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점차 서구화되고 다양해지는 식생활의 변화에 따라 고품 질 즉석식품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소비문화의 변화와 더불어 한식의 세계화를 위한 상품개발과 다양한 야채류와 육류와 같은 부재료들의 저장 및 유통 방안의 개 선에 대한 방안도 모색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부재료들의 상품개발은 국내 농산품들의 수출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 이라 전망된다(Lee et al., 2003). 한식에는 당근, 양파, 버 섯 시금치 등의 다양한 채소류들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 중 당근은 황색을 띄는 근채류로 설탕과 포도당의 높은 함 량으로 인해 감미가 좋다. 또한 비타민 A 및 C와 기타 영 양성분들의 함량이 높아 항산화 효과와 항암작용 등에 효 과적이라고 알려져 꾸준한 수요가 이루어 지고 있다(Lim & Jwa, 1996). 하지만 당근을 비롯한 대부분의 채소들은 짧은 유통기간과 가공을 통한 대용량 유통이 어려워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며(Kim & Rhim, 1997), 이러 한 유통기간과 가공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고자 가장 안전한 방법 중 하나로 냉동저장이 이용되고 있다(Jeong et al., 1996). 냉동저장에 있어서도 냉동 속도 및 저장 온도에 따 른 drip 발생 및 세포 구조의 손상 등의 조직연화나 영양 성분의 손실로 인해 상품성을 잃게 되는 문제점이 계속되 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Jeong et al., 2003).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동결과정에서 냉각 속도를 빠르게 하여 작은 빙결정이 생성되게 하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 으며, 이 중 하나의 방법으로 강제송풍식 냉동법이 연구되 고 있다. 이 냉동방법은 저온의 공기를 냉동실에서 강제순 환 시키는 방법으로서 공기의 대류 속도를 조절하여 각각 의 식품에 적합한 냉동 조건을 갖출 수 있다(Ku, 2009). 냉동 조건의 개선뿐만 아니라 최적의 냉해동 조건을 확립 하게 되면 식품의 가공 과정중의 원료 손실이나 상품의 손 실 등을 감소시키며 최적의 상품 또한 얻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Kwon et al., 2006). 본 연구에서는 강제송풍식 냉동고(air blast freezer)를 이용하여 동결 속도 를 다르게 하고 전자레인지의 출력을 다양하게 조절하였다. 이에 따른 냉해동으로 인한 당근의 pH, 색도, 강도, 해동감 량 및 조직관찰 등의 이화학적 특성 및 일반성분, 비타민 C, 유리당 및 유기산과 같은 영양성분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재료 및 방법
본 실험에서 사용한 당근은 대형 유통마트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구입한 당근은 즉시 흐르는 물에 깨끗하게 세 척하여 물기를 없앤 다음, 두께 0.5 mm, 길이 50 mm의 크 기로 세절하여 준비하였다. 세절된 당근(500 g)은 100°C 끓 는 물(2.5 L)에서 1분간 데치기(blanching)한 후, 4°C 찬 물 에서 냉각 및 탈수하여 냉동처리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영 양성분 분석을 위한 시료는 동결건조 후 분쇄하여 -18°C에서 보관하면서 영양성분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Ascorbic acid, fructose, glucose, sucrose, oxal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 표준품은 Sigma-Aldrich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고, 그 밖의 시약은 analytical 및 HPLC 등급을 사용하였다.
