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od Engineering Progress
Korean Society for Food Engineering
Article

Cronobacter sakazakii의 생육 억제와 바이오필름 저감화를 위한 박테리오파지 적용

이영덕*
Young-Duck Lee*
서원대학교 식품공학과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Engineering, Seowo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Young-Duck Lee,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Engineering, Seowon University, 377-3 Musimseoro, Seowon-gu, Cheongju, Chungbuk, 28674, Korea +82-43-299-8472; +82-43-299-8470ydlee@seowon.ac.kr

© Korean Society for Food 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Jan 21, 2016; Revised: Jan 30, 2016; Accepted: Feb 4, 2016

Abstract

Cronobactersakazakii is a newly emerging high hazard pathogen, which causes encephalomeningitis and necrotic colitis. Recently, successful biocontrol of harmful microorganisms in several foods through the use of bacteriophages has been reported. In this study, bacteriophages were isolated from kimchi and sewages. Morphological analysis by TEM indicated that phages belonged to the Myoviridae family. In case of heat stability, KCES2 and ESP 2949-2 phages were susceptible to temperatures above 70°C. KCES2 and ESP 2949-2 phages inhibited the growth of C. sakazakii in culture broth. When KCES2 and ESP 2949-2 phages were applied to biofilm-formed C. sakazakii, C. sakazakii was efficiently reduced. Therefore, newly isolated KCES2 and ESP 2949-2 phage for C. sakazakii might effectively reduce C. sakazakii in various foods.

Keywords: C. sakazakii; bacteriophage; growth inhibition; biofilm reduction

서 론

Cronobacter sakazakii는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세균으 로 Enterobacteriacae과의 간균으로 그람 음성, 통성혐기성, 그리고 포자를 형성하지 않는 특성을 갖고 있다(Farber et al., 2008). C. sakazakii는 과거에는 Enterobacter sakazakii 로 명명되다가 Iversen et al. (2006)에 의해 Cronobacrter spp.로 새롭게 분류되었다(Iversen et al., 2006). Enterobacter spp. 중 E. cloacae, E. agglonerans와 더불어 Cronobacter spp.는 대표적인 병원성 세균으로 알려져 있으며(Urmenyi et al., 1961), 최근 들어 분유 등 영유아식에 오염되어 영 유아에게 치명적인 질환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제어가 필요 한 병원성 세균으로 주목 받고 있다(Gurtler et al., 2005).

영유아의 급식용으로 사용되는 조제분유와 이유식은 비 살균 공정으로 생산되는 식품이므로 C. sakazakii에 의해 오염되기 쉽고 실제 한국의 영 유아 식품에서의 오염도가 약 20%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Jung & Park, 2006). Muytjens et al. (1988)은 가장 높은 오염원으로 알려진 건 조 유제품을 35개국에서 141개의 조제분유를 수집하여 분 석한 결과 14.2%의 오염율을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Muytjens et al., 1988). 이처럼 C. sakazakii는 조제분유 혹 은 유아식에서 주로 검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외 에도 C. sakazakii는 토양, 쥐, 파리, 우유분말공장, 초콜릿 공장과 집 등 주변 환경에서 자주 검출되는 미생물로 보고 되었으며 식품공장을 포함한 다양한 인공 환경에서 분리되 었다. 식품 중에는 쌀과 빵을 포함하는 곡류식품, 발효 음 료, 양배추와 같은 채소류가 있고 자연환경으로는 옥수수, 오이, 레몬 등의 식물 뿌리와 물 토양 등에서 확인되었다 (Mahaff & Kloepper, 1997; Cottyn et al., 2001; Soriano et al., 2001). 또한 그 외에도 치즈, 육류, 허브, 향신료를 포 함한 식품에 널리 분포되어있다(Adamson et al., 1981; Farber et al., 2008).

