0.81b A11.05±1.03ab
Rice bran oil AB9.77±0.97abc B9.07±0.39c C9.88±0.84abc 10.11±0.54ab B9.55±0.22bc A10.65±0.63a
Grape seed oil C8.44±0.63c B9.12±0.74abc D8.52±0.35c 9.67±0.59a B9.40±0.72ab B8.67±0.44bc

Mean±SD

: Not Significant

Superscriptive letters in a row indicate significance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Superscriptive letters 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ce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ownload Excel Table

튀김유를 달리하여 제조한 약과의 색도를 살펴보면 명도 값은 제조 직후에는 대두유로 튀긴 약과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카놀라유로 튀긴 약과가 대두유로 튀긴 약 과와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다. 옥수수유과 미강유를 사용 하여 제조한 약과는 대두유나 카놀라유보다는 낮은 값을 보였고 그 중에서도 포도씨유로 튀긴 약과가 가장 낮은 값 을 나타내었다(p>0.05). 5주 동안 저장하면서 저장 기간에 따른 명도 값의 변화를 보면 대부분의 시료가 증가하는 경 향을 보였으며, 시료간의 차이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Yun & Jang (2001), Yun & Kim (2005), Lee & Kim (2014) 등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는데, 초기에 는 튀김유 자체의 명도값이 시료의 명도값에 영향을 미쳤 으나 저장 기간이 길어지면서 튀김유의 명도값의 영향이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적색도의 값은 약과를 제조한 직후에는 튀김 기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일부 저장기간에 따라 튀김유에 따라 일부 차이를 보이는 기간 이 있으나 4주차까지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5주차 에 상대적으로 옥수수유와 포도씨유를 사용하여 제조한 약 과가 낮은 적색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저장기간에 따른 각 튀김유별 적색도는 일정한 경향이 없이 증감을 반복하여 나타내었다. Park et al. (1992)에 의하면 튀김시간에 따른 약과의 적색도는 분명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Yun & Jang (2001)과 Yoon (2002)은 약과 제조 후 5일간 저장하면서 적색도를 확인한 결과 유의적인 차이 가 없거나, 증감을 반복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하였다. 또한 Cho et al. (2007)은 28일간 저장하였을 경우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보고하고 있어 일관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실험에서는 적색도의 경우 대부분 시료 간의 유의차가 존재하지 않고 증감을 반복하고 있어 기존 의 연구 보고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저장 5주차에 미강유가 다른 시료에 비해 높은 적색도 값을 보였는데, Han et al. (1994)의 연구에 의하면 미강유로 튀긴 약과가 면실유나 대두유로 튀긴 약과보다 높은 적색도를 나타낸다 고 하였으며 이는 미강유의 색이 다른 기름에 비해 진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고 보고하였다. 본 실험에서도 미강유 로 튀긴 약과가 대두유나 다른 기름으로 튀긴 약과가 적색 도가 높게 나타나 같은 결과를 보였다. 황색도의 경우에는 약과 제조 직후에는 대두유로 튀긴 약과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옥수수유와 미강유로 튀긴 약과가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포도씨유로 튀긴 약과는 가장 낮은 황색도를 나 타내었다(p<0.05). 5주 저장하는 동안 황색도의 변화를 보 면 카놀라유로 튀긴 약과가 대체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대두유, 옥수수유, 그리고 미강유로 튀간 약과는 비슷한 값 을 보였고, 포도씨유를 사용한 약과는 다소 낮은 황색도를 나타냈다(p<0.05).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감을 반복 하지만 제조 직후와 5주 후를 비교했을 때에는 황색도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Yun & Jang (2001)과 Yun & Kim (2005)은 저장기간에 따라 약과의 황색도가 감소하 거나 증가한다고 하였으며, Lee & Kim (2014)은 황색도의 증감이 있고 일정한 경향이 없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결과 에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전체적인 색도 의 차이(ΔE)를 알아보기 위해 제조 직후와 5주 후 튀김유 별 약과의 색도차를 Table 4에 나타내었다. Song & Park (2005)은 ΔE 값이 0-0.5이면 색차의 차가 거의 없고, 0.5- 1.5는 근소한 차이, 1.5-3.0은 감지할 수 있는 정도, 3.0-6.0 은 현저한 차이, 6.0-12.0은 극히 현저한 차이, 12이상이면 다른 계통의 색으로 결정한다고 하였는데, 본 실험에서 제 조 직후와 5주 저장 후의 약과의 색차는 모두 1.5-3.0 사 이로 나타났으며, 미강유로 튀긴 약과가 5주 저장 후 가장 적은 색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Table 4. Changes in color change (ΔΕ) of yakgwa according to deep frying oil during storage periods
Soybean oil Corn oil Canola oil Rice bran oil Grape seed oil
ΔE 2.70±1.52abc,1) 2.24±0.97bc 2.58±0.88bc 2.10±1.03bc 2.40±1.14bc