냉동기술은 강제송풍냉동기법을 이용하였으며, 급속강제 송풍식냉동고(Air blast freezer, SEOJIN, Korea)는 서진프 리저에서 공급받아 송풍조절장치를 장착하여 특수 제작하 였다. 냉동방식 및 냉동속도는 자연대류식, 저속 및 고속으 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시료 중심부에 온도센서를 장착하 여 당근의 중심부 온도가 -12°C 가 될 때까지 냉동을 진행 하였다. 자연대류식 냉동방식은 냉동고의 송풍조절장치를 OFF 상태로 둔 채 당근을 냉동하였으며, 저속 및 고속에 따른 냉동 방식은 냉동고의 송풍조절장치를 ON 상태를 유 지한 채 송풍세기를 강과 약으로 조절하여 당근를 냉동하였 다. 이 때, 당근의 중심온도가 -12°C 가 될 때까지 의 속도 를 분당 감소되는 온도(°C/min)로 표현하였다. 냉동된 시료 는 250 g씩 일정 용기에 분배한 후 해동이 진행되었다. 해 동은 전자레인지(KR-S340TC, DAEWOO, Korea)를 사용하 였으며 실온 및 200, 400, 800W 출력으로 해동하였다. 해 동 시 시료의 중심부에 광센서(Fiber Optic Temperature Sensor, FISO Technologies Inc., Canada)를 장착하여 시료의 중심부 온도가 4°C가 될 때까지 해동하였다. 이화학적 특성 의 비교시 대조구는 1분 데친 시료이며, 영양학적분석은 생시료를 대조구로 설정하였다.
당근 5 g을 증류수 45mL에 넣고 호모믹서(Handy-blender, CNHR26, BSH Hisini aparati d.o.o., Nazarje, Slovenia)를 이용 하여 2분간 갈아준 용액을 pH meter (S220 SevenCompactTM pH/Ion, METTLER TOLEDO, Switzerland)로 3회 반복 측정 하였다.
색도는 Chroma meter(CR-400, KONICA MINOLTA, Germany)를 사용하여 명도(lightness)를 나타내는 CIE L*-값, 적색도(redness)를 나타내는 CIE a*-값 및 황색도(yellowness) 를 나타내는 CIE b*-값을 3회 반복 측정하였다. 이때 표 준색은 CIE L*-값이 94.49, CIE a*-값이 -0.66, CIE b*-값이 3.32인 calibration plate를 표준으로 사용하였다. 색도 변화 는 냉동 전 당근과 냉해동 후 당근의 색도 차를 다음과 같 은 공식에 대입하여 값을 산출하였다.
해동감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데치기한 당근의 무게(W1)를 측정하였고, 냉·해동 후 당근의 수분을 충분히 제거하여 무 게(W2)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값을 다음과 같은 공식에 대 입하여 값을 산출하였으며, 각 조건에 따른 시료는 3회 반 복 측정하였다.
W1 :블랜칭한 당근무게(g)
W2 :냉해동 후 당근무게(g)
당근의 강도 변화는 Texture analyzer(CT3-1000, Brookfield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MA, USA)를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Compression type에서 Target value는 5.0 mm이었 으며, Trigger load는 50 g, Test speed는 2.5mm/s로 설정하였 다. Plain vee probe와 TA-SBA fixture를 사용하였다.
냉동과정 동안의 당근의 조직을 관찰하기 위하여, 각 냉 동과정을 처리한 후 당근을 동결건조 한 후 gold coating한 후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S-3000N, HITACHI, Japan)을 이용하여 기공의 크기를 관찰하였다. 모든 처리구 는 35배 확대하여 8.0 kV의 전압에서 촬영하였다.
시료의 일반성분 분석은 AOAC법(AOAC, 1990)에 준하 여 측정하였다. 수분함량은 105°C 상압가열법, 조단백질 함 량은 semi-micro Kjeldahl법, 조지방 함량은 Soxhlet법, 조회 분 함량은 550°C 직접 회화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비타민 C의 함량은 Hwang 등(2012)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건조된 시료 1.00±0.05 g을 정확히 칭량하여 5% MPA용액 50 mL를 가하고 homogenizer(Polytron RT 2500 E, Kinematica AG, Luzern, Switzerland)로 2분간 균질 화 시킨 후 Whatman No. 2 여과지(Whatman, Maidstone, UK)로 감압 여과하여 50 mL로 정용하였다. 추출물은 0.2 μm nylon syringe filter(Whatman, Clifton, NJ, USA)로 여과하여 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 HPLC system (Palo Alto, CA, USA)로 분석하였다. HPLC 분석조건은 column으로 Mightysil RP-18 GP column(4.6×250 mm, 5 μm, Kanto Chemical, Tokyo, Japan)을 사용하였고, 유속은 0.6 mL/min 이었으며 이동상은 0.1% trifluoroacetic acid를 사용하였다. 시료의 주입량은 20 μL 이었으며, UV detector 를 사용하여 254 nm에서 비타민 C를 분석하였다.