C. sakazakii의 위험성이 높아짐에 따라 C. sakazakii의 영유아식품에서의 제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C. sakazakii 는 낮은 Aw에서는 높은 수분활성도에 비해 더 오래 생존 한 것으로 나타냈는데 습도가 낮을수록 C. sakazakii의 생 존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Breeuwer et al., 2003). 또한, C. sakazakii의 기능적으로 다른 유전자 중 건조 stress에 관여하는 유전가 발현되기 때문이라고 보고되었다 (Gurtler et al., 2005). 그리고, Barron과 Forsythe는 C. sakazakii는 30개월간 건조 조제분유에서 실험한 결과 다 른 장내 세균들 보다 건조내성이 크다고 보고하였다(Barron et al., 2007). 또한 Edelson-Mammel et al. (2005)은 조제 분유의 높은 영양성분으로 인해 700일 이상 bacterial cell의 생존이 가능하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Gurtler & Beuchat, (2007)C. sakazakii가 건조 시에 Aw가 감소할수록 생존 률이 높다고 보고하였다(Gurtler & Beuohat 2007). 이렇게 C. sakazakii가 분말형 건조식품이나 환경 등에 오염이 높 게 보고되는 것은 C. sakazakii가 다른 미생물 혹은 다른 Enterobacteriacae 종에 비하여 삼투압과 건조 스트레스에 높은 저항성을 가지기 때문이다(Lehner & Stephan, 2004). 또 다른 원인으로는 C. sakazakii의 biofilm 형성능력을 들 수 있는데 biofilm은 물리적 장벽을 형성함으로써 UV light, 삼투압 스트레스, 열처리, 영양고갈, 산, 세정액, 항생 제 등의 환경스트레스에 대하여 저항성을 높여준다 (O'Toole et al., 2000). Lehner et al. (2005)은 56종의 C. sakazakii 중 23종의 균주가 유리표면에서, 33개 균주가 air-solid 표면에서, 16종의 균주가 두 가지 표면에서 모두 biofilm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C. sakazakii와 biofilm 제어를 위해 열처리 등의 물리적 방법이나 화학적 살균소독제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그 효과가 식품에서는 크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 울러 소비자는 가능하면 최소의 열처리 등의 가공을 원하 므로 새로운 천연 식품보존 및 살균제의 개발이 요구 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천연항균제, 박테리오파지, endolysin 등 이 새롭게 제안되고 있다(Clark et al., 2006). 그 중 박테 리오파지는 세균만을 감염시키는 선택성을 가지고 있고 식 품 및 자연 환경 속에 아주 많이 분포하고 있으므로 잘 활 용하면 훌륭한 식중독 세균 천연제 어 방법이 될 수 있으 리라 사료된다(Brussow et al., 2005). 최근에는 미국 FDA 에서 닭고기 등의 즉석섭취 식품에 Listeria monocytogenes 파지의 실용화가 승인(www.ebifoodsafety.com) 되었고, E. coliSalmonella enterica 제어 파지 제품이 승인되어 활 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 sakazakii의 제어를 위한 박테 리오파지를 김치와 오수 시료로부터 분리하여 특성을 분석 하고 C. sakazakii의 생육 억제 및 biofilm 저감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사용 균주 및 시료

시료는 다양한 미생물들이 존재하고 있는 김치와 오수를 선택하였다. 경기도 재래 시장에서 시판 중인 김치와 성남 시 하수처리장으로부터 오수를 채취한 후 실험실에서 -80℃ 에 보관 후 박테리오파지의 분리에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 용된 균주는 C. sakazakii ATCC29544와 기 분리된 100주 의 야생형 C. sakazakii를 사용하였으며(Lee et al., 2010; Lee et al., 2012), DFI agar (Oxoid, Hampshire, UK)에 각 각 평판 획선하고 37℃에서 배양한 후 단일 집락을 Luria Bertani broth (Difco Laboratory, Detroit, MI, USA)에 접 종하고 37℃에서 200 rpm으로 교반하면서 배양하였다. 배 양된 균주를 10 mM CaCl2 (Sigma Aldrich, St. Louis, MO, USA)가 첨가된 LB broth (LBC)에 접종한 후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하고 실험에 사용하였다.

박테리오파지 분리

시료를 취해 균질화한 후 LBC broth에서 전 배양된 C. sakazakii을 약 7-8 log CFU/mL 수준의 배양액을 균질화한 시료에 첨가한 후 24시간 동안 2,000 rpm으로 37℃에서 교반하며 배양하였다. 그리고 10,000 g에서 10분 동안 원심 분리한 후 상등액을 취해 0.22 μm syringe filter (Millipore, Billerica, MA, USA)를 사용하여 제균한 후 제균액을 double overlay agar법을 통한 plaque 분석을 수행하고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생성된 plaque의 크기, opaque 정도 등의 형태학적인 특성에 따라 단일 plaque를 취해 다시 plaque 분석을 하여 순수 분리하였다. 순수 분 리된 박테리오파지의 증식과 농축은 Sambrook et al. (2001)에 의한 방법에 준하여 수행하였다.