Mean±SD

Superscriptive letters in a row indicate significance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ownload Excel Table
수분함량

튀김유를 달리하여 제조한 약과의 저장 기간 중 수분함 량의 변화는 Table 5에 나타내었다. 제조 직후 튀김유별 약과의 수분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대 두유로 튀긴 약과가 가장 높고, 포도씨유로 튀긴 약과가 가장 낮은 수분함량을 나타내었다. 저장 기간에 따른 수분 함량은 포도씨유를 제외하고 모두 변화가 없었으며 (p<0.05), 포도씨유로 튀긴 약과만이 저장기간에 따라 시료 간에 유의적 차이가 있었으나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는 않 았다. 저장 기간에 따른 약과의 수분함량에 대한 결과를 보고한 Park (1997)에 의하면 7-8월의 실온에서 저장용기 에 담아 30일간 저장하였을 경우 수분함량의 변화는 1% 내외의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으며, Jang et al. (2013)의 경우에는 기름의 종류와 첨가량을 달리한 구운 약과의 경 우 수분함량에 변화가 없었다고 보고하여, 전체적으로 약 과는 저장기간에 따른 수분 함량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 판 단되며, 본 연구 결과도 이와 일치한다.

Table 5. Changes in moisture contents of yakgwa according to different deep frying oil during storage period
Storage period (week)
0 1 2 3 4 5
Soybean oil NS 6.6±0.85ns,1) NS 6.63±0.39 NS 5.97±0.16 NS 5.63±0.15 NS 5.76±0.60 NS 6.55±0.57
Corn oil 6.80±0.84ns 6.27±0.81 5.12±0.03 7.01±1.12 5.99±0.39 6.97±1.30
Canola oil 6.29±0.47ns 7.36±0.50 6.63±1.07 6.67±0.20 7.30±0.74 7.09±0.76
Rice bran oil 5.87±2.01ns 5.85±0.74 5.36±0.25 5.65±0.53 6.27±0.41 5.49±0.47
Grape seed oil 5.61±0.07b 6.02±0.80ab 6.38±0.24a 5.29±0.17b 5.50±0.46b 5.35±0.14b

Mean±SD

: Not Significant

Superscriptive letters in a row indicate significance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Superscriptive letters 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ce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ownload Excel Table
산가(acid value)

튀김유에 따른 저장기간 중 산가의 변화를 Table 6에 나 타내었다. 산가를 보면 튀김유의 종류와 상관없이 모두 저 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유 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약과의 제조 직후에는 대두유, 옥수수유, 카놀라유로 튀긴 약과가 상대적으로 높 은 산가를 보인 반면, 미강유와 포도씨유로 튀긴 약과가 낮은 산가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경향은 제조 후 5주 동안 저장한 후 측정한 약과의 산가에서도 나타나 포도씨유와 미강유로 튀긴 약과는 저장 5주 후에도 6.0 이하의 산가를 나타내었다. 미강유나 포도씨유의 산가가 낮게 나타난 것 은 미강유의 경우 oleic acid가 40-50%, linoleic acid가 약 20%, palmitic acid가 약 20%로 구성되어 있어 linolenic acid의 함량이 낮고 비타민 E군에 속하는 tocopherol과 tocotrienol이 함유되어 있어(Kim & Kang, 1999) 산패에 대해 안정성이 높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포도씨유는 품종 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linoleic acid가 약 70%로 대부분 의 조성을 차지하고 있고, oleic acid와 palmitic acid가 10- 15% 함유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산화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Hwang et al., 1999; Kang et al., 2001; Woo et al., 2005; Jang et al., 2015).