유리당 함량은 건조된 시료 1.00±0.05 g에 증류수 50 mL 을 가하여 200 rpm, 3시간 진탕 추출한 후 Whatman No. 2 여과지로 감압 여과하여 50mL로 정용하였다. 추출물은 0.2 μm nylon syringe filter로 여과하여 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 HPLC system(Palo Alto, CA, USA)로 분석하였 다. HPLC 분석조건은 column으로 Shodex Asahipak NH2P-5-4E(5 μm, 4.6×250 mm, Tokyo, Japan)를 사용하였 고, 검출기는 ELSD를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70% acetonitrile를 1.2 mL/min 속도로 흘려주었고 10 μL을 주입 하여 분석하였다(Hwang et al., 2011). 표준물질로는 fructose, glucose 및 sucrose를 사용하였다.
유기산 함량은 Kim 등(2012)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 였다. 건조된 시료 1.00±0.05 g에 증류수 50 mL을 가하여 200 rpm, 3시간 진탕 추출한 후 Whatman No. 2 여과지 (Whatman, Maidstone, UK)로 여과하여 50 mL로 정용하였 다. 추출물은 0.2 μm nylon syringe filter로 여과하여 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 HPLC system(Palo Alto, CA, USA)로 분석하였다. 칼럼은 aminex HPX-87H ion exclusion column(7.8×300mm; Bio-Rad, Hercules, CA, USA) 를 사용하였고, 검출기는 UV detector(Agilent Technologies, Palo Alto, CA, USA)로 215 nm에서 검출하였으며, 이동상은 0.008 N sulphuric acid 용액을 0.6 mL/min 유속으로 흘려주 었고 20 μL을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표준물질로 oxal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및 fumaric acid를 사용하였다.
결과 및 고찰
당근의 냉동 및 해동에 따른 온도변화 그래프는 Fig. 1 과 같다. 당근은 자연대류식, 저속, 고속의 순서로 각 0.2°C/min, 0.4°C/min 및 1.6°C/min의 냉동속도를 측정하였 으며, 자연냉동(0.2°C/min)의 경우에는 약 58분 정도 냉동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이와 달리 고속(1.6°C/min)냉동의 경 우에는 9분만에 급격히 냉동이 이루어졌다. 또한 자연냉 동(0.2°C/min)은 물이 얼음으로 변하는 상변이 구간이 약 40분 정도 소요되었으며, 저속, 고속 냉동일수록 상변이 구간히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Fig. 1A).
Fig. 1B는 당근의 해동과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연 구에 사용된 해동기술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 를 이용하였으며, 전자레인지의 출력세기는 200, 400, 800W로 조절하여 사용하였다. 이 때, 당근은 고속(1.6°C/ min)냉동조건에서 냉동된 당근을 이용해 측정한 결과이며, 당근의 해동은 전자레인지 출력속도가 증가할수록 빠르게 해동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전자레인지 출력속도가 200W, 400, 800W로 증가할수록 당근의 해동시간은 각 14분, 3분 50초, 2분55초로 나타났다. 또한, -10°C 부근 에서 시작된 해동은 -4°C까지는 서서히 해동되었으나,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급격하게 과열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냉해동 후 당근의 pH는 Fig. 2(A)의 결과와 같으며, 데 치기 후 당근의 pH은 6.6을 나타내었으며 냉동속도 및 전 자레인지 출력에 따라 6.53-6.57 범위의 pH를 나타내었으 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 > 0.05).