숙주저해특성

순수 분리된 박테리오파지를 대상으로 하여 Escherichia coli, E. coli O157:H7, S. enterica Typhimurium 등의 식중 독 세균과 C. sakazakii ATCC29533 및 다양한 식품으로부 터 분리, 100주의 야생형 C. sakazakii에 대해 숙주저해범 위를 spot assay를 수행하여 확인하였다. 다양한 식중독 세 균들은 Tryptic Soy Broth(Oxoid, Hampshire, UK)에서 3 회 이상 계대 배양한 후 LBC broth에 접종한 후 0.1 mL 을 취해 LBC soft agar에 분주하고 LBC agar 위에 중층 하였다. 그리고 분리된 파지 용액 10 μL를 분주한 후 37℃ 에서 24시간 배양하고 plaque 형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형태학적 특성 및 안정성

분리된 C. sakazakii 박테리오파지의 형태학적 특성을 분 석하기 위해 투과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검경하였다. PEG 8000 (Sigma Aldrich, St. Louis, MO, USA)을 이용해 약 10-11 log PFU/mL 수준으로 농축된 파지를 2% uranyl acetate (Sigma Aldrich)를 이용하여 negative stain을 수행 한 후 80 kV 하에서 투과 전자 현미경(Jeol JEM-100S, Japan Electronics and Optics Laboratory, Tokyo, Japan)을 통해 형태 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분리된 박테리 오파지를 70℃에 노출시키고 처리 시간에 따라 희석하여 plaque assay를 수행한 후 형성된 plaque를 개수하여 열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였으며, 실험은 3회 반복하여 평균으 로 나타내었다.

C. sakazakii의 박테리오파지에 의한 생육 억제

분리된 박테리오파지를 사용하여 C. sakazakii를 LB broth에서 대수 증식기까지 배양하고, 배양액을 50 mL의 LBC broth에 접종하고 LBC broth에서 다시 대수 증식기 까지 배양하였다. 배양 후 50 mL의 LBC broth에 각각 접 종하고 MOI (multiplicity of infection)가 약 0.1 수준으로 박테리오파지 혼합액을 접종한 후 시간에 따라 생육 정도 를 흡광도 측정하였다. 또한, 박테리오파지를 MOI 약 0.1 수준으로 동일하게 C. sakazakii 배양액에 각각 첨가한 후 시간에 따른 생균수를 10진 희석법에 따라 DFI agar에 각각 도말한 후 24시간 이후에 계수하여 생육 억제 효과 를 확인하였고, 실험은 3회 반복 실험 후 평균으로 나타 내었다.

박테리오파지에 의한 biofilm 형성 C. sakazakii 제어

기 분리된 24주의 C. sakazakii의 biofilm 형성을 위해 12-well plastic plate assay를 수행하였다. Tryptic Soy Broth에 C. sakazakii를 접종하여 37℃에서 하루 동안 배양 된 배양액을 12-well tissue culture plate의 각 well에 2 mL씩 배양액을 접종한 후 37℃, 48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각 조건에서 배양된 plate의 부유세균과 배양액을 aspirator 를 이용하여 제거한 후 2.5 mL 식염수로 3회 수세한 후, 형성된 biofilm에 분리된 박테리오파지를 처리한 후 시간 에 따른 biofilm의 저감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식 염수로 수세한 후 2 mL의 99% methanol (Sigma Aldrich) 을 각 well에 분주하고 15분 동안 방치하여 biofilm을 표 면에 부착시켰다. Methanol 제거 후 완전히 건조시키고 각 well마다 2 mL의 1% crystal violet (Hucker, sigma, USA) solution 분주 후 5분 동안 방치하였다. Crystal violet solution을 제거하고 건조 후 2.5 mL D.W로 1회 washing 하고 33%(v/v) glacial acetic acid (Sigma Aldrich)를 1.6 mL씩 분주하여 착색된 crystal violet을 용출시켜 660 nm 에서 흡광도의 감소 정도를 측정하여 박테리오파지에 의한 biofilm 저감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실험은 3회 반복 실험 후 평균으로 나타내었다.