Table 6. Changes of acid value of yakgwa according to deep frying oil during storage period
Storage period (week)
0 1 2 3 4 5
Soybean oil NS 0.24±0.06b,1) B 0.36±0.10a NS 0.38±0.01a NS 0.41±0.09a NS 0.42±0.02a NS 0.46±0.07a
Corn oil 0.32±0.05bc B 0.30±0.04c 0.45±0.04a 0.40±0.05abc 0.44±0.04ab 0.50±0.12a
Canola oil 0.34±0.05bc B 0.32±0.03c 0.35±0.02bc 0.41±0.03abc 0.47±0.08ab 0.54±0.14a
Rice bran oil 0.36±0.06ns A 0.47±0.06 0.46±0.02 0.39±0.03 B0.43±0.05 0.52±0.10
Grape seed oil 0.35±0.08ns B 0.30±0.02 0.40±0.14 0.36±0.04 0.46±0.04 0.43±0.08

Mean±SD

: Not Significant

Superscriptive letters in a row indicate significance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Superscriptive letters 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ce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ownload Excel Table
물성

튀김유를 달리하여 제조한 후 5주간 저장하면서 경도 (hardness), 부착성(adhesiveness), 응집성(cohesiveness), 씹 힘성(chewiness), 복원성(resilience)을 측정한 결과를 Table 7에 나타내었다. 경도(hardness)는 포도씨유로 튀긴 약과가 가장 높은 경도를 나타내었으며, 대두유가 가장 낮은 경도 를 나타내었으며 유의적인 차이가 있긴 하지만(p>0.05) 관 능적으로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 수준이었다.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5주가 경과한 후에는 튀김유에 따른 약과의 경도는 유의적 차이 를 나타내지 않았다. Lee et al. (1992)는 찹쌀가루 첨가량 을 달리하여 제조하였을 때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경 도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고 하였으며, Yun & Jang (2001), Yun & Kim (2005), Hwang (2015)의 연구 결과에 서도 대부분 약과 제조 후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경도 가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 결과와 같은 경향을 보 였다. 저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경도가 증가하는 이유는 분의 노화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Yoon, 2002).