데치기한 시료와 냉해동 후 시료의 색도를 total color difference의 지표로 나타내었다. 또한, 강제송풍 속도와 전 자레인지 출력세기를 조절하여 Fig. 2(B)에 나타내었다. 모 든 처리구에서 3-7 사이의 값을 가져 데치기 후 당근과의 색도차는 보였으나 처리구 간의 유의적인 차는 나타나지 않았다(p > 0.05).
식품을 냉동 처리 시 생성되는 빙결정은 세포의 파괴, 세 포 내용물의 누출, 세포 보수력의 감소 등을 야기하여 해동 시 해동감량이 발생하게 된다. 해동감량은 식품의 물성과 관능적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수용성 영 양성분의 함량을 감소시켜 냉동식품의 품질 평가 지표로 사용된다(Park et al., 2012; Xu et al., 2014). 당근의 해동 감량은 전자레인지 출력속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 지 않았다. 그러나 0.2 및 0.4°C/min의 속도로 냉동할 경우 약 17%, 1.6°C/min의 속도로 냉동할 경우 약 12%의 해동 감량을 나타내어 냉동속도가 빠를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 타내었다(p < 0.05)(Fig. 3A). 이는 냉동속도가 빠를수록 당 근 내 생성되는 빙결정의 크기가 작고(Fig. 4), 세포의 손 상이 적어 해동감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당근의 강도 측정 결과(Fig. 3B), 데치기 후 당근의 강도 는 약 2,958 g이며 냉해동 후 강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데치 기 후 당근에 비해 약 1,000 g 이상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 내었으며, 그 범위는 1,438~2,128 g이었다. 당근의 강도는 전자레인지 출력세기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p < 0.05), 특히 200, 400 W 해동 시에는 냉동속도가 빠를수록 강도가 감소하였지만 자연해동과 800 W 해동 시 저속냉동일 경우 가장 높은 강도를 나타내 었다.
당근의 냉동 속도에 따른 조직관찰은 Fig. 4와 같이 다공 성 구조가 관찰되었으며, 식품 내 생성된 빙결정의 크기를 알 수 있었다. 당근의 기공 크기는 자연대류식 냉동(1.6°C/ min), 저속 냉동(0.4°C/min), 고속 냉동(0.2°C/min) 순서로 확 인하였으며, 기공의 크기는 각각 0.7 mm, 0.3mm, 0.1 mm 으로 측정되었다. 냉동속도에 따른 기공의 크기 변화는 냉 동과정 동안 형성된 얼음결정이 승화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며, 빙결정은 빙점 형성대를 통과하는 속도가 빠를수 록 작은 크기의 결정체가 형성된다고 알려져 있다(Haiyaing et al., 2007). 특히, 빙결정의 크기는 냉동속도 및 냉해동 반 복횟수가 낮을수록 작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Haiyaing et al., 2007), 빙결정의 크기가 작을수록 형성된 기공을 통 한 영양학적 손실이 최소화 될 것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 에서도 대류속도에 따라 자연대류식 시료의 기공이 고속과 저속 대류 시료에 비해 현저히 큰 기공을 형성하였음을 확 인하였다.