결과 및 고찰

박테리오파지의 분리와 숙주 저해 특성

최근 다양한 연구자들이 C. sakazakii의 생물학적 제어제 로써 박테리오파지를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 다(Kim et al., 2007; Lee et al., 2011; Abbasifar et al., 2014). 하지만, 현재까지 다른 식중독 세균들에 비해 박테 리오파지를 활용해 C. sakazakii의 제어에 응용은 시작 단 계에 있으므로, C. sakazakii의 제어를 위해 박테리오파지 를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 으로 사료된다. 김치와 오수로부터 C. sakazakii에 대한 박 테리오파지를 plaque assay를 수행하여 형성된 plaque 중 크기가 크고 선명한 박테리오파지를 선별하여 KCES2 파 지와 ESP 2949-2 파지를 각각 분리하였다. 분리된 C. sakazakii의 KCES2 파지와 ESP 2949-2 파지에 대해 숙주 저해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E. coli, E. coli O157:H7, E. cloacae, S. enterica Typhimurium, S. enterica Enteritidis와 기 분리된 100주의 C. sakazakii의 숙주 감염 범위를 확인 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KCES2 파지와 ESP 2949-2 파 지는 C. sakazakii를 제외한 다른 세균에 대해서는 감염시 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야생형에 C. sakazakii 에 대해서는 각각 26.3%와 19.3%의 숙주 저해 특성을 확 인하였다.

Table 1. Host spectrum of KCES2 and ESP2949-2 phage
KCES2 phage ESP2949-2 phage
C. sakazakii ATCC29544
E. cloacae ATCC13047 × ×
S. enterica Typhimurium ATCC14028 × ×
S. enterica Enteritidis ATCC13076 × ×
E. coli ATCC25922 × ×
E. coli O157:H7 NCTC12079 × ×
Infection rate
C. sakazakii isolates 26.3% 19.3%

: Infection,

: Infection,

Download Excel Table
박테리오파지의 형태학적 특성 및 안정성

분리된 KCES2 파지와 ESP 2949-2 파지의 형태학적 특성을 투과 전자 현미경을 통해 확인한 결과 ES2는 Myoviriadae family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1). 세 균을 숙주로하는 바이러스에 일종인 박테리오파지는 형태 학적인 특성에 따라 대부분 Siphoviridae, Myoviridae, Podoviridae family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 특히, Myoviridae family에 속하는 박테리오파지 는 수축성 tail을 갖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특성을 보유하 고 있다(Ackermann, 2007). 최근까지 알려진 C. sakazakii 의 박테리오파지의 경우 다수가 Myoviridae family에 속하 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KCES2 파지와 ESP 2949-2 파지에 대해 70℃에서의 열안정성에 대해 확인한 결과는 Fig. 2와 같다. KCES2 파지는 70℃에 노출했을 때 약 10분 후에 모두 사멸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ESP 2949- 2 파지의 경우는 약 2 log PFU/mL로 감소 후 30분 후 모 두 사멸하였다. Lee & Park (2011)이 보고한 C. sakazakii 파지의 경우도 30분 후 대부분이 사멸되는 것으로 확인되 었다. 기존에 보고된 일부 박테리오파지의 열안정성의 경 우는 70℃에서 30분 동안 처리했을 때 약 2~8 log PFU/ mL 수준으로 감소되거나 모두 사멸되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Buzrul et al., 2007; Li et al., 2010; Coffey et al., 2011; Lee et al., 2015), 일부 박테리오파지의 경우 90℃ 이상의 고온에서도 안정한 것으로 보고되었다(Guglielmotti et al., 2011).

fep-20-1-28-g1
Fig. 1. Morphology of bacteriophage (A) KCES2 and (B) ESP 2949-2 under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Download Original Figure
fep-20-1-28-g2
Fig. 2. Heat stability of KCES2 and ESP 2949-2 phage under 70℃. ■: KCES2 phage, ▲: ESP 2949-2 phage.
Download Original Figure
C. sakazakii의 박테리오파지에 의한 생육 억제