Table 7. Change in physical properties of yakgwa according to deep frying oil during storage period
Sample Storage period (week)
0 1 2 3 4 5
Hardness (N) Soybean oil B 773.11±39.25b,1) NS 812.77±211.58b NS 902.47±58.13b NS 1,138.23±68.54a B 1,216.74±24.20a NS 1,183.9±106.07a
Corn oil A 897.60±89.28ns 802.95±39.97 886.51±281.73 943.52±102.30 D962.93±48.54 1,160.69±292.50
Canola oil B 784.84±8.09b 1,033.27±152.50a 1,029.00±171.81a 1,087.25±69.90a C 1095.28±95.94a 1,038.95±69.87a
Rice bran oil AB 821.73±64.27c 776.54±65.30c 1,163.54±51.21ab 1,115.05±6.36b BC1,161.38±18.21ab 1,239.92±48.17a
Grape seed oil A 906.74±11.64c 968±41.64bc 851.45±17.57c 1,075.4±176.99b A 1,323.38±16.55a 1,299.42±89.10a
Adhesiveness (J) Soybean oil A -30.82±2.31a B -54.31±5.55b NS -56.74±9.18b NS -82.44±8.29c NS -98.52±14.41d NS -121.92±6.98e
Corn oil B -47.68±4.28a BC-60.43±3.79a -65.46±10.70a -78.89±9.60a -94.47±13.44ab -133.43±57.55b
Canola oil A -37.06±3.56a A -43.06±4.21a -74.97±1.79b -98.50±7.77c -114.6±10.51d -104.9±12.13cd
Rice bran oil B -45.57±4.57a C -64.99±5.68b -70.64±8.12b -76.35±11.87b -103.02±11.35c -97.29±6.43c
Grape seed oil B -41.53±2.51a AB -51.92±7.40ab -61.73±6.57b -74.50±10.57c -119.46±3.66d -110.54±2.13d
Cohesiveness Soybean oil NS 0.50±0.02a C 0.41±0.01b NS 0.38±0.02c B 0.41±0.02b NS 0.41±0.02b B 0.43±0.02b
Corn oil 0.48±0.02a AB 0.44±0.02b 0.39±0.03c AB 0.43±0.03b 0.42±0.03bc A 0.48±0.03a
Canola oil 0.49±0.03a C 0.42±0.02c 0.41±0.03c A 0.45±0.02b 0.43±0.03bc B 0.43±0.02bc
Rice bran oil 0.50±0.03a A 0.46±0.01b 0.38±0.02c AB 0.43±0.02b 0.45±0.04b B 0.43±0.03b
Grape seed oil 0.52±0.01a B 0.44±0.01c 0.41±0.01cd B 0.40±0.03d 0.43±0.02c A 0.47±0.03b
Chewiness (J) Soybean oil B 221.00±3.07d B 180.89±11.21e C 269.14±18.80c A 376.22±11.49a A 356.28±30.61a A 318.35±29.90b
Corn oil A 259.28±5.10c B 180.58±2.37d BC301.51±30.57b A 357.13±31.69a B 238.02±15.37c A 305.45±7.81b
Canola oil E142.33±9.12d B 185.65±6.09c AB 322.65±5.72b A 377.79±20.49a A 385.79±22.66a B 239.79±1.80c
Rice bran oil D175.87±5.94c B 191.45±3.56c D168.20±20.68c B 244.67±37.77b C 185.51±13.29c A 317.80±20.15a
Grape seed oil C 188.85±1.98b A 205.58±7.45b A 354.02±22.15a A 372.92±37.13a A 377.94±20.01a A 343.70±14.57a
Resilience Soybean oil NS 0.15±0.02a NS 0.14±.0.02a NS 0.12±0.02b NS 0.12±0.01b NS 0.12±0.01b NS 0.12±0.01b
Corn oil 0.15±0.01a 0.13±0.01b 0.12±0.01b 0.13±0.01b 0.12±0.01b 0.12±0.01b
Canola oil 0.16±0.01a 0.15±0.02a 0.12±0.01b 0.13±0.01b 0.12±0.01b 0.12±0.01b
Rice bran oil 0.15±0.02a 0.13±0.01ab 0.11±0.01c 0.13±0.01bc 0.12±0.02bc 0.12±0.01bc
Grape seed oil 0.16±0.01a 0.13±0.01b 0.11±0.01d 0.12±0.01cd 0.13±0.01bcd 0.13±0.01bc

Mean±SD

: Not Significant

Superscriptive letters in a row indicate significance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Superscriptive letters in a column indicate significance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ownload Excel Table

부착성(adhesivenss)은 튀긴 직후에는 대두유로 튀긴 약 과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미강유를 사용한 약과가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부착성 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응집성(cohesiveness)은 약과를 튀겨 만든 직후에는 0.48-0.52로 튀김유 종류에 상관없이 모든 시료가 비슷한 값(p<0.05)을 보였으며, 저장 기간에 따라 뚜렷한 경향이 없이 증감을 반복하였다. Lee et al. (1992)의 보고에 의하면 약과의 경우 저장 기간이 길어질 수록 응집성이 감소하거나 변화가 없다고 하였으며, Park (1997)은 유의차는 없지만 증감을 반복하는 경향을 나타내 며 응집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집청이라고 하였 다. 본 연구에서 제조한 약과는 모든 재료를 동일하게 하 고 튀김유만을 다르게 한 것으로 집청이 모두 같아 응집성 에 있어서 큰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씹힘성(chewiness)은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전체적으 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튀김 종류에 카놀라유로 튀겨 제조한 약과의 경우 다른 약과에 비해 씹힘성이 유의적으 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복원성(resilience)은 전체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으며, 시료간의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는데 Park (1997), Lee et al. (1992), Lee & Kim (2017)도 씹힘성이나 복원성이 저 장기간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고 보고하여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생균수