데치기 후 당근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 량은 각각 93.97, 0.71, 0.11 및 0.28%이였다. 냉해동 처리 후 당근의 수분 함량은 90.80~91.03%범위로 감소하고, 조단 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각각 0.93~1.04, 0.13~0.16 및 0.33~0.36%범위로 증가하였으며, 냉동속도에 따른 큰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1). 냉해동 처리 후 일반성분 함 량의 증가는 해동감량 발생 시 수분 함량이 영양성분의 감 소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아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비타민 C는 과일 및 채소류에 다량 함유된 대표적인 수 용성 항산화 성분으로 식품을 조리, 가공 및 저장 시 빛, 산소, 열 등에 의해 쉽게 파괴되어 영양성분 손실의 지표 성분으로 이용되고 있다(Kim et al., 2012). 당근의 비타민 C 함량은 품종, 재배환경 등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만 약 6.6~8.7 mg% (fresh weigh) 범위 수준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Kim et al., 2012; Jin et al., 2006). 냉동속도에 따른 당근의 비타민 C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Fig. 5A과 같다. 데치기 후 당근의 비타민 C 함량은 3.09 mg%이였고, 냉해 동 처리 후 2.98~3.35 mg% 범위로 냉동속도가 빠를수록 비 타민 C 함량은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Hwang 등(2012) 은 홍고추를 -20~-70°C 범위에서 냉동 처리 시 냉동속도가 빠를수록 비타민 C 함량은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Sahari 등(2003)의 연구에서는 딸기의 비타민 C 함량은 냉 동속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18°C이상의 온도 에서 저장 시 비타민 C 함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 소량이 큰 것으로 나타나 냉동식품의 비타민 C 함량 변화 는 냉동속도보다 저장 중 변화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추 후 다양한 냉동식품을 대상으로 저장방법, 포장방법, 해동 방법 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Sahari et al., 2003; Kwon et al., 2006; Sung et al., 2010; Holzwarth et al., 2012).
냉동속도에 따른 당근의 유리당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Fig. 5B와 같다. 데치기 후 당근의 fructose, glucose 및 sucrose 함량은 각각 0.69, 0.77 및 2.85%으로 sucrose가 주된 유리당이였으며, Xu 등(2014)과 Zude 등(2007)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 냉해동 처리 후 fructose, glucose 및 sucrose 함량은 각각 0.65~0.72, 0.70~0.78 및 3.12~3.42% 범위로 나타났다. Fructose와 glucose 함량의 경우 냉동속도 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p > 0.05), sucrose 함량 은 0.2°C/min의 속도로 냉동 처리 시 가장 높은 함량을 보 였다. 냉동속도가 느릴수록 sucrose 함량이 높은 경향을 보 인 것은 냉동속도가 느릴수록 생성되는 빙결정의 크기가 크고(Fig. 4) 이로 인해 파열된 세포의 수가 많아 추출효율 이 높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냉동속도에 따른 당근의 유기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Fig. 5C과 같이 oxal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및 fumaric acid가 검출되었다. 데치기 후 당근의 oxal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및 fumaric acid 함량은 각각 7.27, 176.25, 132.71 및 1.27 mg%이었다. 냉동방법에 따라 oxal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및 fumaric acid 함량은 각각 6.68~7.23, 183.12~189.36, 138.03~151.49 및 1.27~1.39 mg% 범위로 나타났으며, oxalic acid, malic acid 및 fumaric acid 함량은 냉동방법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요 약
본 연구는 최적의 냉해동 조건을 확립하고 설정된 조건 에 따라 냉해동이 당근에 미치는 이화학적 분석 및 영양성 분의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강제송풍방식을 이용하였으며, 자연대류식(0.2°C/min), 저속(0.4°C/min) 및 고속(1.6°C/min)으로 냉동속도를 조절하여 -12°C까지 냉동 하였다. 해동조건은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0, 200, 400, 800W의 세기로 출력을 조절하여 시료의 중심부 온도가 4°C가 될 때까지 해동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당근의 강 도는 냉해동 후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 히 200, 400 W 해동 시 냉동 속도가 빠를수록 감소하였다. 해동감량의 경우 해동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 만 냉동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H 및 색도의 데치기 후 당근과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 이지 않았다. 그러나 전자 현미경 관찰 결과, 냉동속도가 빨라질수록 기공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 으며 이는 빠른 냉동속도가 식품 조직의 손상을 막는데 영 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보인다. 비타민 C 및 유기산(oxalic acid, malic acid 및 fumaric acid) 함량의 경우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유리당 함량의 경우에는 sucrose 함량은 자연대류 냉동 시 가장 높았고, fructose 및 glucose 의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 냉해동 방법에 따른 영양학적 변화는 대부분 데치기 후 당근과 유 사하였으나, 당근을 고속으로 냉동할 시 물리적 변화 및 조직 손상을 최소화 하였으므로 당근의 품질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