분리된 KCES2 파지와 ESP 2949-2 파지를 MOI가 0.1 수준으로 접종하여 C. sakazakii 에 대한 생육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LBC broth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확인하 였다(data not shown). 그 결과 박테리오파지를 접종하지 않았을 경우는 C. sakazakii는 흡광도 값이 약 1.0 수준까 지 증가하였으나, KCES2 파지와 ESP 2949-2 파지를 각각 접종하였을 경우는 흡광도 값이 약 0.1 수준으로 나타나 생육이 억제 혹은 사멸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리된 박테리오파지들을 MOI가 약 0.1이 되도록 하여 LBC broth에 접종하고 생육 정도를 DFI agar에 도말하여 확인 한 결과는 Fig. 3과 같다. KCES2 파지와 ESP 2949-2 파 지를 접종하지 않은 경우 초기 약 3 log CFU/mL에서 8시 간 이후에는 약 8 log CFU/mL 수준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박테리오파지를 접종하였을 때 KCES2 파지는 약 5시간 이후에 C. sakazakii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ESP 2949-2 파지는 약 8시간 이후에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KCES2 파지와 ESP 2949-2 파지의 C. sakazakii의 생육 억제 특성이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Kim et al. (2007)은 오수 시료로부터 분리한 C. sakazakii의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하여 분유에서 C. sakazakii의 저감화를 확인하였으며, Lee & Park (2011)은 돼지분변으로부터 분리된 박테리오파지를 야채 주스와 분 유에 적용하여 C. sakazakii의 제어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 라서, 본 연구에서 분리된 KCES2 파지와 ESP 2949-2 파 지를 활용하여 식품에 오염된 C. sakazakii의 제어를 위한 생물학적 제어제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fep-20-1-28-g3
Fig. 3. Viability of C. sakazakii ATCC29544 with bacteriophages. ■, ◆: C. sakazakii, ▲: C. sakazakii with KCES2 phage, ●: C. sakazakii with ESP 2949-2 phage.
Download Original Figure
박테리오파지에 의한 Biofilm 형성 C. sakazakii 제어

본 연구에서 분리한 KCES2 파지와 ESP 2949-2 파지를 기 분리된 biofilm 형성 C. sakazakii들의 제어 효과를 확 인하기 위해 microtiter plate assay법을 수행하였다(Fig. 4). Biofilm 형성능을 확인한 결과 기 분리된 24주의 C. sakazakii의 biofilm 생성능은 분리 균주 마다 상이한 것으 로 나타났으면, 이는 분리 균주의 생리특성 및 biofilm 형 성 조건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Biofilm 형 성 C. sakazakii에 KCES2 파지와 ESP 2949-2 파지를 각 각 처리하여 제어 효과를 확인한 결과 각각의 박테리오파 지를 접종한 후 6시간과 12시간 이후에 흡광도 값이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iofilm의 제어를 위해 물리적 방법과 화학적 방법 등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음에도 불 구하고 제어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Biofilm은 미 생물이 생물학적 또는 비생물학적 표면에 부착하여 자라면 서 형성한 3차원적 구조를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미생물과 미생물이 분비한 extrcellular polymeric substance (EPS), 외부에서 부착된 물질들을 통칭한다(O'Toole et al., 2000). Biofilm을 형성한 미생물은 EPS를 분비하여 미생물을 보호 하게 되고, 그 결과 열, 낮은 pH, 낮은 수분활성도, 산화제 등의 환경스트레스 요인에 대하여 현저하게 증가된 저항성 을 갖게 된다. 이러한 biofilm은 해양생태계, 산업 환경, 인 체 등 미생물이 존재하는 지구상에 대부분에 만들어지면서, 미생물의 생육, 외부 환경에 대한 방어, 병원성 등의 기능 을 하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식품은 미생물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biofilm을 형성한 상태로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최근 연구자들이 식품, 의료 기구 등에서 biofilm 형성 E. coli O157:H7,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 Pseudomonas aeruginosa 등 의 제어를 위해 박테리오파지를 적용하여 효과를 확인하였 다. Jassim et al. (2012)은 박테리오파지 처리를 통해 biofilm 형성 E. coli를 약 3 log 이하로 감소하는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Lee & Park (2015)Sharma et al. (2005) 은 stainless coupon에서 biofilm 형성 E. coli O157:H7을 박테리오파지 처리를 통해 제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 하였다. 또한, Carson et al. (2010)Liao et al. (2012)은 카테터에 박테리오파지를 처리하여 biofilm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분리된 KCES2 파지와 ESP 2949-2 파지를 이용해 biofilm 형성 Cronobacter spp.의 제어하는 데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ep-20-1-28-g4
Fig. 4. Reduction of biofilm-formed C. sakazakii isolates by (A, B) KCES2 phage and (C, D) ESP2949-2 phage.
Download Original Figure