튀김유를 달리하여 제조한 약과를 5주동안 저장하면서 일반세균, 효모 및 곰팡이의 변화를 Fig. 2에 나타내었다. 대장균도 함께 측정하였으나 모든 시료군에서 저장기간동 안 검출되지 않아 생략하였다. 약과를 만든 직후 약과의 총균수는 1.6-3.07×102 CFU/g의 수준을 보였으며, 효모 및 곰팡이는 101 CFU/g 정도의 수준을 나타내었다. 저장 기간 동안 총균수는 평균적으로 크게 증가하지않고 비슷한 수준 을 보였으며, 5주 저장 후 약 1.83-3.40×102 CFU/g정도를 보여 큰 변화가 없고 튀김유에 따른 유의적 차이도 나타나 지 않았다. 이는 식품공전의 약과가 해당하는 과자류의 세 균 수 규정의 최소 값인 104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저 장 5주동안 기준 이하로 저장이 가능하다는 것을 뜻한다 (Korean Food Standard Codex, 2017). 효모 및 곰팡이는 저장기간 동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5주 후에는 포 도씨유 튀긴 약과는 4.2×103 CFU/g로 가장 낮았으며, 옥수 수유로 튀긴 약과가 1.89×105 CFU/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일반 세균에 비해 효모 및 곰팡이는 다소 높은 증 식속도를 보였는데 이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탈산소제와 같 은 것을 동봉함으로써 생육을 억제 할 수 있을 것으로 생 각된다(Kang et al., 2013).

fep-22-2-153-g2
Fig. 2. Total cell count (A) and yeast & mold (B) of yakgwa with different deep frying oil during storage periods. SO: soybean oil, CO: corn oil, CA: carnola oil, RI: rice bran oil, GR: grape seed oil.
Download Original Figure

요 약

튀김 기름을 달리하여 제조한 약과를 5주동안 저장하면 서 색도, 수분함량, 산가, 물성, 그리고 생균수 등의 품질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저장기간동안 명도값은 모든 시료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적색도는 큰 차이를 보 이지 않았고, 황색도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 5주 후 전체적인 색도차는 미강유가 가장 적었다. 수 분함량은 저장기간동안 포도씨유를 제외한 시료에서 차이 를 보이지 않았으며, 포도씨유로 튀긴 약과는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산가는 튀김유의 종류와 상관없 이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미강유와 포도씨유로 튀긴 약과가 낮은 산가를 나타내었다. 저장기간에 따라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시료간 에 차이는 없었다. 부착성과 복원성은 감소, 씹힘성은 증가 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응집성은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 았다. 일반세균의 수는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서 크게 증 가하지 않았으며 시료간의 차이를 보이지도 않았다. 효모 및 곰팡이는 일반세균에 비해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농림축산식품기술개발사업(수출전략기술개발 사업, 과제번호 115071-2)의 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 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Cho SH, Lee HG. The bibliographical study on development of yackwa.. Korean J. Soc. Food Cult. 1987; 2:33-43.

2.

Cho EJ, Yang MO, Kang HJ. Physicochemical charcteristics of yackwa with added rice wine cak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07; 17:94-102.

3.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orean Food Standards Codex. https://www.foodsafetykorea.go.kr/portal/safefoodlife/food/foodRvlv/foodRvlv.do 2017

4.

Han MJ, Rhee YK, Bae EA. Stability and flavor of yackwa fried in soybean, cottonseed and rice bran oil.. Korean J. Soc. Food Cult. 1994; 9:335-340.

5.

Hwang HJ.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yackwa added with yam powder. MS thesis. Yeongnam Unviersity, Gyeongsan, Korea. .

6.

Hwang JT, Jang HC, Kim TS, Park WI. Lipid component and properties of grape seed oil. Korean.. J. Food Nutr. 1999; 12:150-155.