요 약

본 연구에서 김치와 오수로부터 KCES2 파지와 ESP 2949-2 파지를 각각 분리하였으며, 숙주 저해 범위는 기 분리된 C. sakazakii에 대해 KCES2 파지는 약 26.3%와 ESP 2949-2 파지는 19.3%로 확인되었다. 또한, 형태학적 특성을 확인한 결과 모두 Myoviridae family에 속하는 것 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박테리오파지에 대해 열안정성 은 70℃에서 30분 처리시에 모두 사멸되었다. 그리고, 분 리된 KCES2 파지와 ESP 2949-2 파지를 접종한 결과 C. sakazakii의 생육 억제 효과가 있었다. 또한, biofilm 형성 C. sakazakii에 박테리오파지를 각각 처리했을 때 6시 간, 12시간 이후에 모두 저감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 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분리된 KCES2 파지와 ESP 2949-2 파지를 C. sakazakii와 biofilm 형성 C. sakazakii의 생물학적 제어제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Abbasifar R, Kropinski AM, Sabour PM, Chambers JR, MacKinnon J, Malig T, Griffiths MW. Efficiency of bacteriophage therapy against Cronobacter sakazakii in Galleria mellonella (greater wax moth) larvae. Arch. Virol. 2014; 159 p. 2253-2261.

2.

Ackermann HW. Bacteriophage observations and evolution. Res. Microbiol. 2003; 154 p. 245-251.

3.

Adamson DH, Rogers JR. Enterobacter sakazakii meningitis with sepese. Clin. Microbiol. Newsl. 1981; 3 p. 19-20.

4.

Barron JC, Forsythe SJ. Dry stress and survival time of Enterobacter sakakzakii and other Enterobacteriaceae in dehydrated powdered infant formula. J. Food Prot. 2007; 70 p. 2111-2117.

5.

Breeuwer P, Lardeau A, Peterz M, Joosten HM. Desication and heat rolerande of Enterobacter sakazakii. J. Appl. Microbiol. 2003; 95 p. 967-973.

6.

Clark JR, March JB. Bacteriophages and biotechnology. Trends Biotechnol. 2006; 24 p. 212-218.

7.

Brussow A, Kutter E. Phage Ecology. 2005CRC PressBoca Raton, FL, USA.

8.

Buzrul S, Öztürk P, Alpas H, Akcelik M. Thermal and chemical inactivation of lactococcal bacteriophages. LWT-Food Sci. Technol. 2007; 40 p. 1671-1677.

9.

Carson L, Gorman SP, Gilmore BF. The use of lytic bacteriophages in the prevention and eradication of biofilms of Proteus mirabilis and Escherichia coli. FEMS Immunol. Med. Microbiol. 2010; 59 p. 447-455.

10.

Coffey B, Rivas L, Duffy G, Coffey A, Ross RP, McAuliffe O. Assessment of Escherichia coli O157:H7-specific bacteriophages e11/2 and e4/1c in model broth and hide environments. Int. J. Food Microbiol. 2011; 147 p. 188-194.

11.

Cottyn B, Regalaco E, Lanoot B, De Clenne M, Mew TW, Swings J. Bacterial population associated with rice seed in the tropical environment. Phytopathol. 2001; 91 p. 282-292.

12.

Edelson-Mammel SG, Porteous MK, Buchanan RL. Survival of Enterobacter sakazakii in dehydrated powdered infant formula. J. Food Prot. 2005; 68 p. 1900-1902.

13.

Farber JM, Forsythe SJ. Enterobacter sakazakii. 2008ASM Press IncWashington, USA.

14.

Guglielmotti DM, Mercanti DJ, Reinheimer JA, Quiberoni Adel L. Efficiency of physical and chemical treatments on the inactivation of dairy bacteriophages. Front. Microbiol. 2011; 2-282.

15.

Gurtler JB, Kornacki JL, Beuchat LR. Enterobacter sakazakii: A colifrom of increased concern to infant health. Int. J. Food Microbiol. 2005; 104 p. 1-34.

16.

Gurtler JB, Beuchat LR. Survival of Enterobacter sakazakii in powdered infant formula as affected by composition, water activity, and temperature. J. Food Prot. 2007; 70 p. 1579-1586.

17.

Iversen C, Mullane N, McCardell B, Tall BD, Lehner A, Fanning S, Stephan R, Joosten H. Cronobacter gen. nov., a new genus to accommodate the biogroups of Enterobacter sakazakii, and proposal of Cronobacter sakazakii gen. nov. comb. nov., C. malonaticus sp. nov., C. turicensis sp. nov., C. muytjensii sp. nov., C. dublinensis sp. nov., Cronobacter genomospecies 1, and of three subspecies, C. dublinensis sp. nov. subsp. dublinensis subsp. nov., C. dublinensis sp. nov. subsp. lausannensis subsp. nov., and C. dublinensis sp. nov. subsp. lactaridi subsp. nov. Int. J. Syst. Evol. Microbiol. 2008; 58 p. 1442-1447.

18.

Jassim SA, Abdulamir AS, Abu Bakar F. Novel phagebased bio-rocessing of pathogenic Escherichia coli and its biofilms.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2012; 28 p. 47-60.

19.

Jung MK, Park JH. Prevalence and thermal stability of Enterobacter sakazakii from unprocessed ready-to-eat agricultural products and powdered infant formulas. Food Sci. Biotechnol. 2006; 15 p. 152-157.

20.

Lee YD, Ryu TW, Chang HI, Park JH.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Cronobacter spp. isolated from powdered food in Korea. J. Microbiol. Biotechnol. 2010; 20 p. 757-762.

21.

Lee YD, Park JH. Virulent bacteriophage for growth inhibition of Cronobacter sakazakii and Salmonella enterica typhimurium.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1; 43 p. 176-181.

22.

Lee YD, Park JH, Chang HI. Detection, antibiotic susceptibility and biofilm formation of Cronobacter spp. from various foods in Korea. Food Control. 2012; 24 p. 225-230.

23.

Lee YD, Park JH.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 of phages isolated from sewage for reduc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in biofilm. LWT-Food Sci. Technol. 2015; 60 p. 571-577.

24.

Lehner A, Stephan R. Microbiological, epidemiological, and food safety aspects of Enterobacter sakazakii. J. Food Prot. 2004; 67 p. 2850-2857.

25.

Lehner A, Riedel K, Eberl L, Breeuwer P, Diep B, Stephan R. Biofilm formatio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production, and cell-to-cell signaling in various Enterobacter sakazakii strains: aspect promoting environmental persistnace. J. Food Prot. 2005; 68 p. 2287-2294.

26.

Li S, Liu L, Zhu J, Zou L, Li M, Cong Y, Rao X, Hu X, Zhou Y, Chen Z, Hu F. Characterization and genome sequencing of a novel coliphage isolated from engineered Escherichia coli. Intervirol. 2010; 53 p. 211-220.

27.

Liao KS, Lehman SM, Tweardy DJ, Donlan RM, Trautner BW. Bacteriophages are synergistic with bacterial interference for the prevention of Pseudomonas aeruginosa biofilm formation on urinary catheters. J. Appl. Microbiol. 2012; 113 p. 1530-1539.

28.

Mahaff WF, Kloepper JW. Temporal changes in the bacterial communities of soil, rhizosphere, and dndorhiza associated with field-grown cucumber (Cucumis sativus L.) Microbiol. Ecol. 1997; 34 p. 210-223.

29.

Muytjens HL, Roelofs-Willemse H, Jaspar GH. Quality of powdered subtitutes for breast milk with regard to members of the family Enterobacteriaceae. J Clin. Microbiol. 1988; 26 p. 743-746.

30.

O’Toole GA, Kaplan HB, Kolter R. Biofilm formation as microbial development. Annu. Rev. Microbiol. 2000; 54 p. 49-79.

31.

Sambrook J, Russell DW.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20013rd ed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Cold Spring HarborNew York, NY, USA.

32.

Sharma M, Ryu JH, Beuchat LR.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in biofilm on stainless steel by treatment with an alkaline cleaner and a bacteriophage. J. Appl. Microbiol. 2005; 99 p. 449-459.

33.

Soriano JM, Rico H, Molto JC, Manes J. Incidence of microbial flora in lettus meat and Spanish potato omelette from restaurant. Food Microbiol. 2001; 18 p. 159-163.

34.

Urmenyi AMC, Franklin AW. Neonatal death from pigmented coliform infection. Lancet. 1961; 1 p. 313-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