7.

Jang SH, Lee JS, Choi WS. Oxidative stability of grape seed oil by addition of grape seed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5; 44:1813-1818.

8.

Jang ST, Park MI, Lee SY.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ked yackwa with different types and amounts of oi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3; 28:525-532.

9.

Jung GJ, Park YM, Jang SY, Cho EH, Lee JM. Traditional Rice and Cake of Korea. Kyomoonsa, Paju, Korea. 2014; p. 37-41

10.

Kang HC, Lee SH, Kim JB. Quantific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rape seed lipid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2001; 44:173-178.

11.

Kang OJ, Kim YM, Kim JM, Jo JH. Food Microbiology. Seoul, Korea: Soohaksa. 2013; p. 169-170.

12.

Kim CS, Yun MH. Effect of microwave preheating and hydrogenated frying fats on the storage stability of yackwa.. Culi. Sci.& Hos. Res. 1999; 15:264-271.

13.

Kim HG, Kang DS. Use of rice bran oil in food.. B. Food Technol. 1999; 12:84-87.

14.

Kim JY, Shin DE, Jang KH, Kang WW.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gwa added with vegetable powder.. Culi. Sci. & Hos. Res. 2011; 17:218-225.

15.

Kim SW, Kim MA. Characteristic and stability of lipids in yackwa at various shortening ratios.. Korean J. Soc. Food Cult. 2009; 24:344-349.

16.

Lee GM. 2018 Quality properties of yakgwa depending on varieties of deep frying oil. MS thesis, Jeonju University, Jeonju, Korea. .

17.

Lee GM, Kim JW, Shin JK. Quality properties of yakgwa with different types frying oil.. Food Eng. Prog. 2017; 21:375-382.

18.

Lee HS, Park MW, Jang MS. Effect of waxy rice flour on the quality and acceptability of yackwa during stroage.. Korean J. Soc. Food Cult. 1992; 7:213-222.

19.

Lee JH, Kim JS.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ckwa made with yam (Dioscorea batatas Decne) powder.. Culi. Sci. & Hos. Res. 2014; 20:56-68.

20.

Lee JH, Park KM. Effect of ginger and soaking on the lipid oxidation in yackwa.. Korean J. Food Cookery Sci. 1995; 11:93-97.

21.

Lee KS, Kim GH, Kim HH, Seong BJ, Kim SI, Han SH, Lee SS, Lee GH.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ying ginseng and oil derived from deep-frying ginse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3; 42:941-947.

22.

Lee SY, Kim YN. Food Rheology. Seoul, Korea: Soohaksa. 2017; p. 149-156.

23.

Min BA, Lee JH, Lee SR. Effects of frying oils and storage conditions on the rancidity of yackwa.. Korean J. Food Sci. Technol. 1985; 17:114-120.

24.

Park KM, Lee JH, Yum CA. Studies on the experimental cookery and the preservation of the traditional Korean fried cookie, yackwa.. Korean J. Soc. Food Sci. 1992; 8:297-307.

25.

Park KM. Studies on the lipid rancidity and rheology of yackwa during storage.. Korean J. Soc. Food Sci. 1997; 13:609-616.

26.

Song JC, Park HJ. Physical, Functional, Textur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Foods. Ulsan, Korea: Ulsan University Press. 2005; p. 80-84.

27.

Woo MJ, Seo JW, Byun SY. Extraction of resveratrol containing grape seed oil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Korean J. Biotechnol. Bioeng. 2005; 20:383-386.

28.

Yoon JH.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ckwa prepared by different amounts of egg whit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02; 18:81-86.

29.

Yum CA. The study of oil oxidation in storage of yackwa.. Korean J. Nutr. 1972; 5:69-74.

30.

Yun GY, Kim MA. The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yackwa quality and preservation.. Korean J. Soc. Food Cult. 2005; 20:103-112.

31.

Yun SJ, Jang MS. Sensory and instrumental characteristics of yackwa prepared by different amounts of egg yolk.. Korean J.Soc. Food Sci. 2001; 17: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